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작성, 검토 및 승인

? 문서 식별

? 관 리 본

Q P -

? 비관리본

관리처 :

? 본 품질지침서는 강하넷의 품질경영 방침에 따라 다음 책임자에 의해 작성(개정), 검토 및 승인이 되어야 효력이 있다.

구 분

부 서 명

직 책

성 명

서 명

일 자

작성(개정)

관리부

업무과장

04. 04. 01.

검 토

품질부

부 서 장

04. 04. 01.

승 인

품질경영대리인

04. 04. 01.

? 합 의

부 서 명

관리부

품질개발실

영업부

성 명

서 명

일 자

04. 04. 01.

04. 04. 01.

04. 04. 01.

? 회 람

성 명

서 명

일 자

성 명

서 명

일 자

B. 목차 및 개정 현황

번호

개정일자

개정내용

Rev.1

Rev.2

Rev.3

Rev.4

Rev.5

Rev.6

Rev.7

Rev.8

Rev.9

Rev.10

시멘트모르터의 압축강도시험 지침서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50㎜의 입방 시험체를 사용한 시멘트 모르터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대하여 규정 한다.

2. 장 치

2.1. 모르터의 제조

1) 혼합기, 혼합용기 및 패들

2) 저울

3) 메스실린더

4) 고무제 스크레이퍼

5) 표준체 : #50체. #30체

6) 자기온습도계

2.2. 플로우(흐름)시험

1) 플로우 테이블 및 플로우 몰드

2) 다짐봉 : 단면 1.2 × 2.5㎝ , 길이 12 ~ 15㎝

3) 버니어 켈리퍼

2.3. 시험체 제작, 양생 및 압축강도 시험

1) 입방체 몰드

2) 습윤양생 장치

3) 만능재료 시험기

3. 시험 방법

3.1. 모르터 만드는 방법

SWS-F-320(시멘트의 반죽 및 모르터의 기계적 혼합방법)에 따른다.

3.2. 흐름 시험

모르터의 주도를 결정키 위하여 플로우 시험을 행한다.

1) 플로우 테이블 윗면 중앙에 플로우 몰드를 놓는다.

2) 몰드에 모르터를 약 2.5㎝ 두께의 층으로 하여 넣고 다짐봉으로 25회 찧는다. 찧는 압력은 몰드에 균일하게 차는데 충분하도록 하며, 다시 모르터를 몰드에 채우고 처음 층에서와 같이 찧는다.

3) 모르터를 평면으로 잘라내고 몰드의 윗면에 맞추어 흙손으로 곧은 날로 몰드의 면에 직각이 되게 세우고 몰드의 윗면을 따라서 톱질 운동으로 평평하게 한다.

4) 반죽을 마친 후 1분 뒤에 몰드를 모르터로부터 들어 올린다.

5) 즉시 테이블을 15초 동안에 25회 1.27㎝의 높이로 낙하시킨다.

6) 테이블 위에 펴진 모르터를 거의 같은 간격으로 4개의 평균 밑지름 증가를 켈리퍼 측정 하여 이것을 원지름의 백분율로 표시한다.

7) 규정된 플로우 110 ~ 115를 얻을 때까지 물의 백분율을 변경하여 시험 모르터를 만든다.

3.3. 시험체 만들기

1) 플로우 시험이 끝난 즉시 모르터를 플로우 테이블로부터 혼합용기에 쏟아 넣어 전 뱃치를 보통 속도로 15분간 반죽한다. 모르터 뱃치의 처음 반죽이 끝난 뒤로부터 2분 15초 이내에 시험체의 성형을 시작한다.

2) 각 입방체 칸안에 두께 약 2.5㎝로 모르터를 채우고, 각 칸에 대하여 약 10초 동안에 4바퀴로 32회 찧는다.

3) 한 바퀴마다 직각으로 방향을 바꾸어 시험체 전면에 8회의 인접한 찧기로 한다.

4) 모르터 찧기(32회)는 하나의 입방체를 끝낸 후 다음의 것으로 옮겨야 하며 전부의 칸에 대하여 제1층의 찧기를 끝내고 모든 칸에 남은 모르터는 다시 채우고 1층에서 규정한대로 찧는다.

5) 제2층은 찧는 동안 한 바퀴마다 장갑을 낀 손가락과 막대로 밀려나온 모르터는 몰드위에 쌓아 올린다.

