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적서(공사) 엑셀프로그램 V36

 

회사에서 공사 건별로 작성하는 견적/견적내역서는 대부분의 내역이 비슷하고 단가는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가는 DataBase를 작성하지 않으면 매번 다른 단가를 적용하게 되고 이는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확신하기 어렵습니다. 적용하는 단가를 한 파일에서만 관리하여 일율적인 단가가 작성되고 모든 견적서에 적용될 수 있어야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가비교표/기초일위대가/일위대가에 저장된 품명, 규격, 단위, 단가를 자동으로 찾아와 내역서를 작성하는 시간을 절약할 뿐만아니라 단가의 입력오류를 차단합니다.  적용하는 단가는 할인 및 할증율을 건 및 항목별마다 마음대로 설정하여 실행가, 예산가, 견적가 등 다양한 견적을 즉시 만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계약금액 조정을 위해서 실제의 실행내역을 확인해 봄으로써 해당 견적건의 이윤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과의 가격협상(네고) 시 충분한 협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원가계산서, 총괄내역서, 견적서, 내역서, 실행내역은 각 건별로 저장하여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으며, 견적서/내역서는 파일로 고객에게 제출할 수 있도록 제출용 파일을 별도로 만들 수 있습니다.

내역 작성 후 최종 제출하는 견적금액은 '만'단위 또는 '10만'단위 등으로 조정하는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윤을 조정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데이터의 저장은 {견적표지}{원가계산서}{총괄내역서}{공종별내역}{내역서}{단가표} 시트를 건별로 저장합니다.

{일위대가목록}{일위대가}{기초일위대가}{단가비교표} 시트는 설정에 의해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장하지 않는다면 현재 시트의 값을 매번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임단가}{중기단가}{중기사용}{산출내역} 시트는 {일위대가} 및 {기초일위대가}를 작성하기 위한 자료로 연계수식은 되어있지 않습니다. 

 

{일위대가목록}은 {일위대가}{기초일위대가} 시트의 제품별 소계 내용만을 발췌한 것입니다.

{단가표}에는 {일위대가목록}{단가비교표}의 적용되는 제품의 단가를 취합한 것입니다.

 

 

 

 



==============================================================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중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3.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5. 본 파일은 엑셀2007 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003이하는 안됨

 

==============================================================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2.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하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일부 집계/분석 내용은 지워지지 않을 수도 있으나 가공되는 숫자이기 때문에 무시해도 됩니다.

3. {작성조건 설정}- [설정하기] 실행

4. {단가비교표}{기초일위대가}{일위대가} ~ [목록작성]

5. {내역서} 시트의 [견적 새로작성] - 내용 입력(실행메뉴의 번호순으로 작성) - [저장하기] 실행

 

 

 

 

 

 

 

 

 



{목록}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 없슴

1. 작성셀 : (H11:K11셀) 이하 작성할 것. (청색)

             {실행내역} 작성 시 필요함

2. [견적 저장하기]를 실행하면, 해당값을 이 시트에 저장합니다.

3. (H~K열) 프로젝트에 해당되는 내용을 작성합니다.

4. 필요에 따라 셀의 너비를 조정하세요.

 

 

 

 

 

 

 

 

 

 

 

 

 

 



{견적표지}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견적 관리번호(▲▼) : {견적표지}~{내역서}의 내용을 번호순으로 저장된 내용을 찾아 나타냅니다.

 

1. 관리번호

   (1) 견적서 일련번호는 (H10셀)에 있습니다.

        일련번호는 임의로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2) 번호의 설정은 [견적서번호 설정]을 실행하여야 합니다.

   (3) 일련번호(H10셀)는 글꼴 색상(흰색으로) 변경 등을 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 [견적 관리번호(▲▼)] 버튼

   (1) 일련번호 순으로 저장된 내용을 찾아 나타냄

        ① {견적표지}{원가계산서}{총괄내역서}{공종별내역}{내역서}{견적서} 시트에 저장된 내용을 찾아 나타냅니다.

        ② {견적표지}{원가계산서}{총괄내역서}{공종별내역}{내역서}{견적서} 시트 외 설정에 따라 추가로

            {단가비교표}, {기초일위대가}, {일위대가}, {일위대가목록} 시트(탭색상:청색)를 나타낼 수 있음

   (2) 일련번호가 작성된 범위를 벗어나면 이동하지 않음

   (3) 많은 번호를 건너 뛸 때는 (H10셀)에 직접 일련번호를 입력 후 실행하세요.

 

3. 파일 전체 실행순서

   (1) (기준가격 준비)를 실행

       ① 사용자에 맞게 필요 사항을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② {기준단가 설정}의 [A산충내역], [B중기단가], [C노임단가], [D단가비교표]를 순서대로 작성/실행합니다.

   (2) (일위대가 계산) 실행

       ① [기초일위대가 소계계산] 실행

       ② [일위대가 소계계산] 실행

       ③ [일위대가 목록작성] 실행

       ④ [단가표 만들기(기준단가)] 실행 ; {내역서}에서 작업시 [단가표]의 항목을 기준으로 합니다.

   (3) {내역서}~{원가계산서}의 1, (2,3)~(2,3), 4, 5, 6, 7, 8 순서대로 실행합니다.

   (4) {견적표지}~{기초일위대가} 시트와는 값을 적용하지 않는 참조용입니다.

 

 

 

{원가계산서}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7원가계산서 계산] : {총괄내역서} 시트의 값을 {원가계산서}{견적표지} 시트에 뿌립니다.

   (2) [8견적서 저장하기] : {견적표지~내역서} 시트의 내용을 저장합니다.

 

1. [7원가계산서 계산]

   (1) {총괄내역서} 시트까지 계산된 값을 {원가계산서} 및 {견적표지} 시트에 값을 뿌립니다.

 

2. [8견적서 전체저장]

   (1) 작성시트의 내용을 저장합니다. 

       ① {견적표지}{원가계산서}{총괄내역서}{공종별내역}{내역서}{견적서} 시트에 저장된 내용을 찾아 나타냅니다.

       ② 상기 시트 외 설정에 따라 추가로 {단가비교표}, {기초일위대가}, {일위대가}, {일위대가목록} 시트(탭색상:청색)를 저장할 수 있음

   (2) 저장 전에 [6 금액조정]을 하여 견적금액의 뒷자리를 정리하여 주세요.

   (3) 값을 저장하지 않는 시트 : {노임단가}{중기단가}{중기사용}{산출내역}

 

 

 

 

 

 

 

 

 

 



{총괄내역서}{공종별내역} : (작성내용 없음)

0. 실행메뉴

   (1) [5총괄내역 계산] : {공종별내역}{총괄내역서} 시트를 계산합니다.

   (2) [6금액조정(TRUNC)] : (공급가액)의 값을 입력한 자릿수만큼 버리기 합니다.

   (3) [6금액조정(직접입력)] : (공급가액)의 값을 입력한 숫자로 변경 합니다.

   (4) [저장수식 찾기] : 사용자가 저장한 수식을 {총괄내역서}시트에 나타냅니다.

   (5) [{설정} 계산수식 저장] : 현재의 설정된 수식/문구 등을 저장합니다. (반드시 수식으로 저장할 것)

   (6) [{설정} 저장수식 찾기] : 사용자가 저장한 수식 입니다.

   (7) [{설정} 샘플수식 찾기] : 기본 샘플로 제공하는 수식 입니다.

 

1. 수식설정 ; {설정}시트에서 하세요.

   (1) (직접비 계) 이하 셀을 작성 합니다.  수식도 함께 작성하세요.

   (2) 수식은 샘플로 제공되어 있으니 참조하시어 수식을 작성한 다음 저장하시기 바랍니다.

   (3) 수식을 입력한 후 반드시 [{설정} 계산수식 저장] 하여야 저장된 수식을 찾아 계산합니다.

 

2. [5총괄내역 계산]

   (1) {내역서} 시트에서 소제목(공종)만 발췌하여 {공종별내역}{총괄내역서}시트에 나타냅니다.

   (2)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11행부터 나타냅니다.

 

3. 공급가액 조정하기

   (1) [6금액조정(TRUNC)]

        ① [반올림 자릿수 설정]을 우선 하세요.

        ② (공급가액)의 값을 반올림 자릿수만큼 버리기 합니다.

   (2) [6금액조정(직접입력)]

        ① (공급가액)의 값을 입력한 숫자로 변경 합니다.

        ② 이때는 이윤의 %를 조정하여 공급가액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 합니다.

   (3) 금액조정 : [금액조정(TRUNC)] [금액조정(직접입력)]

       ※이를 실행 전에 반드시 [5 총괄내역 계산]을 먼저 실행하여야 합니다.

       ① 자릿수 조정과 공급가액 조정 등 2가지 방식으로 공급가액을 조정가능 합니다.

       ② 금액조정을 실행 시는 계산수식이 각 셀에 포함되어 있어야 공급가액을 계산 합니다.

       ③ 자릿수 조정은 입력한 숫자(digit)만큼 버림하여 이윤%를 다시 계산 합니다.

