품질기록관리절차서


강하넷

품질보증절차서

문서번호

KH 1601

제정일자

1993.01.27.

품질기록 관리

개정일자

2000.06.01.

Rev.

06

Page

01/14

 

1. 적용범위

이 절차서는 당사의 품질보증 업무와 운영 및 절차에 관한 기록관리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 적

품질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영 관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3. 책임과 권한

3.1 품질관리부서장은 품질관련 품질기록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3.2 생산관리부서장은 생산 및 공정관리에 관한 품질기록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3.3 영업본부장은 계약검토에 따른 품질기록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3.4 구매부서장은 구매에 관한 품질기록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3.5 생산관리부서장은 자재에 관한 품질기록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3.6 기술부서장은 설계에 관한 품질기록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3.7 연구소장은 연구개발에 관한 품질기록을 관리할 책임이 있다.

 

4. 업무절차

4.1 품질기록 조치사항

1) 품질기록은 식별표시, 수집, 색인, 목록작성, 보관, 유지처분 한다.

2) 품질기록은 읽기 쉽고, 선명하고, 관련제품과 연결되어야 한다.

3) 손상과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소에 보관하고, 즉시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4) 품질기록의 보존기간을 개별 지정 관리한다.

5) 계약서에 명시된 경우 고객에게 관련 품질기록을 공개한다.

통합 FILE시는 품질목록 중 한 CODE를 지정 (품질기록 중 많은 문서항목) 사용할 수 있다.

4.2 관리대상 품질기록

KS A 9001(1995)/ISO 9001(1994)

1) 경영자에 의한 검토기록 (4.1.3)

 

강하넷

품질기록 관리

문서번호

KH 1601

Rev.

06

Page

02/14

 

2) 품질기록의 파악 및 작성 (4.2.3.f)

3) 계약검토 기록 (4.3.4)

4) 설계 및 걔발계획(4.4.2), 설계입력(4.4.4), 설계심사(4.4.5), 설계출력(4.4.6), 설계검증(4.4.7), 설계검인정(4.4.8), 설계변경(4.4.9)에 대한 기록

5) 협력업체 평가에 대한 기록 (4.6.2)

6) 고객 지급품에 대한 기록 (4.7)

7) 제품식별 및 추적성에 관한 기록 (4.8) : 계약서에 명시된 경우

8) 자격이 부여된 공정.장비 및 인원 (4.9)

9) 수입 검사 및 시험에 관한 기록(4.10.2.3)

10) 검사 및 시험에 관한 기록 (4.10.5)

11) 검사,계측 및 시험장비에 관한 기록 (4.11.1)

12) 검사,계측 및 시험장비에 대한 교정검사 기록 (4.11.2.e)

13) 부적합의 검토 및 처분에 관한 기록 (4.13.2)

14) 부적합의 원인조사 및 조사결과에 관한 기록 (4.14.2.b)

15) 내부품질감사에 관한 기록 (4.17)

16) 교육/훈련에 관한 기록 (4.18)

( )KS A/ISO 9001 규격항목번호

4.3 일반적 품질기록

일반적으로 관리, 보존되는 품질기록은 다음과 같다.

1) 품질매뉴얼, 절차서 등의 배포에 관한 기록

2) 설계 입출력, 검증/확인 및 설계변경에 관한 기록

3) 문서관리에 관한 기록

(1) 문서 발행일 (2) 문서 고유번호 (3) 문서 개정번호 (4) 개정일자

4) 구매관리에 관한 기록 : (1) 구매 (2) 시방서 (3) 발주서 등

5) 공정관리에 영향 미치는 주요 결정에 관한 기록

 

 

 

강하넷

품질기록 관리

문서번호

KH 1601

Rev.

