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타르와 굵은 골재량의 변화율 시험방법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믹서로 비빈 콘크리트중의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차와 단위 굵은골재량의 차의 시험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시험용 기구

2.1. 공기량을 측정하는 기구는 Kangha-327(굳지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함유량 시험방법)에 따른다.

2.2. 저울은 4.2에 규정한 시험에 있어서 콘크리트 중량의 0.1% 보다 감량이 좋은 것이어야 한다.

2.3. 체는 5㎜ 체를 사용한다.

(주) 이는 KS A 5101 (표준체)에 규정하는 표준 망체 4760 µ이다.

3. 시 료

3.1. 콘크리트의 시료는 비빈 직후의 배치로부터 3.2와 같이하여 이를 샘플링한다.

3.2. 시료를 샘플링할 때는 믹서의 운전을 중지시키고 믹서내의 콘크리트의 처음과 마지막의 2부분으로 부터 샘플링 하든가 또는 믹서로부터 배출된 콘크리트의 처음및 마지막의 2부분으로 부터 샘플링한다. 이경우 각 부분의 콘크리트를 대표 하도록 샘플링하여야 한다.

(주) 믹서내의 콘크리트를 처음, 중간및 마지막 3부분으로 구분해서 생각했을 경우의 처음과 마지막 부분이다. 믹서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의 흐름을 처음, 중간및 마지막의 3부분으로 구분해서 생각했을 경우의 처음과 마지막 부분이다.

3.3. 각 부분에서 샘플링한 시료의 양은 표준으로서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를 ㎜로 표시한 수의 2배를 ㎏으로 표시한 것을 양으로 한다.

다만,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20㎜ 이하일때는 시료량은 약 40㎏으로 한다.

4. 시 험

4.1. 각 부분으로부터 샘플링한 콘크리트의 각 시료에 대하여 각각 4.2 - 4.4의 조작을 한다. 조작에 소요되는 시간은 각 시료에 대해서 대체로 같아야 한다.

4.2. 시료의 공기량을 2.1에 표시한 시험방법중 어느 한 방법에따라 시험한다.

(주) 각 부분에서 샘플링한 시료의 공기량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해야한다.

4.3. 4.2의 시험에 사용한 시료를 5㎜ 체 위에 놓고, 물로 씻으면서 5㎜ 미만의 입자를 제거한다.

4.4. 5㎜체에 잔류한 골재의 표면건조 포화상태에서 중량을 측정한다.

또 Kangha-317(굵은골재의 비중및 흡수율 시험방법)에 따라, 그 표건 비중을 시험한다.

5. 계 산

5.1. 콘크리트중의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여기에서 M : 용기를 빼낸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 (㎏/㎥)

C : 4.2에서 얻은 콘크리트의 중량 (㎏)

B : 5㎜ 체에 잔류한 골재의 표면건조 포화상태에서의 중량 (㎏)

V : 4.2의 공기량 시험에 사용한 공기의 용적 (1)

A : 용기의 용적 (V)과 공기량(%)과의 곱한것을 100으로 나누어 계산한

용기의 용적 (1)

g : 1 ㎏ / 1 × 굵은골재의 표건비중 (㎏/1)

여기에서 M1 : 각 부분의 콘크리트에 대해서 구한 M의 값중의 큰 값

M2 : 각 부분의 콘크리트에 대해서 구한 M의 값중의 작은 값

(주) 이 식은 단위용적 중량의 평균치에 대한 각 부분의 단위용적 중량의 차이를 표시한다.

5.2. 콘크리트중의 단위 굵은 골재량의 차 (%) 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여기에서 G : 콘크리트 중의 단위 굵은골재량 (㎏/㎡)

여기에서 G1 : 각 부분의 콘크리트에 대해서 구한 G중에서의 큰값.

G2 : 각 부분의 콘크리트에 대해서 구한 G중에서의 작은값.

6. 보 고

보고에는 다음사항을 기록하여야 한다.

6.1. 믹서의 형식 및 용량

6.2. 배치의 크기

6.3.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 골재의 종류및 입도

6.4. 배 합

6.5. 믹서의 비빔시간

6.6. 시료의 샘플링 방법과 샘플링 양

6.7. 공기량의 시험방법, 공기량 (%)

6.8. 슬럼프 (㎝)

6.9. 콘크리트중의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차 (%)

6.10. 콘크리트중의 단위 굵은골재량의 차 (%)

참 고

1. 5.1에서 얻은 콘크리트중의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차 (%)와 콘크리트중의 단위 굵은골재량의 차 (%)는 믹서의 비빔 성능을 표시하는 지수가 된다. 일반적으로 다음값 이하이면 콘크리트는 균등히 비벼진 것으로 보아도 좋다.