6) 몰드 윗면에 밀려나온 모르터는 흙손으로 밀어 넣고 흙손으로 평평한 면을 진행방향으로 날을 약간 올리고 몰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각 입방체의 상부를 한번 건너 당김으로써 입방체를 고르게 한다.

7) 몰드에 대해 흙손의 곧은 날을 직각으로 대고 몰드의 길이에 따라서 톱질운동을 하여 몰드의 윗면과 같은 면으로 모르터를 잘라낸다.

3.4. 공시체 성형

몰드에 약 2.5㎝ 두께로 모르터를 채우고 탬퍼로(그림 1)과 같은 순서로 10초 동안에 2회전하여 8번 다진다.

4

5

4

5

3

6

3

6

2

7

2

7

1

8

1

8

그림 1 공시체를 성형할때 다지는 순서

큐브몰드에 균일하게 채워질 정도의 압력을 가한다. 제일층의 몰드 다짐이 끝나면 남은 부분에 모르터를 채우고 일층과 같은 방법으로 다진다. 성형이 끝나면 즉시 습기함에 넣고 4~5시간 방치한 후 꺼내어 여분의 모르터는 떼어버리고 몰드 높이대로 평형하게 다듬어서 다시 습기함에 넣는다. 습기함에서 24시간 양생후 압축강도 시험할 때 까지 수조에 넣어 양생 시킨다.

3.5. 시험체의 양생

1) 성형이 끝난 즉시 몰드에 모르터를 넣은 그대로 밑판에 얹어서 습기함이나 양생실에 20~24시간 보관한다.

2) 시료번호, 제작일, 시험일자등 필요한 사항을 기록한다.

3) 24시간 시험을 할 때만 제외하고는 불침식성 재료로 만든 저장용 수조의 깨끗한 물속에 담가 놓는다.

4) 압축강도 시험은 각 재령마다 3개의 시험체에 대하여 행한다.

3.6. 압축강도 시험

1) 재령 1일 시험을 하기 위해 꺼낸 딴 시험체는 시험할 때까지 젖은 헝겊으로 덮어 두거나 3 ± 2℃ 온도의 물속에 완전히 잠기도록 해야 한다.

2) 각 시험체는 표면이 건조상태가 되도록 물기를 닦고 곧은자를 써서 지지블록과 접촉할 면을 검사한다.

3) 하중은 균일한 속도로 가하여야 하며 예측하는 하중이 1,350㎏ 이상의 시험체에 대해서는그 예측 하중의 초기부하의 1/2까지 임의의 속도로 부하하고 나머지 하중은 끝임없이 가하여 시험체가 파괴되도록 해도 좋다.

4) 3)항의 시험시 최대하중을 기록하고, 그 압축강도를 ㎏f/㎠으로 계산한다.

4. 계 산

시험기가 표시한 최대하중을 기록하고, 그 압축강도를 ㎏f/㎠으로 계산한다.

5. 불완전 시험체

압축강도를 결정하는데 있어 명백한 불완전 시험체 또는 같은 시간, 같은 시료를 시험한 전 시험체 중에서 평균값보다 10이상의 강도차가 있는 시험체는 압축강도의 계산에 넣지 않는다.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멘트분말도시험지침서  (0) 2012.08.12
복무규정  (0) 2012.08.07
혼화제 비교시험 지침서  (0) 2012.07.28
운반공정작업지침서  (0) 2012.07.27
사업계획서  (0) 2012.07.11

A. 작성, 검토 및 승인

? 문서 식별

? 관 리 본

Q P -

? 비관리본

관리처 :

? 본 품질지침서는 강하넷의 품질경영 방침에 따라 다음 책임자에 의해 작성(개정), 검토 및 승인이 되어야 효력이 있다.

구 분

부 서 명

직 책

성 명

서 명

일 자

작성(개정)

관리부

업무과장

04. 04. 01.

검 토

품질부

부 서 장

04. 04. 01.

승 인

품질경영대리인

04. 04. 01.

? 합 의

부 서 명

관리부

품질개발실

영업부

성 명

서 명

일 자

04. 04. 01.

04. 04. 01.

04. 04. 01.

? 회 람

성 명

서 명

일 자

성 명

서 명

일 자

B. 목차 및 개정 현황

번호

개정일자

개정내용

Rev.1

Rev.2

Rev.3

Rev.4

Rev.5

Rev.6

Rev.7

Rev.8

Rev.9

Rev.10

혼화제비교시험지침서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당사에서 레미콘 제조에 사용하는 혼화제의 비교시험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시료의 수 및 양

시료는 어떤 정한 양에 대하여 혼화제의 평균 품질을 나타내도록 KS A 3151(랜덤샘플링방법)을 원칙으로 하되 검사 로트 및 단위체에서 각각 200g씩 채취한다.