06

Page

03/14

 

6) 측정,검사설비에 관한 기록

(1) 측정,검사 설비목록

(2) 사용 부적합 설비의 처분 등

7) 부적합품 관리에 관한 기록

(1) 부적합품의 식별, 평가에 관한 기록

(2) 폐기처분에 관한 기록

8) 시정.예방조치에 관한 기록

(1) 부적합에 대한 시정조치 내용

(2) 부적합의 조사, 분석기록 및 예방조치기록

(3) 시정조치 결과에 관한 기록

9) 자재 및 제품의 식별에 관한 기록

10) 품질기록의 일반적 사항에 관한 기록

(1) 품질기록 목록에 관한 기록

(2) 품질기록 보관장소 보존기간

11) 내부품질 감사에 관한 기록

(1) 부적합사항 및 시정조치

(2) 시정조치 결과에 따라 절차서 등의 변경에 관한 기록

12) 통계적 기법에 관한 기록

 

5. 품질기록의 구분

품질기록은 제품에 대한 품질기록과 품질시스템 운영에 관한 기록으로 구분한다.

5.1 제품에 대한 품질기록

1) 제품시방

2) 부자재, 주요설비 도면

3) 검사 성적서

4) 특채, 부적합 기록

5) 소비자 불만에 대한 시정조치 기록 등

 

 

 

강하넷

품질기록 관리

문서번호

KH 1601

Rev.

06

Page

04/14

 

5.2 품질시스템 운영에 관한 기록

1) 내부품질감사 기록

2) 경영검토 기록

3) 협력업체 선정관리 기록

4) 공정관리 및 시정조치 기록

5) 측정, 검사설비의 교정 기록

6) 교육/훈련 기록 등

 

6. 보관 및 보존

6.1 보존

보존기간은 계약서의 요건, 관련법률, 사회통념상의 관습등을 고려 최소 3년 이상으로설정하며, 각 품질기록의 보존기간은 해당 절차서에 따른다.

6.2 보관

각 부서별 품질기록은 연도별로 사용 부서에서 보관, 관리하며, 연도별로 철하여 보존년한에 따라 보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기록의 특성에 따라 전년 실적의 참조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관련부서장의 재량으로 전년도 기록을 함께 보관, 관리한다.

 

8. 품질기록 점검

내부품질감사 및 경영 검토 시 품질기록 관리 상태를 확인 조치한다.

 

9. 품질기록 작성 방법

9.1 읽기에 지장이 없도록 선명함.

9.2 내용이 간결하고 명료함.

9.3 관련제품, 공정 기타 업무에 연계함.

9.4 필요한 곳에 서명, 날인 함.

 

10. 검토 및 승인

10.1 품질기록의 검토

1) 품질기록 작성자는 해당 부서장에게 적합성에 대한 검토를 받아야 한다.

 

 

강하넷

품질기록 관리

문서번호

KH 1601

Rev.

06

Page

05/14

 

2) 해당 부서장은 품질기록 작성내용이 검토 관련부서의 협조가 필요한 경우 관련부서와협의한다.

10.2 품질기록의 승인

작성부서 및 관련 부서의 검토, 조정이 완료된 품질기록은 품질관리부서장의 승인을 받는다.

 

11. 품질기록의 목록

품질기록 목록은 (부표1)과 같다.

 

12. 개정 품질기록의 검토, 승인

개정된 품질기록은 문서 제정시와 동일한 절차 및 방법에 따른다.

 

13. 품질기록의 유지보관

모든 기록은 다음과 같이 유지하고 검증되어야 한다.

13.1 품질기록은 문서관리 담당자가 품질기록을 분류 보관한다.

13.2 특별히 관리하여야할 품질기록은 컴퓨터 등으로 보관할 수 있다.

13.3 청결하고 가독성있게 유지한다.

13.4 잉여정보 및 폐지정보에 구애받지 않는다.

13.5 제품, 공정, 설비등으로 식별 유지한다.

13.6 요구된 품질수준이 달성되고 있다는 충분한 증거를 포함한다.

 

14. 폐 지

14.1 품질기록 폐지시기

품질기록은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폐지한다.

1) 사용 목적이 소멸된 경우

2) 개정 품질기록이 접수된 경우

3) 품질기록의 보존기간 만료된 경우

14.2 품질기록 폐지

문서폐지 절차에 따라 결재권자의 허가와 서명이 있어야 한다.