콘크리트중의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차 : 0.8%

콘크리트중의 단위 굵은 골재량의 차 : 5%

2. 이 시험을 할때 시험조작에 따라 어느정도의 오차가 생기는 것은 면할수가 없다. 이 오차 정도의 한 보기를 표시하면 충분히 비빈 1배치의 콘크리트를 4분법으로 균등히 구분해서 그 각부분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및 단위 굵은골재량을 측정하고, 각각의 측정치에 대하여 그 차를 구하면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의 경우는 0.2%정도, 단위 굵은 골재량의 경우는 1%정도이다. 또한 이 시험에서 시험조작에 따라 오차이외에 측정치에 오차가 생기는 원인도 생각할 수 있으므로 4., 5., 6.에 표기한 주의사항을 충분히 지켜야 한다.

3. 3.2의 시료 채취장소의 규정은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가경식 믹서및 드럼믹서를 대상으로 결정한 것이다.

기타 형식의 믹서에 대해서는 다음에 표시하는 보기와 같이 믹서의 형식, 비빔의 기계구조 등을 고려해서 적절히 시료 채취장소는 우반부와 좌반부에서 샘플링하는 식으로 서로 틀린 2개소에서 샘플링한다.

4. 이 시험에서는 지정한 장소의 콘크리트를 대표하도록 시료를 샘플링 하는것이 중요하다.시료 샘플링 방법이 적절하지 않으면 시료 샘플링방법에 따른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 또는단위 굵은 골재량의 차를 믹서의 비빔성능으로 인한 차로 잘목 판단하는 것이 된다.

특히,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큰 콘크리트나 슬럼프가 큰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시료 샘플링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배치의 크기에 따라서는 시료의 양을 3.3에 표시한 값보다도 많이 취하는것이 좋은 경우가 있다.

5. 각 부분에서 샘플링한 시료는 분리하지 않도록 비빔판 위에서 잘 섞어서 그 시료를 대표하는 콘크리트를 공기량 시험에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위용적중량 및 염화물량 검사지침서  (0) 2012.01.29
사원자녀 학자금 지원규정  (0) 2012.01.25
제조공정도  (0) 2012.01.20
전도금취급규정  (0) 2012.01.19
정원관리규정  (0) 2012.01.18

콘크리트공사 체크리스트 (타설전작업)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철근콘크리트공사(타설전작업)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1

철근작업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확인하였는가?

* 이음 및 정착상태, 결속상태

* 배근간격, 개수, 수직, 수평상태

* 개구부주위 보강철근 시공상태

* Spacer 고임상태

* 매설물 고정상태, 피복두께 확보상태

2

거푸집 작업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확인하였는가?

* Form Tie 조임상태, 기둥밴드 채움상태

* Support 수직상태, 헐거움여부, 고정상태 (상부,하부)

* Support 고정핀 끼움상태, 연결상태 (종,횡)

* 거푸집 벌어짐 상태 (하부, 연결부분)

* 콘크리트 윗면 (LEVEL) 표시 (먹줄치기, 못박기, 기타) 여부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철근콘크리트공사(타설전작업)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3

레미콘 공장은 KS표시 허가를 받은 공장인가?

(KS표시 허가증 접수, 시험성적서 접수)

4

타설 예정인 콘크리트 강도는 확인하였는가?

5

설비, 전기의 작업완료 여부 및 타설공구 준비상태, 타설구획, 타설량은 확인하였는가?

6

콘크리트 혼합에서 현장타설이 끝날때까지 장비계획, 배차간격, 운반시간에 관한 검토는 완료하였는가?

7

콘크리트 타설전 거푸집안의 청소상태는 확인하였는가?

* 나무토막, 종이, 담배꽁초, 기타 이물질 제거

8

콘크리트 타설한 당일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은 계획하여 준비 완료하였는가?

* 천막, PE필름, 화덕, 난로, 송풍기, 기타 보양기구 및 자재

9

타설전 거푸집은 습윤하게 하였는가?(동결의 염려가 있을대는 절대금지)

10

타설을 위한 인력동원, 각자 임무부여는 완료되었는가?

11

예비진동기는 확보되어 작업장소에 비치되어 있는가?

12

레미콘 차량의 교통장애에 따른 차량유도원의 배치계획은 수립하였는가?