       ④ [금액조정(직접입력)]은 입력한 공급가액으로 조정하여 이윤%를 다시 계산 합니다

       ⑤ [금액조정(직접입력)]의 입력 가능한 금액은 이윤을 뺀 금액보다 크고 현재금액*1.2보다 작아야 합니다.

           (예) 현재의 공급가액;123,456원 이윤;456원이라면 입력범위는 (123,000~135,802까지 입니다.

4. 주의사항

   (1) (직접비 계)~(총공사비)까지는 블록단위로 저장되고 계산되는 곳입니다.

   (2) (직접비 계)~(총공사비)의 중간에 임의로 행 삽입 또는 삭제하면 안됩니다.

        반드시 {설정}시트에서 설정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3) (직접비 계)~(총공사비)의 행은 35행 이상을 입력할 수 없습니다.

        {원가계산서} 양식의 내용과 일치되어햐 합니다.

 

 

 

 

 

 

 

 

 

 

 

 

 

 

 

 

 

 

 





{내역서}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견적 새로작성] : 견적서를 새로작성 시작 합니다.

   (2) [공종 추가] : 공종별(내역 분류별)의 소제목을 입력합니다.  소제목/단위/수량까지 입력하세요

   (3) [내역 추가] : 품명/규격 등을 작성할수 있도록 해당 셀에 유효성검사/계산식 등을 넣어 활성화함

   (4) [{내역서} 내역전체 계산수식] : {내역서} 전체 계산수식을 나타냄 

   (5) [{내역서} 선택한 공종 계산수식] : 선택한 셀이 포함된 공종만 계산식 등을 나타냄 

   (6) [{내역서} 선택한 행 계산수식] : 선택한 셀의 행만 계산식 등을 나타냄

   (7) [{내역서} 계산수식 지우기] : {내역서} 시트에 있는 수식을 모두 지우고 값만 나타냅니다.

   (8) [할증율.할인율 숨기기/보이기] : (P열:R열)을 감추기 또는 보이기

   (9) [공종별 합계] : 공종별로 합계를 다시 계산합니다.

   (10) [{내역서} 저장] : 계산수식 등으로 활성화된 셀을 지우고 공종별(소제목별)로 합계를 계산 

 

1. [견적 새로작성]

   (1) 관리번호는 자동으로 변경됩니다.

   (2) 작성일자는 오늘날짜로 작성됩니다. (필요 시 변경할 것)

   (3) Input Box에 입력한 공사명과 자동으로 작성된 관리번호는 모든 시트에 뿌려집니다.

 

2. 작성순서 및 방법

   (1) 작성순서는 실행메뉴 앞의 숫자 순서(1~8)대로 하세요.

       ① [견적 새로작성] : 새로운 일련번호/프로젝트명/고객 등 작성

       ② [공종 추가] - [내역 추가] : 두가지를 번갈아가며 입력

       ③ [{내역서} 저장] : ②번 내용 완료 후 실행

   (2) (P9)(Q9셀)(R9셀) 작성 전 자재비/인건비/경비의 할증율을 입력하세요. (전체 적용임)

       ① %의 범위는 없습니다. 자유로이 입력 가능, (-)도 가능

       ② (P11~R11이하) 각 행별로 별도의 할증율을 계산할 경우에 % 입력 (개별 적용임) 

 

3. 내용 작성 : [공종 추가] - [내역 추가]

   (1) [공종 추가]를 실행하면 공종제목 행과 활성행(10개의 행)이 표시됩니다.

       ① 공종의 제목 맨 앞에는 반드시 숫자번호가 있어야 합니다. (숫자 자동생성함) 

           - 숫자부터 시작되지 않으면 제목줄로 인식하지 못하여 에러발생(주의)

           - 또한 품명일 경우에는 숫자부터 시작되면 안됨.

           - 만약 숫자부터 시작하는 품명을 입력한 경우에는 공종의 제목으로 잘못 인식하므로 품명표기 주의

           - 숫자의 순서는 무관함

       ② 제목/단위/수량을 입력하세요.

       ③ 공종 제목별 구분선은 마지막 3행을 띄우고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 [{내역서} 저장] 할 경우 공종제목 위의 3행은 무조건 삭제하고 합계를 합니다.

           - 만약 3행을 띄우지 않고 공종의 제목을 입력한 경우에는 일부 내용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2) [내역 추가] 시

       ① 작성할 수 있는 행은 활성화하는 갯수는 10개이고,

       ② 내용 작성 후 또 다시 [내역 추가] 클릭시 계속 아래로 추가됨.

       ③ {단가표} 시트에 저장된 내용을 찾아오는 수식 등을 나타냅니다.

   (3) 수량을 입력하면 단가/합계를 자동 계산합니다.

       ① {단가표}는 {일위대가목록} 작성시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② {일위대가목록} 등의 작성을 하지 않고 곧바로 {단가표}를 작성한 후 내역서를 작성할 수도 있으나

           품목 등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에러납니다. 순서대로 하시기 바랍니다.

       ③ {단가표}에 직접 입력보다 {단가비교표}에서 작성 후 차례대로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4. 작성셀 (할증율. 할인율)

   (1) (P9)(Q9셀)(R9셀) 작성

   (2) (P11셀)(Q11셀)(R11셀) 이하 내용 작성

        ① 할증, 할인할 %만 입력합니다.

        ② 셀의 색상이 있는 곳만 입력합니다.

        ③ 내용을 작성하지 않으면 (P9)(Q9셀)(R9셀)의 요율대로 계산합니다.

   (3) (B11:N11셀) 이하 내용 작성

 

5. [{내역서} 저장]

   (1) 수식 등으로 활성화된 셀의 수식 등을 지우고 DB에 저장합니다.

   (2) [{내역서} 저장]시는 적용율도 함께 저장합니다.

 

6. 내용수정 및 변경 [내역수정]

   (1) [{내역서} 내역전체 계산수식] (전체 내역을 수정할 경우)

       ① [{내역서} 내역전체 계산수식]을 실행

       ② 초기 작성 시와 같은 수식 등이 나타나며, 단가 및 합계 계산을 합니다.

       ③ 단가표의 단가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가를 직접 입력하여야 합니다. 

       ④ 직접입력 단가는 할증 적용율을 계산하여 작성하여야 합니다.

   (2) [{내역서} 선택한 공종 계산수식] (선택한 공종의 내용 전체를 수정)

       ① 수정해야할 공종 가운데 한개의 품명을 선택

       ② [{내역서} 선택한 공종 계산수식]을 실행

       ③ 계산은 한 공종내의 접해있는 위/아래 행도 모두 다시 계산함

       ④ [{내역서} 저장] 이후에 수정할 경우 실행하는 절차입니다.

   (3) [{내역서} 선택한 행 계산수식] (선택한 행의 계산을 다시합니다.)

       ① 수정해야할 행의 품명을 선택

       ② [{내역서} 선택한 행 계산수식] 실행 또는 수량을 변경

       ③ 수량만 변경하면 해당 행의 계산을 실행하나 공종/전체의 합계는 계산하지 않음

   (4) [할증율.할인율 보이기/감추기]

       ① 실행버튼 클릭시마다 (P:R)열을 보이기/감추기를 반복합니다.

       ② 할증단가는 내역서 작성하는 도중에 언제든지 적용율을 변경 가능합니다.

   (5) [공종별 합계]

       ① 공종별로 합계를 다시 계산합니다.

       ② 다시 계산할 해당공종 한개의 셀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단가표} : (작성내용 있을수 있음)

0. 메뉴버튼 : 없음

 

1. {단가표}시트 이외의 품목에 대해 임의의 단가를 {내역서}에서 사용해도 됩니다.

 

 

 

 

 

 

 

 

 



 

 

{일위대가목록} : (작성내용 없음)

0. 실행메뉴 

   (1) [일위대가목록] : {일위대가}{기초일위대가} 시트의 제목만 추출합니다.

 

1. 작성셀

   (1) {일위대가목록} - 작성내용 없음

 

2. [일위대가목록]

   (1) {일위대가}{기초일위대가} 시트의 작성된 내용을 Sorting하여 정리하고

   (2) {일위대가}{기초일위대가} 시트의 소제목은 {일위대가목록}에 나타냅니다.

 

3. 기타

   (1) 중복으로 작성된 데이타 삭제합니다.

   (2) 중복작성 데이터는 아래에 있는 데이터(나중에 작성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일위대가}{기초일위대가} : (작성내용 있음)

0. 실행메뉴 

   (1) [일위대가작성] : {일위대가}{기초일위대가}의 소계를 계산합니다.

 

1. 작성셀

   (1) {일위대가}{일위대가목록} - 전체내용 작성

       ① 맨위 - 제목행 (품명/규격/단위/수량 까지만 입력하세요)

       ② 중간 - 본문

       ③ 맨아래 - 소계 

       ④ 맨아래 (B열)에는 반드시 '소계'라고 작성하여야 합니다.

           ('소계'라고 입력되어 있어야 [일위대가작성] 실행 시 소계를 계산합니다.)

       ⑤ 소계행의 소계는 자동계산 합니다.

 

2. [일위대가작성]

   (1) {일위대가}{기초일위대가}의 소계를 계산합니다.