3. 시료의 보관

채취한 시료는 즉시 밀폐형 용기에 넣어 습기나 공기와 접축이 안되도록 밀봉하여 보관한다.

4. 시 험

4.1. 시험에 사용하는 재료

4.1.1 시멘트

시멘트는 임의로 선정한 3개의 서로다른 제조회사의 SWS-D-201(시멘트 재료규격)에 규정하는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를 똑같은 양으로 사용한다.

4.1.2. 골재

골재는 청정, 강경하며 내구성이 있고 먼지, 흙, 유기불순물, 염분등의 해로운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것으로하고, 굵은골재는 자갈 또는 부순돌, 잔골재는 모래로하며 표 1에 제시한 품질을 가진것으로 한다.

골재의 입도는 대소립이 적당히 혼합되어 있는것으로서 그입도는 표 2의 범위로 한다.

표 1

항 목

절건비중

흡수율 %

입도판정의

실적율

(부순돌) %

점토

덩어리 %

씻기시험에

의한 손실량 %

유기

불순물

안정성

(5회)

염분

굵은골재

2.5 이상

2.0 이하

57 이상

0.25 이하

1.0 이하

-

10 이하

-

잔 골 재

2.5 이상

3.0 이하

-

1.0 이하

2.0 이하

표준색

보다

연할것

8 이하

0.04

이하

표 2

체의 호칭

치수 (㎜)

체를 통과하는 것의 무게 백분율 %

25

20

15

10

5

2.5

1.2

0.6

0.3

0.15

비 고

굵 은 골 재

100

90

55

25

0

0

-

-

-

-

-100

-75

-45

-5

-2

잔 골 재

-

-

-

-

100

85

60

30

15

2

-100

-80

-50

-25

-10

4.1.3. 물 혼합에 사용하는 물은 음료수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4.1.4. 혼화제

혼화제의 시료는 대표적인 것으로 한다.

4.2. 배 합

배합은 기준 콘크리트 또는 시험콘크리트에 대하여 4.2.1 - 4.2.5에 적합한 쪽으로 정한다.

4.2.1. 단위시멘트량

단위시멘트량은 슬럼프가 8㎝의 콘크리트에는 280㎏/㎥, 슬럼프가 18㎝의 콘크리트에는 300㎏/㎥로 한다. 다만, 굵은골재로서 부순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위 시멘트량을 각각 20㎏/㎥ 증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4.7.1에 따라서 산출된 단위 시멘트량은 상기의 값보다 5㎏/㎥ 이상의 차이가 없어야 한다.

4.2.2. 단위수량

단위수량은 혼합시의 슬럼프가 8±1㎝ 또는 18±1㎝가 되는 양으로 한다.

4.2.3. 혼화제의 사용량

혼화제의 사용량은 제조자가 지정하는 양을 참고로 하여 정한다.

4.2.4. 공기량

a) 기준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2.0%이하로 한다.

b) 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기준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1.0%를 더한것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c) AE제 또는 AE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기준 콘크리트의 공기량에 3.0%를더한것에 대하여 0.5%이상의 차이가 없어야 한다. 또한, AE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이 상기의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그 AE감수제의 제조자가 지정하는 공기량 조정제를 가하여 조정한다.

4.2.5. 잔골재율

잔골재율은 기준 콘크리트에 대하여는 40 - 50%의 범위에서 양호한 워커빌리티를 얻을수 있는 수치로하고, 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하여는 기준 콘크리트의 잔골재율에서 0 - 1%, AE제 또는 AE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하여는 기준 콘크리트의 잔골재율에서 1 - 3%를 각각 감한 값으로 한다.

4.3. 콘크리트의 제작방법

콘크리트는 SWS-F-324(시험실에서 콘크리트 시료를 만드는 방법)에 따라 제작하는 것으로 한다.

4.4. 혼 합

4.4.1. 믹서

혼합에 사용하는 믹서는 SWS-F-331(콘크리트중의 모르터와 굵은골재량의 변화율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고, 강제믹서는 1.5분간, 가경식 믹서는 3분간 혼합했을때 콘크리트중의 모르터의 단위용적, 중량차가 0.8이하, 콘크리트중의 단위굵은 골재량의 차가 5이하로 되는 것이어야 한다.

