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넷)

www.kangha.net

 

 

 

강하넷 기록관리 프로세스
(Process For Control of Records)
문서번호 P-402
승인일자 2015.06.01
개정번호 0 Page /
Unit Process 업 무 절 차 담 당 협조/검토 출력물 관리기준 승 인
1. 기록의 작성 1.1 기록 작성은 통계표, 전표, 증빙서류, 전산용지 등을 제외 하고는 A4용지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1.2 기록은 읽기 쉽고, 그 기재내용이 명확해야 하며, 작성자 와 승인자의 서명 또는 날인이 기재되어야 한다.
1.3 수정사항의 확인이 가능토록 수정을 요하는 부위에 두 줄 을 긋고, 수정자의 서명 또는 날인 후 변경된 내용을 기재 한다.
1.4 긁거나 지워서 내용을 삭제하지 않는다.
1.5 수정 부위에 흰색 수정 액을 도포하여, 내용을 삭제하지 않는다. 단 오자, 탈자의 수정은 수정 액을 사용할 수 있다.
작성자 검토자 - 각종기록 - 내용의 적합성
- 기록의 유효성

2. 기록의 식별 2.1 기록은 보고서, 회의록, 양식 등의 형태이며 각 기록은 유번호, 제목, 일자 등으로 기록을 식별한다.
2.2 문서에 기록의 보존연한, 보존부서를 명시한다.
2.3 협력업체 또는 고객의 기록도 기록 자료의 한 요소이다.
2.4 기록은 작성 년, , 일로 구분해서 업무기능별로 작성 하여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해당 부서
- 기록의 식별번호 - 기록문서 번호
부여
- 파일의 식별

3. 기록의 색인 3.1 각 부서에서는 필요한 기록을 수집한다.
3.2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해당파일 문서목록표에 식별사항(식별번호, 제목, 접수일)을 기록한다.
3.3 단 같은 서식의 기록을 함께 파일하는 경우에는 문서 목록표 작성을 생략할 수 있다.
담당자
- 문서 목록표 - 문서 목록표 작성
4. 기록의 파일링 4.1 검색의 신속화, 업무 공백의 최소화, 업무협조 활성화 및 사무 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기록을 파일링 한다.
4.2 파일링에 사용되는 비품은 가능한 통일성을 기한다.
4.3 파일링 원칙
(1) 보존년도/기록명이 같은 기록을 한 파일에 보관한다.
(2) 검색이 용이토록 순서대로 파일링 한다.
(3) 가능한 경우 기록의 측면에 견출지 부착, 간지 삽입, 검색 번호를 기재하여, 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해당 부서

- 파일링 상태
강하넷 기록관리 프로세스
(Process For Control of Records)
문서번호 P-402
승인일자 2015.06.01
개정번호 0 Page /
Unit Process 업 무 절 차 담 당 협조/검토 출력물 관리기준 승 인

4.4 파일링 방법
(1) 칼라화일
1) 기록의 편철은 상철을 원칙으로 한다.
2) 왼쪽에 문서목록/색인목록 표를 작성한다. 시중 구매 시 인쇄되어있는 경우 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3) 칼라 화일 겉면에 문서명, 보존연한, 주관부서 또는 파일관리자 등을 기록한다.
4) 박스 안에 넣었을 때 찾기 쉽도록 측면(구분자)에 문서제목을 명기한다.
(2) 바인더
1) 문서의 편철은 좌철을 원칙으로 한다.
2) 문서목록을 작성하여 앞쪽에 둔다.
3) 문서간의 색상지 또는 견출지 등을 사용하여 찾아 보기 용이토록 한다.
4) 바인더에는 문서명, 담당팀, 보존년도 등을 명시한다.
5) 프로젝트별, 고객별, 업무기능별로 업무의 진행 순서, 일정별로 파일링하여 검색이 용이하도록 한다.
(3) 파일박스
칼라화일에 편철(보관)된 문서는 가급적 종류별로 분리하여 파일박스에 담아 보관함을 원칙으로 한다.
(4) 기타
1) 전표의 보관은 1,1개월 등 필요한 기간을 주어 묶음 단위로 처리한다.
2) 기타 전산화일 특수 파일링 비품 사용 시에는 앞의 파일링 기본 원칙들을 고려하여 찾기 쉽고,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보관한다.
3) 각 부서별 Master File List를 유지 관리함을 원칙으로 한다.
해당 부서