   (2) {일위대가목록} 시트에서 품명/규격/../금액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단가비교표}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단가비교표 : 적용단가(M열)를 최저값으로 계산함. 

 

1. 작성셀

   (1) {단가비교표} - 전체 내용 작성

       ① 품명~견적가까지 모두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② {내역서}에서의 가격은 적용단가를 재료비로 적용합니다.

 

2. 단가입력

   (1) 품명, 규격, 단위 ~ 적용단가 까지 모두입력 (B:L열)

   (2) 동일 품명에 규격이 다른 경우에는 반드시 규격명을 입력하여 구분되도록 해주세요.

   (3) 품목을 추가 작성하였다면 반드시 [설정하기] 메뉴를 실행하세요.

3. 기타

   (1) 중복으로 작성된 데이타 삭제합니다.

   (2) 중복작성 데이터는 아래에 있는 데이터(나중에 작성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3) 특수문자(Φ,~,...등)가 포함된 단어는 값을 찾아오지 못합니다.

 

 

 

 

 

 

 

{견적서}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없음

 

1. 사용방법

   (1) 이 시트에서 작성하는 내용은 전혀 없습니다.

   (2) {일위대가}-{내역서}-{총괄내역서}-{원가계산서}-[견적서 저장하기]를 실행하고

   (3) [견적 관리번호(▲▼)]를 실행하면 내용이 나타납니다.

 

2. {견적서} 시트

   (1) 사용자 시트설정에서 {견적서} 시트 (시트보이기) 하여야 시트가 보입니다.

   (2) 시트가 보이지 않아도 내용은 항상 계산됩니다.

 

 

 

 

 

 

 

 

{실행내역} : (작성내용 있음-추가내역만)

0. 메뉴버튼

   (1) [실행 새로작성] : 견적서번호(C5셀)로 작성 저장된 {내역서}의 내역을 나타냅니다.

   (2) [추가공종 작성] : 원가시 견적당시에 작성하지 않은 추가내역을 작성

   (3) [{실행내역} 내역전체 계산] : 내용 전체의 원가내역 및 실행율을 계산

   (4) [{실행내역} 선택한 공종 계산] : 소제목별 합계 및 실행율을 계산

   (5) [{실행내역} 선택한 행 계산] : 선택한 행의 합계 및 실행율을 계산

   (6) [실행 내역저장] : 작성된 실행내역을 저장

   (7) [실행(번호▲▼)] : 해당 관리번호 순으로 실행내역을 찾아옵니다.

 

1. 작성셀 : (A12:L12셀) 이하 추가된 내역 및 변경된 내역 수정 작성

 

2. 작성순서

   (1) [실행 새로작성]

       ① 저장된 견적내용을 찾아 뿌립니다.

   (2) [추가공종 작성]

       ① 견적 시 없었던 부품/공종의 추가 내역을 작성

       ② 수량의 변경은 수량만 변경해 주세요.

       ③ 수량이 '0'인경우에도 행은 삭제하지 마세요. (참조용 견적 데이터임)

       ④ 행 삽입하여 추가 품명 삽입가능 합니다.

   (3) [실행내역 00계산] 

       ① 실행내역을 계산하고, 각 공종별로 합계를 계산합니다.

       ② 실행내역의 단가는 할증이 붙지 않은 기준가격(일위대가목록 및 단가비교표)을 기준으로 합니다.

       ③ 상단의 실행가 및 이윤도 함께 계산합니다.

       ④ 계약금액(실행 합계금액)은 {목록}시트의 계약금액입니다.

   (4) [실행내역 저장]

       ① 작성한 실행 내역을 저장합니다.

 

3. {목록}시트에 (계약금액)을 입력 후 실행가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실제 계약금액이라면 정확한 이윤도 계산이 될 수 있습니다. 

 

 

 

 

 

 

 

 

 



{설정}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시트보기 설정] : 사용자에 따라 사용하는 시트를 보이기/숨기기 합니다.

   (2) [견적서번호 설정] : 견적서 번호의 조합방식을 정함

   (3) [반올림 자릿수 설정] : 단가 및 합계의 반올림 자릿수를 정함

   (4) [일위대가 저장설정] : {일위대가}관련 시트의 내용을 건별로 저장할 것인지를 설정

   (5) [샘플내용 삭제] : 최초 파일에 작성된 샘플내용을 삭제

   (6) [제출용 새파일 작성] : 고객에게 제출할 파일을 새롭게 만듭니다.

 

1. 반올림 방법

   (1) (합계금액) = 끝자리 버림 자릿수

       ① 합계금액 등의 자릿수 조정시 사용하세요

       ② 공급가액의 자릿수 버림 수식(TRUNC)에 사용합니다. 

       ③ 자릿수에는 - (마이너스) 포함되어 있음

   (2) (단가) = 단가 등 반올림 

       ① 단가 수식에 포함되어 있음. 기타 금액 등의 자릿수 조정시 사용하세요

       ② 반올림 수식에 사용합니다. 

       ③ 자릿수에는 - (마이너스) 포함되어 있음

 

2. 견적서번호 설정

   (1) 일련번호 제외한 자동으로 생성되는 견적번호를 설정합니다.

   (2) (식별문자) + (년월) + 일련번호

 

3. [샘플내용 삭제] : 최초로 작성된 내용을 삭제합니다. 내용을 덮어쓰기(저장) 하여도 됩니다.

 

4. [제출용 파일작성] : [제출용 파일작성]시 생성되는 시트의 설정 : 

   (1) (고객제출용파일에 포함)에 표시한 시트

       ① (포함) 표시한 시트만 복사하여 다른 새로운 파일로 만들어 저장합니다.

       ② 신규파일의 인쇄형식은 지정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 로고 및 인감은 그림파일로 만들어서 (삽입-그림-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3) 파일명 : 현재파일의 디렉토리에 "견적_(공사명)_(작성일).xlsx" 형태로 저장됩니다.

 

5. {총괄내역서}시트에서 사용하는 계산수식 설정

   (1) 수식설정 ; {설정}시트에서 하세요.

       ① (직접비 계) 이하 셀을 작성 합니다.  수식도 함께 작성하세요.

       ② 수식은 샘플로 제공되어 있으니 참조하시어 수식을 작성한 다음 저장하시기 바랍니다.

       ③ 수식을 입력한 후 반드시 [{설정} 계산수식 저장] 하여야 저장된 수식을 찾아 계산합니다.

   (2) [{설정} 계산수식 저장]

       ① (직접비 계)~(총공사비)까지의 문구/수식/형식 등을 저장 합니다.

       ② 적용요율(숫자)은 매년 또는 반기 단위로 달라질 수 있으니 확인하시고 변경 후 저장하시기 바랍니다.

       ③ 품명~비고(B:N열)까지 모두를 저장합니다.

       ④ (주의) 수식이 없는 내용을 저장하면 [총괄내역 계산]을 실행 시 계산할 수 없습니다.

       ⑤ 만약 수식이 없는 상태로 저장하였다면

           a. 우선 [{총괄내역서} 샘플수식 찾기]를 실행하고,

           b. 샘플을 보면서 수식변경을 한다음

           c. [{총괄내역서} 계산수식 저장]을 하시기 바랍니다.

       ⑥ (직접비 계)~(총공사비)까지는 수식 저장 후 행을 삭제하거나 삽입하면 안됩니다. (항목변경 가능)

   (3) [총괄내역 계산]을 실행

       ① {공종별내역} 시트에 작성된 내용을 가져와 뿌립니다.

       ② (직접비 계)~(총공사비)까지는 저장된 내용 및 수식을 가져와 붙여넣기 합니다.

       ③ 공급가액은 설정한 [반올림 자릿수 설정]의 자릿수 만큼 버림합니다.

           (예) (공급가액 내립 자릿수) - 4 이고 공급가액이 1,234,567 이라면 1,230,000으로 나타냅니다.

                이 때는 이윤%가 조정되어 전체의 금액을 맞추게 됩니다.

       ④ 금액조정; 자릿수 설정하지 않으면 단단위로 계산합니다.

   (4) (직접비 계)~(총공사비)까지 내용 확인

       ① 수량 및 수식 확인 및 변경

       ② 해당 항목은 사용자에 맞게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차량관리 엑셀프로그램 V01

여러 대의 자동차 주행기록 관리 및 정비에 대한 기록은 차량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잘 관리된 차량은 자동차의 수명이 길어질 뿐 아니라 중고차의 가격도 높게 받을 수 있고, 회사의 자산도 잘 보존할 수가 있습니다. 
설정된 항목별로 정기수리의 경우에는 교환주기에 따라 정비기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알려주고 항목별로 비용의 합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계산된 값은 자동차의 연비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챠트를 통해 연비의 향상, 감소 등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차량별, 항목별, 월간, 년간 등 여러가지 형태로 데이터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모든 데이터는 {차계부} 시트에 입력된 값을 기준으로 값을 계산합니다.
================================
설치가 필요없는 엑셀 파일입니다.
추가기능은 해당 파일 실행 시만 작동합니다.
================================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중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3.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5. 본 파일은 엑셀2007 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003이하는 안됨


===================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2.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하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3. {설정}시트에 설정내용 입력
4. [설정하기] 실행
5. {운행일지}에 데이터 입력-저장-..--
6. 분석은 데이터를 어느정도 입력한 다음 실행하세요.