 

 

 

강하넷

품질기록 관리

문서번호

KH 1601

Rev.

06

Page

06/14

 

14.3 폐지 품질기록의 원본관리

폐지 품질기록의 원본 보관 필요시 품질기록 중앙 하단에 적색 폐지도장을 찍은 후 별도 구분 보관한다.

 

( 부표1 )

품질기록 목록

???????????????????????????

 

 

 

 

 

 

 

 

 

 

품 질 기 록 명

Code

관 리 부 서

관 리 자

보존년한

비 고

 

 

장학금 지원 신청서

BA

총 무 팀

부서장

3

 

 

 

상조금 신청서

BB

총 무 팀

 

3

 

 

 

업무 지시철

BG

해 당 부 서

 

3

 

 

 

FAX (수신, 접수)

BM

해 당 부 서

 

3

 

 

 

사외 공문철

BI

해 당 부 서

 

3

 

 

 

ISO 관계철

BJ

해 당 부 서

 

3

 

 

 

업무선급금 신청서

BC

해 당 부 서

 

3

 

 

 

지출/대체/정산/ 결의서

BD

해 당 부 서

 

3

 

 

 

소액현금 사용정산서

BE

해 당 부 서

 

3

 

 

 

수입 결의서

BF

해 당 부 서

 

3

 

 

 

전월 계약현황

DA

해 당 부 서

 

3

 

 

 

납품현황

DB

해 당 부 서

 

3

 

 

 

 

 

 

 

 

 

 

 

 

 

 

 

 

 

 

강하넷

품질기록 관리

문서번호

KH 1601

Rev.

06

Page

07/14

 

품질기록 목록

???????????????????????????

 

 

 

 

 

 

 

 

 

 

품 질 기 록 명

Code

관 리 부 서

관 리 자

보존년한

비 고

 

 

수금현황

DC

영업사업부,해당부서

부서장

3

 

 

 

전월 납기현황

DE

영업사업부,기 획 팀

 

3

 

 

 

미수현황

DF

영업사업부,기 획 팀

 

3

 

 

 

미수 현황표

BJ

영업사업부,기 획 팀

 

3

 

 

 

미납품 현황

BK

영업사업부,기 획 팀

 

3

 

 

 

수주, 납품, 매출수금현황

BL

영업사업부,기 획 팀

 

3

 

 

 

보관품현황/계약취소LIST

BM

영업사업부,기 획 팀

 

3

 

 

 

제안서

AA

품 질 관 리 부

 

3

 

 

 

제안 접수 대장

AB

품 질 관 리 부

 

3

 

 

 

제안 심사 기준표

AC

품 질 관 리 부

 

3

 

 

 

제안 심사 결과 통보서

AD

품 질 관 리 부

 

3

 

 

 

제안 심사 이의 신청서

AE

품 질 관 리 부

 

3

 

 

 

제안실시지시 및 보고서

AF

품 질 관 리 부

 

3

 

 

 

분임조 등록카드

AG

품 질 관 리 부

 

3

 

 

 

분임조 회의록

AH

품 질 관 리 부

 

3

 

 

 

분임조 활동 계획서

AI

품 질 관 리 부

 

3

 

 

 

분임조 활동 완료 보고서

AJ

품 질 관 리 부

 

3

 

 

 

분임조 활동 이력카드

AK

품 질 관 리 부

 

3

 

 

 

분임조 평가 심사표

AL

품 질 관 리 부

 

3

 

 

 

회의록 (앞장)

QA

품 질 관 리 부

 

5

 

 

 

원인조사 및 대책수립서

QB

품질관리부,생 산 부

 

3

 

 

 

 

 

 

 

 

 

 

 

 

강하넷

품질기록 관리

문서번호

KH 1601

Rev.

06

Page

08/14

 

품질기록 목록

???????????????????????????