- 파일링 상태






 

 

 

www.kangha.net

Email : kangha@daum.net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인증관리지침서  (0) 2024.05.26
QC공정도작성지침서  (0) 2024.05.23
시험 및 측정장비 관리규정  (0) 2024.05.22
대기환경관리지침서  (0) 2024.05.15
부적합품관리절차서  (0) 2024.05.14





검사 기준서
제 정 일
 
Page 1 of 1
개 정 일
 
개정번호
00
표 준 번 호
 
MODEL
 
승 인 자
검 토 자
작 성 자
입고 업체명
 
규 격
 
일 자
 
일 자
 
일 자
 
고 객 명
 
부 품 명
 
직 책
 
직 책
 
직 책
 
MATERIAL
 
Part Rank
 
서 명
 
서 명
 
서 명
 
※ Sketch or Attached "Marked-Up" Drawing or Photo
 
 
 
 
 
 
 
 
 
 
 
 
 
 























 
 























 
 























 
 























 
 























 
 























 
 























 
 























 
 























 
 























 
 























 
 























 
 























 
 























 
 























 
항목
 
치수
검사 기준
관리방법
No.
Rev. Date
Revision Record
외관
 
 
 
 
 
 
 



 

 

 

www.kangha.net

Email : kangha@daum.net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비정기점검표_성형연마기  (0) 2024.05.30
인수검사성적서(PCB)  (1) 2024.05.29
3정5행 지적사항  (0) 2024.05.27
인수검사성적서-나사  (0) 2024.05.25
자격인증평가표  (0) 2024.05.24





1. 적용범위
본 지침서는 회사의 특정 업무/특수공정 종사 인원의 사내자격 인증부여요청, 자격부여, 관리 및
사후 관리까지 적용한다.
 
2. 목 적
   본 지침서는 자격 인증에 대한 세부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유자격자에 의하여 정확한 업무 수행이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특정업무
1) 특정업무라 함은 품질/환경 경영시스템 운영에 있어서 일반적 업무와는 달리 적절한 자격(학력,
교육훈련, 숙련도 및 경험)을 필요로 하는 업무를 말하며 법적 또는 고객 요구사항이 있을 경우 
이를 반영하여 특정업무로 적용한다.
2) 당사에서의 특정업무 분류는 다음과 같다.
(1) 내부심사 업무
(2) 시험/검사 업무, 환경 측정 업무
(3) 설계 활동(공정 설계) 업무
(4) 특수 작업 업무
 
4. 책임과 권한
4.1 최고경영자(대표이사)
 최고경영자(대표이사)는 특정 업무자에 대한 사내자격 인증부여에 대한 권한이 있다.
4.2 관리부서장
 관리부서장은 자격인증관리 주관부서(팀)장으로서 다음업무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있다.
1) 회사의 특정업무 수행분야를 설정/분류
2) 회사의 특정업무 수행에 필요한 자격조건(각 부서에서 정한 조건 활용) 관리
3) 해당부서(팀)에서 의뢰한 자격인증의 부여(등록, 변경, 취소) 및 자격인증사항 관리
4) 내부심사 업무 수행자에 대한 자격기준 설정 및 평가관리 
4.3 관련부서장
  부서 내 수행업무 중 자격인증이 필요한 특정업무대한 자격기준 설정 및 평가 관리
 