4.4.2. 혼화제의 사용방법

혼화제는 미리 혼합수에 혼입하여 믹서에 투입한다.

4.4.3. 혼합시간

콘크리트는 전 재료를 믹서에 투입한후 강제 혼합인 경우에는 1.5분간, 가경식 믹서인 경우에는 3분간 혼합한다.

4.4.4. 혼합 배치수

시험에 사용하는 1종류의 콘크리트는 2배치 혼합하는 것으로 한다.

4.4.5. 온도

콘크리트의 혼합후의 온도는 20±3℃로 한다.

4.5. 시 료

콘크리트의 시료채취 방법은 SWS-F-325(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방법)에 따른다.

4.6. 콘크리트의 시험

4.6.1. 슬럼프

슬럼프 시험은 SWS-F-326(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따른다.

슬럼프 시험은 각 배치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행하고 결과의 평균치를 그 종류의 콘크리트 슬럼프로 한다.

4.6.2. 공기량

공기량 시험은 SWS-F-327(콘크리트의 공기함유량 시험방법)에 따른다. 공기량 시험은 각 배치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실시하고 결과의 평균치를 그 종류의 콘크리트 공기량으로 한다.

4.6.3. 단위용적 중량

단위용적 중량시험은 SWS-F-332(굳지않은 콘크리트의 단위용적 중량 및 공기량에 의한 시험방법)에 따른다. 단위용적 중량시험은 1배치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2회 실시하고 결과의 평균치를 그 배치의 콘크리트 단위용적 중량으로 한다.

4.6.4. 블리이딩량

블리이딩량의 시험은 SWIS-F-328(콘크리트의 블리이딩 시험방법)에 따른다.

블리이딩량시험은 각 배치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실시하고 결과의 평균치를 그 종류의 콘크리트 블리이딩량으로 한다.

4.6.5. 응결시간

응결시간의 시험은 부속서 1(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시험방법)에 따른다.

응결시간의 시험은 각 배치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실시하고 결과의 평균치를 그 종류의 콘크리트 응결시간으로 한다.

4.6.6. 압축강도

압축강도는 SWS-F-335(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따라 3일, 7일및 28일의 각 재령으로 시험하여 구한다. 공시체는 SWS-F-333(시험실에서 콘크리트의 압축 및 휨강도 시험용 공시체를 제작하고 양생하는 방법)에 따라 제작하고, 온도 20±3℃의 습윤상태로 강도시험을 위한 양생을 한다. 공시체의 수는 각 재령별 3개로 하고, 결과의 평균치를 그 종류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로 한다.

4.6.7. 길이변화

길이변화 시험은 KS F 2424 (모르타르및 콘크리트의 길이 변화 시험방법)에 따른다.

공시체는 성형후 약 24시간 경과시 탈형한 후, 온도 20±3℃의 습윤상태로 재령 7일이 될때까지 양생한다. 길이의 측정은 재령 7일에 실시하고, 공시체를 습윤상태로부터 꺼낸 직후에 측정한다. 길이측정후, 온도 20±3℃, 습도 60±5의 실내에 보존하고 길이변화를 측정한다. 공시체의 수는 1종류의 콘크리트의 길이 변화율로 한다.

4.6.8.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시험은 슬럼프 8㎝의 시험 콘크리트에 대하여 KS F 2456(급속동결융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시험방법)에 따라 행하고 상대 동탄성계수를 측정한다. 공시체의 수는 1종류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3개로하고, 동결융해의 반복 200 사이클에 따른 결과의 평균치를 그 종류의 콘크리트의 상대 동탄성 계수로 한다.

5. 결과의 계산

5.1. 단위 시멘트량 및 단위수량

단위 시멘트량및 단위수량은 5.6.3에 따라 구한 콘크리트의 단위용적 중량으로부터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고 KS A 0021(수치의 맺음법)에 따라 소수점 이하 한자리를 끝맺음하여 정수로 표시한다. 단위 시멘트량및 단위수량은 각 배치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산출하고 결과의 평균치를 그 종류의 콘크리트 단위 시멘트량 또는 단위수량으로 한다.

단위 시멘트량 (㎏/㎥) = Wc × W/Wb

단위 수량 (㎏/㎥) = Ww × W/Wb

여기에서 Wc : 1배치당의 시멘트량 (㎏)

W : 4.6.3에 따라 구한 콘크리트의 단위용적 중량 (㎏/㎥)

Wb : 1배치당의 콘크리트 재료의 전 중량 (㎏)

Ww : 1배치당의 수량 (㎏)

5.2. 감수율

감수율은 5.1에 따라 구한 단위수량으로부터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고 KS A 0021에 따라 소수점 이하 한자리를 끝맺음하여 정수로 표시한다.