운행일지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일지 내역작성] :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서식 설정
   (2) [일지 작성저장] : 작성한 내용을 저장합니다.

1. 작성셀 : (11행) 이하 내용 작성

2. 최초 작성시 (B11:H11셀)의 값은 반드시 입력 하세요.
   (1) (J11:N11셀)은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2) 만약 작성한다면,
       ① 차량에 따라 기존 마일리지가 많을 수도 있으니 주유량,주행거리,연비 등을 적절히 조정되어야 합니다.
       ② 여기의 값에 따라 전체 평균값이 달라질수도 있으니 가능하면 평균에 가까운 값으로 입력하여야 합니다.
       ③ (J11-운행비)(K11-연료비)(L11/M11)-지금까지의 대략적인 추정 값을 입력하세요.

3. 데이터 작성하기
   (1) [일지 내역작성]을 실행하면 현재 작성된 아래 끝부분에 새로 작성할 수 있는 형식이 10행씩 나타납니다.
   (2) 10개씩 작성 가능합니다.
       ① 10개 이상 작성 시는 [일지 내역작성]을 다시 실행하면 같은 형식이 추가로 나타납니다.
   (3) 작성해야 할 셀은 노란색으로 변경됩니다.
   (4) 1회 주행거리는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5) 데이터의 작성은 주행거리 순으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작성하는 차량번호의 주행거리(자)는 계산에 의해 자동으로 찾아옵니다. 
   (6) 분류, 항목, 정비소, 주유소는 {설정}시트에 작성된 값을 가져옵니다.

4. 새로작성시 나타나는 수식은 입력의 편의를 위해 나타납니다.
   모든 값을 직접 입력하여도 됩니다.








일일집계 : (작성내용 없음)
0. 실행메뉴
   (1) 날짜별 : (K2셀) 해당 차량의 모든 일자별 내용을 찾아 옵니다.
   (2) 사용자별 : (K2셀) 해당 차량의 모든 내용을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찾아 옵니다.
   (3) 분류별 : (K2셀) 해당 차량의 모든 내용을 분류별로 구분하여 찾아 옵니다.
   (4) 항목별 : (K2셀) 해당 차량의 모든 내용을 항목별로 구분하여 찾아 옵니다.
   (5) 집계(차량)↑↓ : [날짜별] 내용을 차량별로 이동하여 즉시 나타냅니다.

1. 작성셀 : (K2셀)만 변경
2. 해당 실행메뉴에 따라 보이는 형태가 다릅니다.
3. 전체적인 내용은 차량번호(K2셀) 별로 나타냅니다.






집계현황 : (정기수리의 설정내용만 있음)
0. 메뉴버튼
   (1) [전체현황(차량)] : 전체 내역 및 그래프를 나타냄
   (2)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3)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11행) 이하 내용 작성
   (2) (K2셀) 차량번호 작성

2. 최종정비의 주행거리(마일리지)는 각 항목별 최종 정비한 주행거리입니다.
   (1) (C8셀)의 마일리지는 차량번호(K2셀)의 현재 최종 마일리지 입니다.
   (2) 교환주기의 설정
       ① (정기수리) - 정기적으로 수리를 요하는 부품은 교환주기를 입력하세요.
       ② (E11:E21?셀)의 내용은 {설정}시트의 (H11:H21?셀)에 작성하고 [설정하기]를 실행 합니다.

3. 항목별 내용
   (1) 최종정비의 값은 항목별 최종적으로 정비한 마일리지를 나타냅니다.
   (2) (F11:F21?셀)은 잔여거리를 나타냅니다.
       ① 현재의 주행거리와 최종정비+교환주기를 비교하여 잔여 주행거리를 계산합니다.
       ② 잔여거리가 적색인 경우는 겨환주기가 지난 상태입니다.
       ③ 나타난 숫자는 잔여거리 입니다.
   (3) [운행비][관리비][비정기수리][비품][기타]
       ① (E22? 이하셀) 최종 교환일자를 나타냅니다.
       ② (F22? 이하셀) 교환 이후 사용 마일리지를 나타냅니다.
   (4) 그래프가 E열에 빨간색으로 나타나면 교환주기를 초과한 것입니다.
       ① 정비 잔여거리가  0이상이면 F열
       ② 0이하이면 반대쪽(E열)으로 빨간색 그래프가 나타납니다.
   (5) (H열)의 %는 전체 비용중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4. 각 항목별 백분율 값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냅니다. 
   (1) 전체비용이 아닌 금년합계에 대하여 백분율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2) 그래프에서 연료비는 제외합니다. (금액이 대부분을 차지해서)





내역집계(월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내역집계(월별)] : 항목별로 월간 합계를 계산합니다.
   (2)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3)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 (K2셀) 차량번호 작성
2. 여기에 작성되는 각 항목은 {설정}시트에서 우선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3. [내역집계(월별)] 실행시 "월"은 자동으로 아래로 계속 추가됩니다.
4. 월별, 항목별 집계표를 나타내어 전체의 차량관리 비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차량▲)], [(차량▼)]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내역집계(차량_월)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차량별(월)] : 항목별로 월간 합계를 계산합니다.
   (2) [(월▲)] : 월(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3) [(월▼)] : 월(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 (K2셀) 날짜 변경 작성
2. 여기에 작성되는 각 항목은 {설정}시트에서 우선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3. [차량별(월)] 실행시 등록된 모든 차량이 표시됩니다.
4. 월별, 항목별 집계표를 나타내어 전체의 차량관리 비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월▲)], [(월▼)]은 작성된 월을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내역집계(차량_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차량별(년)] : 항목별로 연간 합계를 계산합니다.

1. 작성셀 : (K2셀) 년도 변경 작성
2. 여기에 작성되는 각 항목은 {설정}시트에서 우선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3. (K2셀)에 년도를 입력하고 [차량별(년)] 실행시 등록된 모든 차량이 표시됩니다.
4. 년도별, 항목별 집계표를 나타내어 전체의 차량관리 비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설정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설정하기] : {설정}시트에 입력한 값을 다른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함
   (2) [샘플내용 삭제] : 현재의 샘플 내용을 삭제

1. 작성셀 : (11행) 이하의 내용 작성

2. 이 시트는 정비업체, 관련회사, 주유소를 설정하는 곳입니다.
   (1) 정비/일반 매입하는 곳과 주유소는 구분하여 입력하십시오.
   (2) 항목설정 내용은 얼마든지 작성하여도 됩니다.
   (3) 세금기타의 우측으로 항목(대분류)은 추가하여 작성할 수는 있으나,
        집계는 10개 항목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3. 항목설정의 대분류와 소분류를 입력하십시오.
    대분류는 우측으로 소분류는 아래쪽으로 값을 추가하여 입력 하세요.

4. 각 항목을 입력 하였으면 [설정하기]를 실행하세요.
    또한 항목/값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였을 경우에도 반드시 [설정하기]를 실행하여야
    다른 시트의 값도 함께 변경 됩니다.

5. (J11셀)은 연료비(기름값)에 해당하는 이름으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다른 내용으로 사용금지 합니다.

6.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하면 현재의 샘플이 삭제되고, 실행메뉴도 삭제 됩니다.
   (1) 다른 시트의 일부 삭제되지 않은 부분은 {운행일지} 시트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분류를 실행하면 제대로 된 값을 나타냅니다.





주행연비(월)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주행연비(월)] : 월별로 주행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2)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3)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K2셀) 차량번호 작성
   (2) [(차량▲)], [(차량▼)]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2. 매월별 주행연비 및 관련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3. 막대그래프는 평균에 대한 그래프로 각 셀에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4. 셀의 높이에 따라 막대그래프의 크기도 조정됩니다. 
   (1) 그래프가 그려지는 셀의 높이는 일정하게 하여야 합니다.
   (2) (6행~15행)의 높이는 일정하게 하여야 그래프를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5. 입력된 데이터의 기간만큼 자동으로 표가 늘어납니다.





주행연비(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주행연비(년)] : 년별로 주행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2)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3)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K2셀) 차량번호 작성
   (2) [(차량▲)], [(차량▼)]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2. 15년간의 주행연비 및 관련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3. 막대그래프는 평균에 대한 그래프로 각 셀에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4. 셀의 높이에 따라 막대그래프의 크기도 조정됩니다. 
   (1) 그래프가 그려지는 셀의 높이는 일정하게 하여야 합니다.
   (2) (6행~15행)의 높이는 일정하게 하여야 그래프를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5. 입력된 데이터의 기간만큼 자동으로 표가 늘어납니다.