13

레미콘 타설후 레미콘 차량의 청소를 위한 계획은 수립

하였는가?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설비관리규정  (0) 2012.01.10
경영검토회의록  (0) 2011.12.22
조적공사지침서  (0) 2011.12.15
징계업무규정  (0) 2011.12.07
지역난방 설비공사 최종검사Check List  (0) 2011.12.05

콘크리트공사체크리스트(타설작업)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철근콘크리트공사(타설작업)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1

Slump 허용차는 아래 기준에 적합한가?

* 8cm 미만 : -1.5~1.5cm, 8cm 이상 18cm 이하 : -2.5~2.5cm

18cm를 넘을 때 : -1.5~1.5cm

2

Slab 콘크리트 타설시 자유낙하 높이는 1m 이하에서 실시하고 있는가?

* 1m 이상에서 타설시 재료분리 및 배근교란 우려됨

3

보의 콘크리트 타설시 밑바닥에서 윗면까지 한 번에 타설하고 있는가?

4

한 구획에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부가 수평되도록 타설하고 있는가?

* 경사지게 타설하면 재료분리 및 변형등이 야기될 수 있음

5

기둥과 벽이 연결될 때 기둥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벽으로 흘려 보내지는 않는가?

* 재료분리가 일어날 수 있음

6

* 진동기 사용은 아래와 같이 실시하고 있는가?

1) 진동기는 수직으로 넣으며 60cm 정도 간격으로 시멘트풀이 떠오를 때까지 진동 실시

2) 철근, 거푸집에 직접 충격을 주지 말 것

3) 뽑아 올릴때는 천천히 뽑아 올릴것

4) 과도한 진동금지 (콘크리트 재료분리 염려됨, 30~40초 적당함)

7

콘크리트 품질시험은 실시하고 있는가?

* Slump 테스트, 압축강도 테스트, 결과정리 및 품질관리대장 작성

8

압축강도 시험용 공시체는 제작하였는가?

* 28일 강도용 3개조 9개, 7일강도용 1개조 3개 제작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철근콘크리트공사(타설작업)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9

이어붓기 위치는 응력을 고려한 위치 (전단력이 가장 적은곳)에서 실시하고 있는가?

* 보 및 바닥 : Span의 중앙부분에서 수직으로

* 기둥 및 벽 : 바닥, 기초의 윗면에 수평으로

10

이어붓기 작업시 아래 사항은 준수하였는가?

* 레이턴스 제거후 면을 거칠게 한다

* 청소후 물을 뿌린다.

* 좋은 배합의 모르터를 뿌린다.

11

이어치기 시간간격은 Cold Joint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는가?

* 외기온도 25℃이상 : 2시간 이내 콘크리트 타설

* 외기온도 25℃미만 : 2.5시간 이내 콘크리트 타설

* 상기사항 어길시 Cold Joint 발생으로 강도, 내구성, 수밀성, 기밀성이 저하됨

12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 주의사항을 작업자에게 충분히 주지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시행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는가?

(가수 절대금지, 필요시 유동화재 사용 검토할 것)

* 작업시 주의사항

1) 먼 구획부터 부어 넣는다.

2) 1구획내의 부어넣기는 그 표면이 거의 수평되도록 타설한다.

3) 부어 넣을 때 철근, 파이프류, 나무벽돌 등이 이동되지 않도록 주 의한다.

4) 다지기는 다짐대, 진동기 등으로 콘크리트가 모두 같은 정도가 되도록 한다.

5) 기둥의 단면이 클 때는 두개층으로 나누어 붓고 다지면서 서서히 부어 넣는다.

6) 벽은 수평으로 부어 넣는다.

7) 보는 양단에서 중앙으로 향하고 바닥은 먼 곳부터 수평이 되게 부어 넣는다.

8) 이어치기 부분은 적게 하고 이어치기할 때는 수평, 수직으로 끊 는다.

9) 보, 바닥부분은 이어치기와 Span 중앙부분 기둥의 이어치기는 그 하단에서 하고 기둥 콘크리트가 침하된 후 보, 바닥판에 콘크리트 부어넣기를 계속한다.

10) 수평으로 이어칠 때는 콘크리트면의 레이턴스는 쇠솔로 닦아내고 1:3 모르터 또는 콘크리트에 자갈이 섞이지 않은 모르터를 흘려 바른 다음 이어치기 한다.

11) 계단의 콘크리트는 하단부터 상단으로 올라가며 타설한다.