여기에서 Wwc : 5.1에 따라 구한 기준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

Wwt : 5.1에 따라 구한 시험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

5.3. 블리이딩량의 비

블리이딩량의 비는 4.6.4에 따라 구한 블리이딩량으로부터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고, KS A 0021에 따라 소수점이하 한자리를 끝맺음하여 정수로 표시한다.

블리이딩량의 비(%) = (Bt/Bc) ×100

여기에서 Bt : 4.6.4에 따라 구한 시험 콘크리트의 블리이딩량 (㎏f/㎠)

Bc : 4.6.4에 따라 구한 기준 콘크리트의 블리이딩량 (㎏f/㎠)

5.4. 응결시간의 차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의 차는 5.6.5에 따라 구한 초결 또는 종결시간으로부터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고 정수로 표시한다.

응결시간의 차 (min) = Tt - Tc

여기에서 Tt : 4.6.5에 따라서 구한 시험 콘크리트의 초결 또는 종결시간 (min)

Tc : 4.6.5에 따라서 구한 기준 콘크리트의 초결 또는 종결시간 (min)

5.5. 압축 강도비

압축 강도비는 4.6.6에 따라 구한 압축강도로 부터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고, KS A 0021에 따라 소수점이하 1자리를 끝맺음하여 정수로 표시한다.

압축강도비 (%) = (St/Sc) × 100

여기에서 St : 4.6.6에 따라 구한 시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

Sc : 4.6.6에 따라 구한 기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f/㎠)

5.6. 길이 변화비

길이 변화비는 4.6.7에 따라 구한 길이 변화율로 부터 다음 식으로 계산하고 KS A 0021에 따라 소수점 이하 한 자리를 끝맺음하여 정수로 나타낸다.

길이 변화비 (%) = (Lt/Lc) × 100

여기에서 Lt : 4.6.7에 따라 구한 시험 콘크리트이 길이 변화율 (%)

Lc : 4.6.7에 따라 구한 기준 콘크리트의 길이 변화율 (%)

5.7.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은 4.6.8에 따라 구한 상대등 탄성계수에 따라 표시한다.

6. 표 시

혼화제의 용기 또는 송장에는 다음의 사항을 표시한다.

6.1. 명 칭

6.2. 종류 또는 용적

6.3. 중량 또는 용적

6.4. 제조년, 월 또는 그 약호

6.5. 제조자 명 또는 그 약호

6.6. 취급상의 주의

A. 작성, 검토 및 승인

? 문서 식별

? 관 리 본

Q P -

? 비관리본

관리처 :

? 본 품질지침서는 강하넷의 품질경영 방침에 따라 다음 책임자에 의해 작성(개정), 검토 및 승인이 되어야 효력이 있다.

구 분

부 서 명

직 책

성 명

서 명

일 자

작성(개정)

관리부

업무과장

04. 04. 01.

검 토

품질부

부 서 장

04. 04. 01.

승 인

품질경영대리인

04. 04. 01.

? 합 의

부 서 명

관리부

품질개발실

영업부

성 명

서 명

일 자

04. 04. 01.

04. 04. 01.

04. 04. 01.

? 회 람

성 명

서 명

일 자

성 명

서 명

일 자

B. 목차 및 개정 현황

번호

개정일자

개정내용

Rev.1

Rev.2

Rev.3

Rev.4

Rev.5

Rev.6

Rev.7

Rev.8

Rev.9

Rev.10

1. 적용범위 및 목적

본 장은 도로와 관련하여 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시설의일반사항을 취급한다. 배수시설은 다음의 제시설을 포함한다.

․신설수로

․토사구(측구, 산마루 측구)

․L형 측구

․ 콘크리트 도수로

․콘크리트 수로보호공

․돌붙임

․콘크리트바닥 끝막기

․PVC 맹암거

․콘크리트 관거

․면벽

․암거

상기한 모든 구조물은 신설 계획하거나 기존구조물을 확장하는 것으로서 설계 도서에 표시된 선형 및 구배로 설치되어야 하며 타공종과 연관 및 조화가 되도록 설치하여 시공목적에 부합되도록 하며 표준도와 일치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2. 책임과 권한

2.1 현장소장

현장전체의 작업 및 배수공의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한다.