분류별(월)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분류별(월)] : 차량별, 분류별로 월별로 계산 
   (2)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3)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K2셀) 차량번호 작성
   (2) [(차량▲)], [(차량▼)]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2. 대분류 항목으로 지정한 것에 대하여 매월로 값을 합산하여 추출합니다.
3 입력된 기간만큼 자동으로 표가 늘어납니다.
4. 분류별의 막대그래프는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5. 선그래프 최대값(B6셀) : 각 항목의 월값중 최대값의 만단위 반올림된 숫자



분류별(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분류별(년)] : 차량별, 분류별로 월별로 계산 
   (2)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3)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K2셀) 차량번호 작성
   (2) [(차량▲)], [(차량▼)]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2. 대분류 항목으로 지정한 것에 대하여 매월로 값을 합산하여 추출합니다.
3. 15년간의 데이터 및 표가 나타납니다.
4. 분류별의 막대그래프는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5. 선그래프 최대값(B6셀) : 각 항목의 월값중 최대값의 만단위 반올림된 숫자




항목별(월)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항목별(월)] : 항목별로 월별 계산
   (2)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3)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K2셀) 차량번호 작성
   (2) [(차량▲)], [(차량▼)]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2. 설정한 소항목별로 매월로 데이터를 합산하여 추출합니다.
3. 막대그래프는 항목별로 전체 합계에 대한 그래프 입니다.




항목별(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항목별(년)] : 항목별로 년별 계산
   (2)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3) [(차량▼)]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K2셀) 차량번호 작성
   (2) [(차량▲)], [(차량▼)]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2. 설정한 소항목별로 매년으로 데이터를 합산하여 추출합니다.
3. 막대그래프는 항목별로 전체 합계에 대한 그래프 입니다.


























'문서 및 자료 ★… > [기 타 파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관리 엑셀프로그램 V02   (0) 2018.01.12
주민등록번호 Check Digit  (0) 2018.01.06
한글 이름으로 풀어보는 사주  (0) 2015.08.19
동창회칙  (0) 2015.05.21
엑셀파일 용량줄이기  (0) 2015.05.12
간편장부 엑셀프로그램 V66 :
간편장부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요구하는 내역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기간별로 부가가치세 신고분, 세금계산서 발행별, 계정별, 거래내용별, 거래처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금계산서(계산서) 작성도 쉽게 할 수 있으며, 세금계산서를 작성/저장하면 간편장부 시트에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부가가치세의 계산을 언제든지 기간별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법정영수증(전자세금계산서, 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등)으로 저장된 값을 추출하여 
부가가치세신고서(일반과세자) 및 첨부양식의 작성 및 납부서까지 계산하여 즉시 출력 가능 합니다.
간편장부 입력 시 입력하여야 할 셀의 색깔이 변경되어 입력시 에러를 방지하고, 
주의사항은 각 해당 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입력하는 시트(간편장부, 세금계산서, 계산서 시트)에서 입력된 내용을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일반 세금계산서의 발행은 매출처별로 매 건별 송부용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매출처별로 관리하기가 편리합니다. 
또한 이메일 송부시 파일을 첨부하면 편리합니다. {세금계산서}{계산서} 시트는 불필요시 숨기기 가능합니다.
상단 추가기능의 실행메뉴는 [세금계산서], [계산서], [샘플내용삭제] 및 [아이디/비번 변경]의 경우 필요시만 나타납니다.

* 간편장부 작성대상자 : (업종구분 수입금액 기준) 
가.농업, 임업, 어업, 광업, 도매업, 소매업, 부동산매매업, 그 밖의 ‘나’ 및 ‘다’에 해당하지 않은 사업 : 3억원 미만 
나.제조업, 숙박·음식업,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건설업, 운수업, 출판·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금융·보험업 : 1억5천만원 미만 
다.부동산임대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예술·스포츠·여가관련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가구내 고용활동 : 7천5백만원 미만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중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3.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5. 본 파일은 엑셀2007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003이하는 안됨


===================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2.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하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일부 집계/분석 내용은 지워지지 않을수도 있으나 데이터 입력 후 집계/분석 실행하면 값이 변경됩니다.
3. {설정}시트에 설정내용 입력
   ① 사용자정보/관할세무서/매입매출처.항목 등 입력
   ② (Y45:Y46셀)의 세금계산서 시트 사용유무 설정 
4. [설정하기] 실행
5. {간편장부} 또는 {세금계산서} 시트에서 내용입력
6. {집계현황}, {내역별분류} 및 {V***}시트의 값은 간편장부에 저장된 내용으로 계산됩니다.









{간편장부}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
   (1) [간편장부 작성] : 현재 입력된 아래 10개의 행에 입력할 수 있는 목록/수식 등이 활성화됨
   (2) [간편장부 저장] : 활성화된 목록/수식 등을 지우고 내용을 저장함
   (3) [장부 정열하기] : [날짜순 정열], [거래내용순 정열], [거래처순 정열] : 데이터를 날짜/거래내용/거래처 순으로 정열합니다.
   (4) [필터 해제] : [장부 검색하기]로 보이지 않는 행을 나타냅니다.
   (5) [기간내 검색] : (J2:K2셀)의 기간내 모든 내용을 검색
   (6) [매출건 검색][매입건 검색][자산건 검색] : (J2:K2셀) 기간내 매입,매출,자산에 대한 검색
   (7) [검색(1/4분기)][검색(2/4분기)][검색(3/4분기)][검색(4/4분기)] : 분기별로 검색
   (8) [검색(상반기)][검색(하반기)] : 반기별로 검색

1. 간편장부 작성하기
   (1) [간편장부 작성]
       ① 거래내용, 거래처, 신용카드, 결제구분 등은 {설정}시트에 작성한 내용만 드롭다운 메뉴로 표시됩니다.
       ② 거래내용란을 입력하면 입력하여야 할 셀의 색깔이 자동(연녹색)으로 변경됩니다.
       ③ 연한글씨 부분은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④ 금액 작성방법(2가지방법) - 수입과 비용 작성
           a) 합계금액만 입력 : 공급가액+세액(10%)으로 분리하여 계산함
           b) 공급가액, 부가세 직접 입력 : 합계금액을 자동으로 계산함
   (2) 결제구분(⑦비고)
       ① {설정}시트 (W31:X40셀)에서 우선 설정하세요
       ② <법정영수증>세계:세금계산서, 전계:전자계산서, 카드:신용카드,직불카드, 현영:현금영수증, 화물:화물운전자 복지카드 
       ③ <일반영수증>간이:간이영수증, 현금,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세요.
       ④ 부가세 란은 ⑦비고(결제구분)에 (법정영수증)을 입력하면 수식에 의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3) 다른 시트의 모든 계산은 이 시트의 값을 기초로 계산합니다.
       ① 따라서 이 시트의 값이 정확하여야 합니다. (직접 수정하여도 됨)
       ② 같은 건으로 카드발급분과 세금계산서 발급분이 중복되지 않도록 작성하세요.
   (4) (B열)의 번호는 단지 관리를 위한 참조용으로 입력시마다 자동으로 부여됩니다.
   (5) 이 시트의 열 삭제는 금지합니다. 행을 삭제할 경우에는 행전체를 삭제하세요.
   (6) 입력의 편의를 위해 셀의 색상을 입력요구사항에 따라 변경합니다.
       ① 매출건과 매입(자산)건을 거래내용으로 확인하여 해당 작성하는 곳을 빨간색 처리 합니다.
       ② (O열)은 (N열)의 값이 "카드"일 경우 빨간색으로 변경되고 값을 입력하면 원위치 합니다.
       ③ (P열)은 거래처의 사업자등록번호가 {설정}시트에 작성되지 않은 경우 빨간색을 나타냅니다.
   (7) 매출중 세금계산서(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
       ① {세금계산서} 시트에서 작성하세요. (매출중 세금계산서로 발행건만 작성)
       ② 수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세금계산서}에서 하여야 합니다.
       ③ 전자세금계산서로 발행하는 경우에는 이 시트(간편장부)에서 내용을 입력하세요.

2. 간편장부 저장하기
   (1) [간편장부 작성]의 실행으로 활성화된 셀의 속성을 원위치함
   (2) 잘못 작성된 곳을 확인하여 경고창 띄움
   (3) 파일 저장도 함께 함

3. 장부 정열하기
   (1) [날자순 정열] : 날자 순서대로 데이터를 정열합니다.
   (2) [거래내용순 정열] : 거래내용별 순서대로 데이터를 정열합니다.
   (3) [거래처순 정열] : 거래처별 순서대로 데이터를 정열합니다.

4. 장부 검색하기
   (1) (J2:K2셀)에 기간을 입력합니다. (J2셀)-검색 시작일, (K2셀)-검색 마지막일
   (2) 당해년도(올해)가 아닌 경우에는 (L2셀)에 년도를 입력합니다.
   (3) 해당 검색메뉴를 실행합니다.
   (4) (N2셀)에는 해당 실행조건을 나타냅니다.