 

 

품 질 기 록 명

Code

관 리 부 서

관 리 자

보존년한

비 고

 

 

영업정보 관리카드

PA

영 업 사 업 부

 

3

 

 

 

견적서 발급대장

PB

영 업 사 업 부

 

3

 

 

 

가격명세분석표

PC

영 업 사 업 부

 

3

 

 

 

계 약 대 장

PD

영 업 사 업 부

 

3

 

 

 

계 약 대 장 (통신)

PE

영 업 사 업 부

 

3

 

 

 

작업변경기록부

PF

영 업 사 업 부

 

3

 

 

 

목 록 표

PG

영 업 사 업 부

 

-

 

 

 

계 약 카 드 (A)

PH

영 업 사 업 부

 

3

 

 

 

계 약 카 드 (B)

PH

영 업 사 업 부

 

3

 

 

 

계 약 카 드 (C)

PH

영 업 사 업 부

 

3

 

 

 

계 약 카 드 (D)

PH

영 업 사 업 부

 

3

 

 

 

월 영업대장

PI

영 업 사 업 부

 

3

 

 

 

견 적 서

PJ

영 업 사 업 부

 

3

 

 

 

연구개발 계획/평가서

RA

전력전자연구소

 

7

 

 

 

 

 

 

 

 

 

 

 

 

 

 

 

취급, 보관 점검 LIST


취급, 보관 점검 LIST

점검일: 년 월 일

작 성

검 토

승 인

 

 

 

NO

점검항목

점검일

이상유무

이상발생

품목 및 원인

이상 발생에 대한 조치사항

사후대책

1

모델. 품명. P/NO별로 동일한 품목은 다른 품목과 분리하여 보관하는가?

 

 

 

 

 

 

 

2

포장. 부피. 면적. 입출고

빈도를 고려하여 보관 관리

하고 있는가?

 

 

 

 

 

3

특채. 시방변경품 부적합품은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분

되는가?

 

 

 

 

 

4

보관물품은 우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파손에 유의하고 보관구역내 청결을 유지하는가?

 

 

 

 

 

5

야적물은바닥에 PALLET

사용하는가?

 

 

 

 

 

6

방화시설을 유지하고 인화물질은 분리저장하는가?

 

 

 

 

 

7

녹슬기 쉬운 금속류는 건조한곳에 보관하고 있는가?

 

 

 

 

 

8

온도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자재 및 제품은 특별히 유지저장되고 있는가?

 

 

 

 

 

9

취급상 유의되는 물품은 취급주위 표시를 하는가?

 

 

 

 

 

10

유독물 및 위험물은 관계법령에 준하여 취급.보관하고 있는가?

 

 

 

 

 

 

 

KP417-1(REV.0) 강하넷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면 배포 내역  (0) 2016.09.22
보고서  (0) 2016.09.21
부적합품보고서(NCR)  (0) 2016.09.13
설계변경통보서  (0) 2016.09.12
사장방침서  (0) 2016.09.11

취급, 보관,포장 및 인도 절차서


1. 적용범위

본 절차서는 강하넷() (이하 당사라 한다)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취급보관포장인 도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적

본 절차서는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고 외관의 표시 및 포장 상태를 엄격히 하여 품질의 보존과 고객의 요구 품질을 존속함과 아울러 적시적기에 공급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3. 용어의 정의

3.1 취급

운반이동시 손상이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의 이동

3.2 보관

손상 또는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정된 장소에 비치

3.3 포장

손상 또는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막을 설치하는 것

3.4 보존

공급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 보관하는 것

3.5 인도

공급자에게 제품을 인계하는 것

 

4. 책임과 권한

4.1 생산부서장

제품의 포장보존보관 업무를 수행할 책임과 권한

4.2 영업부서장

4.2.1 제품의 출하 및 인도 업무를 수행할 책임과 권한

4.2.2 운송방법 결정 업무를 수행할 책임과 권한

4.3 영업팀장

4.3.1 제품의 출하 및 인도 업무를 수행할 책임과 권한

4.3.2 운송방법 결정 업무를 수행할 책임과 권한

4.4 자재팀장

자재 보관 업무를 수행할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5.1 취급

5.1.1 운반 중에 변형손상 및 다른 종류의 혼입이 발생하지 않게 운반한다.

5.1.2 자재는 취급에 따른 불량 및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중량물은 운반구를 이용 하여 운반한다.