2.2 공사과장

배수공의 진행과정을 관리, 감독, 검사하는 책임이 있다.

2.3 품질 보증 담당

각종 자재 및 완성품의 품질검사를 하는데 그 책임이 있다.

3. 작업지침 및 절차

3.1. 공사과장은 철근 및 거푸집 해체조립의 공정계획을 수립하고 자재담당자와 협의하여 자재수급을 한다.

3.2. 입고된 자재는 품질담당자의 검사 절차를 거쳐 안전하게 보관한다.

3.3. 공사과장은 레미콘 타설의 계획을 수립한다.

3.4. 공사과장 및 품질담당자는 완성된 교량의 양생 및 보존 방법을 강구한다.

4. 품질관리 LIST

4.1. 소규모 구조물 시공일반

4.1.1. 터 파 기

터파기 도면 및 공사감독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깊이 및 구배에 일치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노상 또는 비탈면에서의 터파기는 기완성된 부분이 교란되지 않도록 최소한도로 하여야 한다. 터파기가 소정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는 도급자 부담으로 바닥콘크리트 또는 공사감독이 지시하는 재료로써 되메워야 한다. 기계에 의한 커파기, 되메우기 및 다짐작업은 그 기계의 사용이 효율적이며 구조물이나 기타의 재산에 피해가 없는 개소에 한하여 공사감독의 승인을 받아 시행할 수 있다.

4.1.2. 터파기 마무리

모든 터파기는 소정의 깊이 및 구배에 일치되도록 인력에 의하여 조심해서 마무리 하여야 한다. 암반인 경우에는 소정의 바닥높이 위로 돌출한 느슨한 돌이나 돌기부는 이를 제거하여야 한다. 암반을 소정깊이 이하로 터파기를 했을때는 바닥콘크리트 또는 공사감독이 지시하는 재료로써 소정의 바닥 높이가 되도록 되메워야 한다. 소정바닥면 이하가 연약지반일 때에는 공사 감독의 지시에 따라 이를 제거하고 입상재료 또는 기타 적당한 재료로 되메워야 한다.

4.1.3. 터파기 검사

터파기한 바닥은 공사감독의 검사와 승인을 받은 후에 콘크리트치기를 시행하여야 한다.

4.1.4. 사 토

터파기한 재료중 적합한 것은 공사감독과 합의된 곳에 이를 사용할 수 있다. 부적합한 재료는 공사감독의 사전승인을 받아 사토장으로 운반하여야 한다. 도급자는 인근 재산에 대한 피해가 없도록 사토장을 정리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4.1.5. 뒷채움 재료

작은 구조물(암거, 콘크리트수로, 집수거 등)의 뒷채움 재료 및 터파기 또는 기타의 곳에서 얻은 소단 축조용 재료는 공사감독의 승인을 얻은 것이어야 한다.기타 구조물의 되메우기는 주위의 노상과 동일한 밀도가 되도록 감독관의 승인을 득한 재료와 장비로서 층다짐을 하여야 한다. 이들 구조물 인근의 보조기층 및 기층을 다질때에는 구조물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진동탬퍼 (Vibro Tamper) 또는 기타의 승인받은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4.2. 소형구조물용 콘크리트 및 모르터

배수구의 바닥은 균일한 구배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별도 지시가 없는 한 공장 제품등의 이음부는 용적배합비가 1:3인 모르터로 메워야 한다. 경사가 심한 콘크리트 도수로나 비탈면 보호공은 시공할 때 활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특별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며 콘크리트를 칠 때 그 하부의 완성된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유의하고 또 구조물이 기초에 고착되도록 하여야 한다. 배수구, 집수거, 암거등에 사용할 콘크리트는 구조용 콘크리트 및 철근콘크리트 (치기)의 항에서 규정된 제요구조건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한다. 집수거의 상단 지지면은 평탄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또는 창살형 두껑과 완전히 부합되도록 하고, 배수관과의 이음부는 별도규정이 없는 한 용적배합비는 1:3인 모르터로 메워야 한다. 필요시 공사감독이 지시하는 바에 따라 배수거 또는 집수정의 측벽에는 철망을 넣어 이를 보강하여야 한다.