--------------------------
일반적인 작성요령 
① 일자 : 거래일자 순으로 수입 및 비용을 모두 기재합니다. 
② 거래내용 : ○○판매, ○○구입 등 거래구분, 대금결제를 기재합니다. 
1일 평균 매출건수가 50건 이상인 경우 1일 동안의 총매출금액을 합계하여 기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 등 원본 보관)
비용 및 매입거래는 거래 건별로 모두 기재합니다. 
③ 거래처 : 상호·성명 등 거래처 구분이 가능하도록 기재합니다. 
④ 수입 : 상품·용역의 공급 등 영업수입(매출)·영업외수입을 기재합니다. 
일반과세자는 매출액을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 10%를 구분하여 각각 ‘금액’ 및 ‘부가세’ 란에 기재합니다.
* 신용카드 및 현금영수증 매출 등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가 각각 구분되지 않은 경우에는 매출액을 1.1로 나누어서 그 금액을 ‘금액’란에 기재하고, 잔액을 ‘부가세’란에 기재
간이과세자는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매출액(공급대가)을,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는 매출액을 ‘금액’란에 기재합니다. 
⑤ 비용(원가관련 매입포함) : 상품 원재료 매입액, 일반관리비 판매비 등 사업관련 비용을 기재합니다. 
세금계산서를 받은 경우에는 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를 구분하여 각각 ‘금액’ 및 ‘부가세’란에 기재합니다.
부가가치세액이 별도로 구분 기재된 신용카드매출전표 등을 교부받은 때에도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를 각각 기재합니다.
계산서와 상기 이외의 영수증 매입분은 매입금액을‘금액’란에만 기재합니다. 
⑥ 고정자산 증감(매매) : 건물·자동차·컴퓨터 등 고정자산의 매입액 및 부대비용을 기재합니다. 
세금계산서를 받은 경우에는 세금계산서의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를 구분하여 각각 ‘금액’ 및 ‘부가세’란에 기재합니다.
계산서·영수증 및 신용카드 매입분은 매입금액을 ‘금액’란에만 기재합니다.
* 고정자산을 매각(폐기 등)하는 경우에는 당해 자산을 붉은색으로 기재하거나 금액 앞에 △표시를 합니다. 
⑦ 비고 : 거래증빙 유형 및 재고액을 기재합니다. 
세금계산서는 ‘세계’로, 계산서는 ‘계’로, 신용카드 및 현금영수증은 ‘카드등’으로, 기타 영수증은 ‘영’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상품·제품·원재료의 재고액이 있는 경우에는 과세기간 개시일 및 종료일의 실지 재고량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기재합니다. 
기타 작성요령 
사업소득, 부동산임대소득 등 2개 이상 소득이 있는 경우 
소득별로 구분하여 기장하여야 합니다.(간편장부를 각각 작성) 
2개 이상 사업장이 있는 경우 
사업장별 거래내용이 구분될 수 있도록 기장하여야 합니다. 즉 각 사업장별 간편장부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기간별집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기간별 집계] : {간편장부} 시트의 처음 작성 건부터 마지막 작성 건까지 모든 월에 대해서 집계 합니다.





장부집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집계현황 계산] : 간편장부의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다시 계산합니다.
   (2) [그래프 분기] : 수입/비용/고정자산에 대한 분기별/반기별의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3) [그래프 월별] : 수입/비용/고정자산/수익에 대한 월별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4) [그래프 지우기] : 모든 그래프를 삭제합니다.

1. 집계현황 계산
   (1) 현황은 {간편장부}시트의 데이터 값으로 다시 계산됩니다.
   (2) (N2셀)에 년도를 입력하세요.

2. 그래프
   (1) [그래프 월별]의 막대그래프는 수익을 나타낸 것으로
        적자일 경우에는 빨간색 막대그래프가 아래로 표시됩니다.
   (2) 그래프는 하나씩 클릭해서 지울수도 있습니다.
   (3) [그래프 분기]의 눈금최대값은 (H5셀)에 메모로 작성됩니다.
   (4) [그래프 분기][그래프 월별]의 최대값은 반기별/월별 합계 중 큰 값을 기준으로 하고있으며,
   (5) [그래프지우기] 또는 크기를 편집하여도 언제든지 다시 그릴수 있습니다.








내역별분류 : (작성내용 없음)
0. 실행메뉴
   (1) [기간별 분류] : 분류기간(L2:M2셀)의 기간 내용 전부를 나타냅니다.
   (2) [현내역 인쇄] : 현재의 내용을 인쇄합니다.
   (3) [거래내용] : 검색기간 내의 값을 거래내용별(D열)로 나타내고 합계함
   (4) [거래처별] : 검색기간 내의 값을 거래처별(E열)로 나타내고 합계함
   (5) [결제구분] : 검색기간내의 값을 결제구분별(N열)로 나타내고 합계함
   (6) [계정별] : 검색기간내의 값을 계정별(S열)로 나타내고 합계함
   (7) [계산서] : 검색기간 내의 값중 세금계산서(또는 계산서) 발행건만 추출함
   (8) [부가세] :  : 검색기간 내의 값중 부가가치세 금액이 있거나 계산서로 발행된 내역을 추출함
   (9) [분류_1사분기][분류_2사분기][분류_3사분기][분류_4사분기] : 분기별데이터 추출
   (10) [분류 상반기][분류 하반기] : 반기별 데이터 추출

1. 분류방법
   (1) (N2셀)에 분류년도를 입력합니다.
       ① 분기별/반기별 검색시 (N2셀)을 공백으로 두면 올해의 값으로 분류합니다.
       ② (N2셀)은 년도 4자리 숫자만 입력합니다.
   (2) 분기별/반기별 검색이 아닌 경우에는 검색기간(L2:M2셀)을 입력합니다.
       ① 검색기간은 임의로 입력하여도 됩니다.
       ②  (L2셀)-검색 시작일, (M2셀)-검색 마지막일
   (3) 해당 실행메뉴를 클릭합니다.
   (4) (P2:Q2셀)에 분류 내용을 나타냅니다.

2. 내용 인쇄하기
   (1) [내역인쇄] 메뉴를 실행하면 현재의 내용을 인쇄합니다.
   (2) 6~7행은 반복인쇄 합니다.

3. 기타
   (1) 이 시트의 값은 {간편장부} 시트에 있는 내용을 기간별 및 구분내용별로 나타냅니다.
   (2) 이 시트의 내용은 삭제하여도 원데이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세금계산서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새로작성] : 세금계산서 새로 작성시
   (2) [계산수식] : 데이터를 수정하고자 할 때 계산식이 나타나도록 설정
   (3) [간편장부로저장] : {간편장부} 시트로 저장, 이 메뉴는 필히 실행되어야 저장됨
   (4) [다른파일로저장] : {세금계산서}시트만 다른이름으로 저장함

1. {세금계산서}{계산서} 시트
   (1) 일반양식의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 매출한 경우만 작성합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및 매입 등은 {간편장부}시트에서 직접 작성하세요.)
   (2) 사업자에 따라 {세금계산서}가 아닌 {계산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산서} 시트를 사용하세요. 

2. [스핀단추(화살표)] 버튼을 클릭하면 작성된 데이터를 찾아 옵니다. 
   (1) 작성된 순서대로 나타냅니다.
   (2) 번호의 기준은 우측상단의 숫자(AB3셀)를 기준으로 합니다. {간편장부}시트의 행번호
   (3) 세금계산서와 계산서 두가지로 작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시트에서 확인하세요

3. [새로작성] 시 번호(행번호)는 자동으로 부여 합니다. 
   (1) 상호를 선택하면 설정시트에서 작성한  거래처(공급받는자)의 정보를 가져옵니다.
   (2) 상호, 품목 및 규격은 설정시트에 작성된 내용만 입력이 가능합니다. 
   (3) 풀다운 메뉴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설정}시트에서 내용을 추가 작성하여 주세요.

4. [간편장부로저장] 메뉴는 이 시트에 작성된 내용을 {간편장부}시트로 복사 합니다.
    (세금계산서 내용 작성시 반드시 실행)

5. 작성된 (세금)계산서의 내용을 수정할 경우에는 반드시 작성한 (세금)계산서 시트에서 하여야 합니다.
   (1) 스핀단추(화살표 버튼)으로 내용을 찾은 후,
   (2) 내용을 수정하고 [간편장부로저장] 메뉴를 누르면 내용이 수정됨.
   (3) 부가가치세가 없는 "영세율"일 경우 비고란(AB11셀)에 "영세율"이라 입력하세요.

6. [다른파일로저장] 버튼을 누르면 이 시트만 1개 파일로 생성합니다.
   (1) 파일이름은 "거래처상호명(일련번호)"로 저장됩니다.
   (2) 거래처에 E-mail로 첨부하여 보낼 경우 유용합니다.
   (3) 이 파일의 시트보호 해제 비밀번호는 '12345'입니다.

7. [계산수식] 메뉴는 저장된 내용을 찾아와 수정할 경우 사용합니다.
    버튼을 누르면 단가, 공급가액,세액 등의 계산식이 나타납니다.







{VAT신고서}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부가세 상반기][부가세 하반기] : 반기별 부가가치세의 데이터를 계산합니다.
   (2) [부가세 분기별] : 분기별 부가가치세의 데이터를 계산합니다.
   (3) [부가세 계산식] : {VAT신고서}시트의 일부 셀의 계산식을 나타냅니다.

1. 상반기,하반기,분기별의 메뉴 실행할 경우에는
   (1) 예정,확정(F2셀)에 따라 자동으로 작성합니다.
   (2) 시트명 중 앞쪽에 'V'라고 된 시트는 모두 재실행합니다.
   (3) [1기예정신고]:1/4분기, [1기확정신고]:2/4분기, [2기예정신고]:3/4사분기, [2기확정신고]:4/4사분기입니다.