5. 업무절차
5.1 특정업무 설정 내용 및 자격인증 기준
1) 단, 검사원인 경우 색약이 있으면 안되며,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자 이어야 한다.
5.2 자격인증 부여요청 
1) 특정임무 책임부서(팀)장은 특정업무 수행자에 대하여 해당자격기준에 적합한 교육훈련 및 평가
를 실시하여 “자격인증 평가표(Q-0741-01)”를 작성하여 승인권자(대표)의 승인을 득한 후 자격
인증관리 업무 주관팀(관리부서)으로 자격인증 등록을 요청한다.
2) 자격인증 부여를 위한 조건은 5.1항에 의하여 학력, 경험, 숙련도, 교육훈련 내용에 대하여 특정
임무 책임부서(팀)장이 평가하여 합격한 경우로 한다. 
3) 특정임무 책임부서(팀)장은 부여된 자격 인증의 변경, 취소의 경우에도 “자격인증 평가표
(Q-0705-01)”를 작성하여 승인권자(대표이사)의 승인을 득한 후 자격인증관리 업무 
주관팀(관리부서)으로 기 부여된 자격인증 사항의 변경, 취소를 요청한다.
5.3 자격인증 부여 및 관리
1) 자격인증관리 업무 주관팀(관리부서)장은 특정임무 책임부서(팀)에서 요청한 사항에 대하여 
특정 업무별 자격기준에 적합하면 자격인증을 부여하고, 부적합 시에는 증빙자료 보완 요청 
또는 해당 자료를 요청부서(팀)로 반려한다.
2) 관리부서장은 “자격인증 관리대장(Q-0741-01)"에 자격인증사항(등록, 변경, 취소)을 기록 
관리한다.
3) 관리부서장은 자격인증 자에게 “자격 인증서(Q-0741-02)"를 작성하여 지급한다.
4) 자격인증 번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www.kangha.net

Email : kangha@daum.net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록관리프로세스  (1) 2024.06.02
QC공정도작성지침서  (0) 2024.05.23
시험 및 측정장비 관리규정  (0) 2024.05.22
대기환경관리지침서  (0) 2024.05.15
부적합품관리절차서  (0) 2024.05.14

 (강하넷)

www.kangha.net

 

 



()강하넷 Q·C 공정도 문서번호 Q-701
승인일자 2016. 11. 17
개정번호 0 Page 1/4
 개정이력  문서 승인

 

1. 적용범위

본 지침은 당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품질을 관리할 목적으로 작성되는 Q·C 공정도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 적

당사의 제품 생산을 위한 Q·C 공정도의 작성 및 활용 방법에 대하여 필요한 모든 사항에 관해규정하며 Q·C 공정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용어의 정의

Q·C 공정도는 생산 공정에 따라서 공정마다 품질특성 생산조건, 관리방법, 적용규격, 표준 등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보기 쉽게 작성된 것이다.

 

4. 업무 절차

4.1 책임과 권한

1) 생산부서장은 Q·C공정도 작성 및 관리할 책임이 있다.

2) 생산부서장은 작성된 Q·C 공정도를 작성하고 대표이사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한다.

()강하넷 Q·C 공정도 문서번호 Q-701
승인일자 2016. 11. 17
개정번호 0 Page 2/4

 

4.2 Q·C 공정도 작성

1) Q·C 공정도는 생산부서장이 작성하고 경영대리인의 검토로 확정된다.

2) Q·C 공정도 작성 시 사용되는 기호는 공정표시 기호에 의하여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작성 방법

) Q·C 공정에 있어서 품질을 명확히 하고 특히 품질과의 관련을 명확하게 한다.

) 공정의 관리 방법을 명확하게 할 것

) 관련되는 규격 표준 등을 공정마다 적용여부 방법에 대하여 확실히 한다.

 

4.3 Q·C 공정도 활용

1) Q·C 공정도를 기초로 하여 공정의 편성 및 치공구/계측기 작업 표준 관리자 그리고 작업자에 대한 교육 주의사항의 확인 등에 사용한다.

2) 불량률, 능률 작업성의 측면에서 생산조건, 기타 문제 등의 개선점을 찾는다.

 

4.4 Q·C 공정도 관리/개정/폐기

1) Q·C 공정도는 사외비로 하고 사외에 제출할 필요가 있을 때는 생산부서장의 승인을 받은 후 반출한다.

2) 개정시는 원본을 생산부에서 정정하고 승인을 득한 후 사용한다.

3) 폐기시는 제품특성 또는 Q·C설비 등에 따른 규정이 대폭적으로 변경 생산되는 경우는 회수하여 폐기한다.





 

 

 

www.kangha.net

Email : kangha@daum.net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록관리프로세스  (1) 2024.06.02
자격인증관리지침서  (0) 2024.05.26
시험 및 측정장비 관리규정  (0) 2024.05.22
대기환경관리지침서  (0) 2024.05.15
부적합품관리절차서  (0) 2024.05.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