4.2.1. 시공

(1) 기 초

암거의 바닥 슬라브(Slab)는 공사감독의 지시에 따라 바닥콘크리트로 잘다진 기초위에 축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암거의 바닥 슬라브는 암거의 다른 부분에 콘크리트를 치기전에 굳어져야 하며 이 경우 바닥과 벽체가 일체가 되도록 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는바 시공 이음부에서는 누수를 가능한 한 방지 할 수 있는 요철형 키(key)의 시공이 바람직하다. 측벽콘크리트를 치기에 앞서 암거의 바닥은 모든 찌꺼기, 톱밥등의 불순물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하며 접속부는 조심스럽게 쪼아서 거칠게 만들어야 한다.

(2) 콘크리트 치기

철근, 거푸집, 비계, 동바리 등을 제반사항 규정에 따라 조립완료하여 감독관의 승인을 득한 후 콘크리트작업을 하여야 한다. 암거 시공에 있어서 그 높이가 1.00m이하인 것은 측벽과 상부슬라브의 콘크리트를 동시에 쳐야 하며 이 경우에 필요한 시공이음은 암거축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암거의 높이가 1.00m이상인 경우네는 측벽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상부 슬라브의 콘크리트를 쳐야 하며 이때 측벽에는 슬라브와의 결합을 위하여 적당한 맞물림키(key)를 시공해 놓아야 한다. 날개벽은 가능하면 구체와 동시에 콘크리트를 쳐야 한다. 불가피하여 시공이음을 둘 때에는 이를 수평이 되도록 하고 그 위치는 지표위에 날개 벽과 같이 외관에 나타나는 곳을 피하여야 한다. 또한 물구멍, 시공이음을 감독관의 사전확인 후 설치해야 한다.

(3) 되메우기 및 뒷채움

되메우기 및 뒷채움은 본 시방서에 규정된 바에 따라 시행하여야 한다. 상부가 굳어질 때까지는 암거의 양벽을 뒷채움 하여서는 안되며 상부 슬라브가 노상마무리 면으로부터 1.00m이내의 깊이에 있을 때에는 양질의 막자갈을 사용하여 암거 측벽부 뒤에 층층이 쐐기 모양으로 펴넓히고 이를 충분히 다져야 한다.

4.3. 배 수 관 공

4.3.1. 기초

관거 하부의 토질이 예상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지 조사검토하여야 하며 만약 암반이나 호박돌이 관거에서 50㎝이내의 깊이에 있으면 이를 제거하고 공사감독이 인정하는 양질의 입상재료로 대체하여야 한다.

4.3.2. 설치

관거의 설치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형상, 치수의 관을 설계도서 또는 감독관이 지시한 선형 및 구배로 설치하여야 한다. 시공은 바닥을 평활 하게 하여 균일한 구배로 하고 기초와의 밀착을 기하며 관내면에 어긋나지 않도록 낮은측 또는 하류측부터 시공하여야 한다.

4.3.3. 접 합 부

접합부는 모르터로 틈사이를 잘 채우고 누수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시공하여야 한다. 이때 모르터를 시공하기 전에 시공부위를 잘 청소한 후 물로 충분히 적셔두어야 한다.

A. 작성, 검토 및 승인

? 문서 식별

? 관 리 본

Q P -

? 비관리본

관리처 :

? 본 품질지침서는 강하넷의 품질경영 방침에 따라 다음 책임자에 의해 작성(개정), 검토 및 승인이 되어야 효력이 있다.

구 분

부 서 명

직 책

성 명

서 명

일 자

작성(개정)

관리부

업무과장

04. 04. 01.

검 토

품질부

부 서 장

04. 04. 01.

승 인

품질경영대리인

04. 04. 01.

? 합 의

부 서 명

관리부

품질개발실

영업부

성 명

서 명

일 자

04. 04. 01.

04. 04. 01.

04. 04. 01.

? 회 람

성 명

서 명

일 자

성 명

서 명

일 자

B. 목차 및 개정 현황

번호

개정일자

개정내용

Rev.1

Rev.2

Rev.3

Rev.4

Rev.5

Rev.6

Rev.7

Rev.8

Rev.9

Rev.10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시험 지침서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잔골재의 비중, 겉보기 비중 및 흡수율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비중은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 중 골재가 차지하는 용적의 계산에 사용된다.

2. 시험용 기구

2.1. 저울

2.2. 플라스크

시험 시료를 용이하게 집어 넣을 수 있고, 변화량 0.1㎖이내로 내부 용량을 재현시킬 수 있는 플라스크나 기타 적당한 용기이어야 한다. 용기의 용적은 시험에 소요되는 부분보다 최소 50%이상 커야 하며, 500g의 시료에 대하여 500㎖의 용적 플라스크가 적당하다.