2. 사용자의 회사에 따라서 (3쪽을 우선 작성 - 1쪽은 3쪽 합계금액이 링크됨)
   (1) 예정신고누락분(3쪽) 등 일부 셀의 내용을 추가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2) 회사의 실정에 따라 추가로 작성하시고 금액의 합계 등은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작성된 내용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메뉴를 실행하여 계산하고난 다음, 내용을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3. 실행메뉴 : [부가세 매출][부가세 매입][부가세 Card매출][부가세 Card매입][부가세 현금매출][부가세 전계공제]
                  [부가세 매출2][부가세 매입2][부가세 납부서]
   (1) 위 메뉴버튼은 각 시트의 계산을 합니다.
   (2) 계산값은 현재 {내역별분류} 시트에 있는 내용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기간이 틀릴 경우에는 우선 [내역별분류]를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3) 사업자의 정보는 {설정}시트에서 변경하세요.






설정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설정하기] : 전체의 내용을 다른시트에서 편리하게 사용토록 설정함 (카드 및 회사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2) [거래처설정] : 거래처(매입처 및 매출처)의 내용을 추가로 입력 하였을 경우 또는 변경되었을 경우
   (3) [샘플내용 삭제] : {간편장부}{설정} 시트의 샘플내용 삭제. 다른 시트는 데이터 입력후 사용하면 내용 변경됨
   (4) [아이디 및 비밀번호 변경] :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1. 사용자의 회사정보 입력.
   (1) (B6:G6셀) (J5:L6셀) (S5:S6셀)의 내용을 입력하세요.

2. 매입처 정보 입력 (B11:G11셀이하)
   (1) 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 등 법정영수증으로 매입하는 경우에는 사업자등록번호가 입력되어야 합니다.
   (2) <법정영수증>으로 매입하였으나 매입처의 사업자등록번호가 매입처정보에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부가가치세
       계산시 합계금액이 맞지 않습니다.
   (3) 입력된 회사명은 {간편장부}시트 작성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Y49셀)이 불특정거래처라고 하더라도 부가가치세 계산을 위해서는 매입/매출처의 정보는 입력하세요.
   (5) 간이영수증 등 법정영수증이 아닌 일반영수증으로 결제가 되었다면,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6) 신용카드거래전표에 사업자등록번호가 있으니 확인하시고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세요.

3. 매출처정보 입력 (i11:N11셀이하)
   (1)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를 발행하는 거래처는 종목까지 입력하고,
   (2) 전자세금계산서, 신용카드, 화물카드, 현금영수증 등으로 거래되는 업체라면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세요.
   (3) 거래회사가 매입 및 매출을 동시에 하는 회사라면 매입처/매출처 모두 입력하세요.

4. 매입항목 입력 (P11:Q11셀~이하)
   (1) 계정(P열)과 매입항목(Q열)은 같이 입력되어야 합니다.
   (2) 여기에 입력하지 않으면 {간편장부} 시트의 거래내용에서 입력할 수 없습니다.
   (3) 매출품목이면서 매입항목인 경우에도 입력하고, 매출품목에도 입력하여야 합니다.
   (4) 계정의 문구는 메모를 참조하여 입력하세요. 문구를 달리하면 일부시트의 계산값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5) 경비, 노무비, 매입, 자산, 기타, 매출(한품목이 매입/매출발생하는 경우) 등으로 구분하여 입력하세요.

5. 매출품목 입력 (S11:U11셀~이하)
   (1) 매출(판매) 시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의 작성을 위해 매출품목을 입력하세요.
   (2) 규격이 없다면 규격은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3) 매출품목이면서 매입항목인 경우에도 입력하고, 매입항목에도 입력하여야 합니다.
   (4) {세금계산서} {계산서} 시트에서 규격을 입력시 단가를 찾아옵니다.

6. 관할세무서 정보입력(W6셀)
   (1) 세무서 계좌번호 및 코드번호는 설정 실행시 나타냅니다.
   (2) 정보가 틀리지 않으면 수정하지 마세요

7. 신용카드 정보입력
   (1) (W11셀) - 손님(고객)이 제시한 카드는 일일이 고객을 나열하기 어렵습니다.
   (2) 맨 윗줄(W12셀)은 '사업용신용카드'를 입력하세요.
   (3) 작성한 신용카드는 {간편장부}시트에서 입력 가능합니다.

8. 결제구분 및 부가세 요구정보 입력
   (1) (W31:W39셀)은 변경하지 마세요.
   (2) 추가내용이 있다면 아랫쪽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3) <법정영수증>인 부가세가 있는 항목은 "부가세"라 입력하세요.

9.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 시트 사용 유무 (Y45, Y46셀)
   (1) 사용함 : 해당 시트를 나타냅니다.
   (2) 사용안함 : 해당 시트를 숨기기 합니다.

10. [설정하기] 메뉴를 실행하면 {V**} 시트 등에 회사 내용이 입력됩니다.
   (1) [거래처설정] 메뉴는 거래처만 정열합니다. (거래처 추가하였을 경우 반드시 실행하세요)
   (2) 이 시트에 입력된 내용으로만 제한되는 셀들이 있습니다.
   (3) 이 값들은 {간편장부}{세금계산서}{계산서} 시트에서 입력시 목록으로 나타납니다.
   (4) 거래처 유형 설정(Y49셀)
        ① 고정거래처 : {간편장부} 시트 입력시 {설정}시트에 설정한 거래처만 입력 가능함
        ② 불특정거래처 : {간편장부} 시트 입력시 {설정}시트에 설정과는 무관하게 모든 거래처 입력 가능함
   (5) 실행메뉴 중 {간편장부}를 실행 시 {V**}시트들은 숨기기 됩니다.
        {V**} 시트들을 다시 나타내고자 한다면 {부가가치세} 메뉴를 실행하세요.





V매출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부가세 매출] : {간편장부} 데이터를 해당기간(E8:F8셀)으로 집계합니다.

1. 기타내용
   (1) 주민등록번호 발급분은 별도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2) 전자세금계산서 외 발급분은 '세금계산서'로 발급된 것만 합계합니다.
       ('계산서' 발급분 제외합니다. '계산서' 발급분은 {V매출2} 시트에 계산합니다.)
   (3) 1.제출자 인적사항은 [설정하기] 실행시 작성됩니다.

2. 신고기간
   (1) [부가세 상반기][부가세 하반기] 및 [부가세 분기별]을 실행하면 거래기간이 작성됩니다.
   (2) 거래기간의 년도 변경은 {내역별분류} 시트의 (N2셀)을 우선 변경하여야 합니다.
   (3) 집계 날짜는 거래기간(E8:F8셀)을 기준으로 합니다. (다음달 11일 무시함)





V매입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부가세 매입] : {간편장부} 데이터를 해당기간(E8:F8셀)으로 집계합니다.

1. 기타내용
   (1) 주민등록번호 발급분은 별도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2) 전자세금계산서 외 발급분은 '세금계산서'로 발급된 것만 합계합니다.
       ('계산서' 발급분 제외합니다. '계산서' 발급분은 {V매입2} 시트에 계산합니다.)
   (3) 1.제출자 인적사항은 [설정하기] 실행시 작성됩니다.

2. 신고기간
   (1) [부가세 상반기][부가세 하반기] 및 [부가세 분기별]을 실행하면 거래기간이 작성됩니다.
   (2) 거래기간의 년도 변경은 {내역별분류} 시트의 (N2셀)을 우선 변경하여야 합니다.
   (3) 집계 날짜는 거래기간(E8:F8셀)을 기준으로 합니다. (다음달 11일 무시함)





V카드매출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부가세 Card매출] : {간편장부} 데이터를 해당기간(C4셀)으로 집계합니다.

1. 기타내용
   (1) 면세매출분은 부가세금액이 0인 것, 봉사료는 별도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2) {간편장부} 시트에 있는 모든 해당내용을 계산합니다.
   (3) 1.제출자 인적사항은 [설정하기] 실행시 작성됩니다.

2. 신고기간
   (1) [부가세 상반기][부가세 하반기] 및 [부가세 분기별]을 실행하면 거래기간이 작성됩니다.
   (2) 거래기간의 년도 변경은 {내역별분류} 시트의 (N2셀)을 우선 변경하여야 합니다.
   (3) 집계 날짜는 거래기간(C4셀)을 기준으로 합니다.




V카드매입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부가세 Card매입] : {간편장부} 데이터를 해당기간(C4셀)으로 집계합니다.

1. 기타내용
   (1) 현금영수증 및 카드매입분 건 모두 계산합니다.
   (2) {간편장부} 시트에 있는  (매입+자산) 모든 해당내용을 계산합니다.
   (3) 1.제출자 인적사항은 [설정하기] 실행시 작성됩니다.
   (4) 사업용 신용카드는 {설정}시트의 (W12셀)의 카드분 입니다.

2. 신고기간
   (1) [부가세 상반기][부가세 하반기] 및 [부가세 분기별]을 실행하면 거래기간이 작성됩니다.
   (2) 거래기간의 년도 변경은 {내역별분류} 시트의 (N2셀)을 우선 변경하여야 합니다.
   (3) 집계 날짜는 거래기간(C4셀)을 기준으로 합니다.