5.1.3 정전기에 민감한 자재 및 제품은 팔레트정전기 포리백에 넣어서 운반한다.

5.1.4 정전기에 민감한 품목의 조립 및 검사시는 정전기 팔지 착용을 의무화한다.

5.2 보관 및 보존장소

5.2.1 보관 및 보존장소

1) 자재팀장은 업체별모델별로 자재를 보관장소를 지정하여 보관하며 이형 부 품은 캐비넷에 별도로 보관한다.

2) CHIP BOND 및 CREAM SOLDER는 구매 후 냉장 보관한다.

3) 인화성 물질위험물 제품은 특수보관장소를 지정하여 보관한다.

4) SOLDER MASK 제작 입고후 MASK 진열 선반에 업체별로 진열해 둔다.

5) 생산부서장은 업체별모델별로 제품을 지정된 장소에 보관한다.

5.2.2 보관 및 보존조건

1) CHIP BOND, CREAM SOLDER는 1℃ ~ 10℃ 이하에서 관리 보관한다.

2) 변질의 우려가 있는 CHIP BOND, CREAM SOLDER는 제조일로부터 6개월 (개봉시 1개월)이내의 제품을 사용하며 유효기간이 지난 제품에 대하여는 반 품 처리한다.

5.2.3 자재의 입출고 (사내)

1) 자재팀장은 P/L에 근거하여 소요량을 산출 후 생산부에 자재를 출고한다

5.2.4 자재의 입출고 (외주업체)

1) 자재팀장은 P/L에 근거하여 소요량을 산출 후 자재출고리스트에 기록 후

외주업체 인수자의 확인을 받은 후 출고한다

2) 자재팀장은 외주업체에서 자재를 반납 받을 때에는 자재출고리스트에 기록 하고 확인 후 받는다.

5.3 보관 및 보존방법

5.3.1 CREAM SOLDER 구매 후 CREAM SOLDER 용기에 번호를 부여하여 부여된 순 서대로 선입선출이 용이하도록 보관한다.

 

5.3.2 작업자는 냉장보관된 CREAM SOLDER 선입선출시의 내용에 대하여 "솔다관리 대장"에 기록한다.

5.3.3 반제품에 대하여 SOLDERING은 PC RACK에 꽂아두고 본딩 처리된 제품에 대하여는 CHIP MOUNTING 후 매가진에 적재된 상태로 관리 보관한다.

5.3.4 SOLDER MASK 입고시 MASK에 번호를 부여하고 MASK 관리대장에 입고일자모델명업체명을 기입하여 MASK 진열 선반에 업체별로 보관한다.

5.3.5 생산부서장은 보관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이상상태가 발견될 경우 조치한 다.

5.3.6 제품은 손상이나 품질저하가 되지 않도록 보호방안을 강구하여 보존한다.

5.4 포장 및 표시

5.4.1 SMD 포장(매가진박스)

1) 고객의 요구 또는 품질의 영향을 미치는 제품에 대하여는 매가진에 포장하 고 그 이외의 제품에 대하여는 종이박스로 포장한다.

2) 매가진 포장시 한 줄에 PCB 50개를 적재한다.

3) 겹줄로 포장시에는 제품의 중앙에 박스테이프 및 스틱을 부착하여 제품의 손상을 방지한다.

4) 종이박스에 포장시 박스에 포장된 포장물의 유동이 없도록 양쪽에 테이프 를 붙인다.

5.4.2 ASS'Y 포장

ASS'Y 제품은 고객이 지급한 포장재를 사용한다.

5.4.3 표시

1) SMD, ASS'Y 완제품에 대하여는 "현품표"(부표1)에 명기된 내용을 기록하고 매가진 및 박스에 부착한다.

2) 기타 제품 표시가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는 "현품표판정란에 내용을 기록한 다.

5.5 출하

영업부서장 및 영업팀장은 제품 출하시 출고전표를 작성하고 주문접수 및 업체별

출고현황에 출고 내용을 기록한다.