2.3. 원추형 몰드

윗지름 40 ± 3㎜, 아랫지름 90 ± 3㎜, 높이 75 ± 3㎜, 최소두께 0.8㎜의 원추형 몰드이어야 한다.

2.4. 다짐대

무게 340 ± 15g, 지름 25 ± 3㎜인 평평하고 원형인 다짐면을 가진것이어야 한다.

2.5. 건조기

105 ± 5 ℃의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의 건조기이어야 한다.

3. 시료의 준비

시료 분취기 또는 4분법에 의하여, 시료에서 약 1000g의 잔골재를 준비해서 적당한 팬이나그릇에 넣어 105±5℃의 온도에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 다음, 24±4시간 물속에 담근다. 담근 다음 시료를 평평한 용기에 펴서 따뜻한 공기속에서 서서히 건조시킨다.

자주 시료를 헤쳐서 건조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잔골재의 물기가 거의 없게 될때까지 이 작업을 계속해야 한다. 그다음 잔골재를 원추형 몰드에 수직으로 빼올린다. 만일,표면수가 있으면 잔골재의 원추가 흘러내리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몰드를 빼 올릴때 잔골재의 원추가 흘러 내릴때까지 계속해서잔골재를 헤쳐 말려야 하며,또 자주 이 시험을 해보아야 한다.

원추가 처음 흘러 내린다는 것은 잔골재가 표면건조 포화상태에 달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는것이다. 규정된 표면건조 포화상태로 하는데 필요하다면 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주) 흡수량 및 비중의 값을 보통의 습윤상태의 골재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기준으로 이용할 때에는 잔골재를 항량이 될때까지 건조시킬 필요가 없으며, 골재의 표면이 시험할 때까지 젖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24시간 동안 물속에 담글 필요가 없다.

3.의 최대의 시험에는 반드시 약간의 표면수가 있는 시료로서 시험해야 한다. 만약 최초의 시험에는 반드시 약간의 표면수가 있는 시료로서 시험해야 한다. 상태의 한도를 넘어서 건조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 ㎖의 물을 시료에 다시 가하고 잔골재를 완전히 섞은 다음 약 30분간 뚜껑이 있는 용기속에 넣어 두었다가 다시 3.의 과정을 되풀이 하여야 한다.

4. 시험 방법

1) 3. 에 따라서 제작한 500g의 시료를 곧 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용량의 90%까지 채운다음,플라스크를 평평한 면에 굴리어 교란시켜, 기포를 모두 없애야 한다. 다음에 플라스크를 항온조에 담궈 23 ± 1.7 ℃의 온도로 조정한 후 플라스크 시료, 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 무게와 기타의 무게를 0.1g까지 기록한다.

(주) 다른방법으로써 플라스크에 채우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0.15㎖정도의 뷰렛을 사용하여측정해도 좋다. 플라스크, 시료, 물의 총 무게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C = 0.9976 Va + 500 + W

여기에서

C : 물과 공시체를 채춘 플라스크의 무게 (g)

Va : 플라스크에 넣은 물의 양 (㎖)

W : 빈 플라스크의 무게 (g)

2) 잔골재를 플라스크에서 꺼낸다음, 항량이 될때까지 105 ± 5 ℃에서 건조시키고, 실내온도까지 식힌후 무게를 단다.

3) 23±1.7℃의 물을 플라스크의 검정용량까지 채워 무게를 측정한다.

(주) 20 ℃에서 용적 플라스크를 0.15 ㎖의 정밀도로 사용하고 검정했다면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B = 0.9976V + W

여기에서

B :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무게 (g)

V : 플라스크의 용적 (㎖)

W : 빈 플라스크의 무게 (g)

5. 비 중

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여기에서

A : 대기중 노건조 시료의 무게 (g)

B : 물을 채운 플라스크의 무게 (g)

C : 공시체와 물을 검정점까지 채운 플라스크의 무게 (g)

6. 표면건조 포화 상태를 기준으로 한 비중

표면 건조 포화 상태를 기준으로 한 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표면건조

7. 겉보기 비중

겉보기 비중은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겉보기

8. 흡수량

흡수량을 표시하는 흡수율은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한다.

흡수율 (%) = [(500 - A)/A] × 100

9. 정밀도

위의 시험을 2번 실시하여 그 측정값의 차가 비중 시험의 경우에는 그 값의 0.02이하, 흡수율 시험의 경우에는 0.05이하이어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