12) 콘크리트 타설후 새어 나온 콘크리트를 깨끗이 청소한다.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창대장  (0) 2011.10.28
창호공사체크리스트(철제창호)  (0) 2011.10.27
문서관리대장  (0) 2011.10.21
개인별업무분장표  (0) 2011.10.18
치공구관리대장  (0) 2011.10.17

TOWER CRANE (설치․해체) 작업 CHECK-LIST

설치․해체 작업은 고소에서의 작업뿐만 아니라 조립. 해체 작업자. 중량물 줄걸이 작업자 및 신호자, 이동식 크레인에 의한 양중 작업자 등 서로 다른 직종의 작업자가 같이 작업하고 각자 작업 공정이 다르게 진행 되므로서 전도, 낙하, 절단, 추락 등 재해가 발생할 수 있기에 사전 작업 내용을 검토 예상되는 문제점의 도출에 따른 안전 작업 방법 및 작업절차 등이 조화를 이룰 때 위험요인이 사라지게 되며 작업 공정이 계획대로 이루어진다.

현 장 명

장비소유자 :

형식및규격 :

설치 및 해체 기간 :

확인(조치)일자 : 년 월 일 부터 월 일 까지

담당

부장

임원

사장

구분

체크할 사항

대책 및 조치

확인(조치) 업 체

(1)원청 회사의 공사 (장비가동)계획은

(2)설치위치의 지내력(22t/㎡)검토 및 지반 보강 방법은

(3)지내력 부족시 pile 및 기타 보강여부

(4)타 건축물과의 간섭 유무

(5)기초 공사의 적절한 시기

(6)사용할 장소에 필요한 바라스트 준비 상태

(7)공급되는 전원시기 및 케이블과 장비 용량 적 정 유무

(8)기초 터파기 후 밑면 고르기 할 때 파인 부분 을 되메우며 고르기 하는지 여부

(9)버림 콘크리트(210㎏/㎠-30㎝) 타 설시 적정강도 와 적정철근 및 적정두께로 타설 하고 있는지 여부

(10)버림 콘크리트 타 설시 T/C기초 4개 기둥점 수 평, 기준점 정확 여부

(11)기초공사 후 설치 작업전 압축강도(255㎏/㎠) 시험이 실시된 후 설치하고 있는지 여부

(12)접지봉(1.5mx6EA),접지선(38)적정규격,수량매설여부

(13)작업흐름을 원청사와 원만하게 처리하며 사전, 사후보고는 철저하게 하고 있는지 여부

(14)소요 기자재는 순조롭게 공급(반입)되는지 여부

(15)크레인 인수시 크레인 상태(순정품),부대품(연결PIN,BOLT,전장품등)이상유무 및 육안적 안전 상태 여부

www.kangha.net

구분

체크할 사항

대책 및 조치

확인(조치) 업 체

(16)크레인이 양도된 후의 설치 작업과 시운전이 정 확하게 행해졌는지 확인여부

(17)기초앵커 및 철근 배열의 spec은 배근 도면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지 여부

(레미콘 및 앙카 강도 시험성적표, 사진촬영)

(18)텔레스코핑 케이지 조립, 설치시 적절한 조치를 하고 있는지 여부

(19)wire rope 규격은 정품이며 상태는 이상없는지

(20)안전 관련 장치는 이상없이 작동되는지 여부

(21)검사신청서 제출여부

(22)기초 앵카 구조검토서 및 지분탐상 검사보고서 징취 및 제출여부

(23)

(1)텔레스코핑 장치용 유압 시린더 방향과 카운터지 브가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지브의 방향이 맞추 여져 있는지 여부

(2)유압펌프 및 시린더는 사전 점검하고 있는지 여 부

(3)풍속이 12.5m/sec 이내인지 여부

(4)하강작업 준비 상태는 이상없으며 특히 타워크레 인이 선회 링 써포트와 볼트로 연결시 까지는 절 대로 회전 시키지 아니하는지 여부

(5)베이직 타워에서 텔레스코핑 장치를 분리하고 베 이직 타워를 최종 분리한 다음 주변정리를 잘 하 였는지 여부

(6)작업 흐름을 원청사와 원만하게 처리하며 사전 사후보고는 철저하게 하고 있는지 여부

(7)

(1)산재보험(원청회사)가입여부

(2)설치․해체작업자 건강진단 실시여부

(3)장비조립,해체보험 및 작업자 상해보험 가입여부

(4)사용자배상(舊근재보험)책임보험 가입여부

(5)각종 안전장구(안전모,어깨걸이용안전벨트,밴드 등)구비여부

특기

사항

www.kangha.net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기술 분임조 회의록  (0) 2011.10.11
토공 및 기초공사 체크리스트 (거푸집작업준비)  (0) 2011.10.09
출고지시서  (0) 2011.10.07
작업완료확인서  (0) 2011.10.04
교육이수보고서  (0) 2011.10.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