5.6 인도

5.6.1 영업부서장 및 영업팀장은 안전 운송을 위하여 제품의 이동시 손상이 없고 편 리하도록 조치가 취하여 졌는가를 점검한 후 운반한다.

5.6.2 운반시 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제품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적정량을 적재하여야 한다.

2) 운반시 중량물은 운반구로 운반한다.

3) 제품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운반한다.

5.6.3 영업부서장 및 영업팀장은 고객이 요구하는 장소까지 제품을 인도한다.

5.6.4 영업부서장 및 영업팀장은 제품 인도시 제품의 수량에 대하여 고객의 확인을 받는다.

5.7 운송

5.6.1 영업부서장 및 영업팀장은 운송방법을 결정하여 수행한다.

5.6.2 영업부서장 및 영업팀장은 운송시 제품의 품질보존의 이상이 없도록 대책을 간 구한다.

 

6. 기록 및 보관

기록명

보존기간

관리책임부서

SOLDER 관리대장

생 산 부

MASK 관리대장

생 산 부

자재출고리스트

자 재 팀

 

7. 붙임

7.1 양식

NO

양식번호

양식명

1

NSP-1501-01

SOLDER 관리대장

2

NSP-1501-02

MASK 관리대장

3

NSP-1501-03

자재출고리스트

 

 

부표 1 ] 현품표

 

현 품 표

품 명

 

판 정

RESULT

모 델

 

 

수 량

 

 

일 자

 

 

업 체

 

 


강하넷()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검토절차서  (0) 2016.03.04
업무분장절차서  (0) 2016.03.03
제조설비 및 치공구 관리규정  (0) 2016.02.27
안전관리규정  (0) 2016.02.25
협력업체관리절차서  (0) 2016.02.23

15.1    개요

장은 자재의 보관으로부터 생산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고객에게 전달하기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고객으로부터 자재의 품질이 손상 또는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취급, 보관, 포장, 보존 인도에 대한 관리사항과 책임사항을 규정한다.

 

15.2        적용범위

당사의 자재 완제품에 대하여 적용한다.

 

15.3        책임과 권한

1)            자재관리부서는 자재 완제품의 입고, 보관, 출고 등에 있어 규정된 요건을 준수 책임이 있다.

2)             기술부서는 사용중인 자재나 출고대기, 또는 출고중인 제품에 대해 적합한 관리를 책임이 있다.

 

15.4    취급

           자재 제품을 취급할 때는 손상이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승인된 취급방법에 따라 취급하여야 한다.

 

15.5    보관

1)      사용 또는 인도 대기중 제품의 손상이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한 보관구역이나 창고를 설치하여야 한다.

2)      제품에 대한 손상이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제품은 지정된 장소 용기에 보관한다.

3)      보관중인 모든 제품은 적절하게 식별되어야 하고 선입선출에 의해 불출 되고 기록되어야 한다.

4)      장기 보관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구분하여 적절한 주기로 점검, 확인한다.

5)      부적합품, 유해물질, 위험물질 등은 별도로 격리되어 보존되어야 한다.

 

15.6    포장

1)      제품은 효용을 해하지 않도록 포장하고, 포장 식별표시를 한다.

2)      계약상 포장방법이 명시되어 있을 경우에는 고객의 요구사항과 일치하도록 한다.

 

15.7    보존

유수명 자재와 같이 사용 조건 온도에 따라 손상이나 열화가 되기 쉬운 자재는 안전한 장소에 보존 되어야 한다.

 

15.8    인도

           기술부서장은 출고제품을 혼합,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규정된 절차에 따라 납품준비를 실시하고 안전상태를 확인하며, 인도의 책임을 맡은 담당자는 고객에게 인도할 때까지 품질보호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15.9    관련절차

1)      자재관리 절차서

2)      출고업무 지침서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장재료 인수검사지침서  (0) 2015.09.09
ISO 9001 - 2015 (DIS)  (0) 2015.09.07
사업팀제 운영방안  (0) 2015.09.03
작업표준서 - 40h RIVET  (0) 2015.08.29
출하검사 업무규칙  (0) 2015.08.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