V현금매출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부가세 현금매출] : {간편장부} 데이터를 해당기간(C3셀)으로 집계합니다.

1. 기타내용
   (1) {간편장부} 시트에 있는 현금 매출분 해당내용을 계산합니다.
   (2) 9행의 값 일부는 다른시트에서 계산된 값입니다.
   (3) 상호, 성명, 사업자등록번호 등은 [설정하기] 실행시 작성됩니다.

2. 신고기간
   (1) [부가세 상반기][부가세 하반기] 및 [부가세 분기별]을 실행하면 거래기간이 작성됩니다.
   (2) 거래기간의 년도 변경은 {내역별분류} 시트의 (N2셀)을 우선 변경하여야 합니다.
   (3) 집계 날짜는 거래기간(C3셀)을 기준으로 합니다.






V매출2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부가세 매출2] : {간편장부} 데이터를 해당기간(E8:F8셀)으로 집계합니다.

1. 기타내용
   (1) 주민등록번호 발급분은 별도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2) 전자계산서 외 발급분은 '계산서'로 발급된 것만 합계합니다.
       ('세금계산서' 발급분 제외합니다. '세금계산서' 발급분은 {V매출} 시트에 계산합니다.)
   (3) 1.제출자 인적사항은 [설정하기] 실행시 작성됩니다.

2. 신고기간
   (1) [부가세 상반기][부가세 하반기] 및 [부가세 분기별]을 실행하면 거래기간이 작성됩니다.
   (2) 거래기간의 년도 변경은 {내역별분류} 시트의 (N2셀)을 우선 변경하여야 합니다.
   (3) 집계 날짜는 거래기간(E8:F8셀)을 기준으로 합니다. (다음달 11일 무시함)






V매입2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부가세 매입2] : {간편장부} 데이터를 해당기간(E8:F8셀)으로 집계합니다.

1. 기타내용
   (1) 주민등록번호 발급분은 별도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2) 전자계산서 외 발급분은 '계산서'로 발급된 것만 합계합니다.
       ('세금계산서' 발급분 제외합니다. '세금계산서' 발급분은 {V매입} 시트에 계산합니다.)
   (3) 1.제출자 인적사항은 [설정하기] 실행시 작성됩니다.

2. 신고기간
   (1) [부가세 상반기][부가세 하반기] 및 [부가세 분기별]을 실행하면 거래기간이 작성됩니다.
   (2) 거래기간의 년도 변경은 {내역별분류} 시트의 (N2셀)을 우선 변경하여야 합니다.
   (3) 집계 날짜는 거래기간(E8:F8셀)을 기준으로 합니다. (다음달 11일 무시함)






소득금액/필요경비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소득금액 보기] : 일부내용 작성
   (2) [소득금액 지우기] : 내용 삭제
1. 종합소득세 신고시 필요한 서류입니다.
2. 일부 내용은 작성변수가 많아 사용자에 맞도록 직접 작성하세요.



































































































간편장부 V65 :
간편장부를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요구하는 내역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설정한 기간별로 부가가치세 신고분, 세금계산서 발행별, 계정별, 거래내용별, 거래처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금계산서(계산서) 작성도 쉽게 할 수 있으며, 세금계산서를 작성하면 간편장부 시트에 자동으로 저장됩니다. 
부가가치세의 계산을 언제든지 기간별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법정영수증(전자세금계산서, 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등)으로 저장된 값을 추출하여 
부가가치세신고서(일반과세자) 및 첨부양식의 작성 및 납부서까지 계산하여 즉시 출력 가능 합니다.
간편장부 입력 시 입력하여야 할 셀의 색깔이 변경되어 입력시 에러를 방지하고, 
주의사항은 각 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입력하는 시트(간편장부, 세금계산서, 계산서 시트)에서 입력된 내용을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일반 세금계산서의 발행은 매출처별로 매건에 대해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매출처별로 관리하기가 편리합니다. 
또한 이메일 송부시 파일을 첨부하면 편리합니다. {세금계산서}{계산서} 시트는 불필요시 삭제 가능합니다.
상단 추가기능의 실행메뉴는 세금계산서의 경우 필요시만 나타납니다.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중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3.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5. 본 파일은 엑셀2007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003이하는 안됨









===================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2. [샘플내용_삭제]를 실행하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일부 집계/분석 내용은 지워지지 않을수도 있으나 데이터 입력 후 집계/분석 실행하면 값이 변경됩니다.
3. {설정}시트에 설정내용 입력
   ① 사용자정보/관할세무서/매입매출처.항목 등 입력
   ② (Y45:Y46셀)의 세금계산서 시트 사용유무 설정 
4. [설정하기] 실행
5. {간편장부} 또는 {세금계산서} 시트에서 내용입력
6. {집계현황}, {내역별분류} 및 {VATxx}시트의 값은 간편장부에 저장된 내용으로 계산됩니다.













{간편장부}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
   (1) [간편장부 작성] : 현재 입력된 아래 10개의 행에 입력할 수 있는 목록/수식 등이 활성화됨
   (2) [간편장부 저장] : 활성화된 목록/수식 등을 지우고 내용을 저장함
   (3) [날짜별 정열] : 데이터를 날짜순으로 정열합니다.
   (4) [품목별 정열] : 데이터를 품목(거래내용)별로 정열합니다.
   (5) [필터 해제] : [장부 검색하기]로 보이지 않는 행을 나타냅니다.
   (6) [기간내 검색] : (J2:K2셀)의 기간내 모든 내용을 검색
   (7) [매출건 검색][매입건 검색][자산건 검색] : (J2:K2셀) 기간내 매입,매출,자산에 대한 검색
   (8) [검색(1/4분기)][검색(2/4분기)][검색(3/4분기)][검색(4/4분기)] : 분기별로 검색
   (9) [검색(상반기)][검색(하반기)] : 반기별로 검색

1. 간편장부 작성하기
   (1) [간편장부 작성]
       ① 거래내용, 거래처, 신용카드, 결제구분 등은 {설정}시트에 작성한 내용만 드롭다운 메뉴로 표시됩니다.
       ② 거래내용란을 입력하면 입력하여야 할 셀의 색깔이 자동(연녹색)으로 변경됩니다.
       ③ 연한글씨 부분은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2) 결제구분(⑦비고)
       ① {설정}시트 (W31:X40셀)에서 우선 설정하세요
       ② <법정영수증>세계:세금계산서, 전계:전자계산서, 카드:신용카드,직불카드, 현영:현금영수증, 화물:화물운전자 복지카드 
       ③ <일반영수증>간이:간이영수증, 현금,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세요.
       ④ 부가세 란은 ⑦비고(결제구분)에 (법정영수증)을 입력하면 수식에 의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3) 다른 시트의 모든 계산은 이 시트의 값을 기초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이 시트의 값이 정확하여야 합니다. (직접 수정하여도 됨)
   (4) (B열)의 번호는 단지 관리를 위한 참조용으로 입력시마다 자동으로 부여됩니다.
   (5) 이 시트의 열 삭제는 금지하고, 행을 삭제할 경우에는 행전체를 삭제하세요.
   (6) 입력의 편의를 위해 셀의 색상을 입력요구사항에 따라 변경합니다.
       ① 매출건과 매입(자산)건을 거래내용으로 확인하여 해당 작성하는 곳을 빨간색 처리 합니다.
       ② (O열)은 (N열)의 값이 "카드"일 경우 빨간색으로 변경되고 값을 입력하면 원위치 합니다.
       ③ (P열)은 거래처의 사업자등록번호가 {설정}시트에 작성되지 않은 경우 빨간색을 나타냅니다.
   (7) 매출중 세금계산서(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
       ① {세금계산서} 시트에서 작성하세요. (매출중 세금계산서로 발행건만 작성)
       ② 수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세금계산서}에서 하여야 합니다.
       ③ 전자세금계산서로 발행하는 경우에는 이 시트(간편장부)에서 내용을 입력하세요.

2. 간편장부 저장하기
   (1) [간편장부 작성]의 실행으로 활성화된 셀의 속성을 원위치함
   (2) 잘못 작성된 곳을 확인하여 경고창 띄움
   (3) 파일 저장도 함께 함

3. 장부 검색하기
   (1) [날자별 정열] : 날자 순서대로 데이터를 정열합니다.
   (2) [품목별 정열] : 품목(거래내용)별 순서대로 데이터를 정열합니다.
   (3) [장부 검색하기]
       ① (J2:K2셀)에 기간을 입력합니다. (J2셀)-검색 시작일, (K2셀)-검색 마지막일
       ② 당해년도(올해)가 아닌 경우에는 (L2셀)에 년도를 입력합니다.
       ③ 해당 검색메뉴를 실행합니다.
       ④ (N2셀)에는 해당 실행조건을 나타냅니다.








장부집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집계현황 계산] : 간편장부의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다시 계산합니다.
   (2) [그래프 분기] : 수입/비용/고정자산에 대한 분기/반기의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3) [그래프 월별] : 수입/비용/고정자산/수익에 대한 월별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4) [그래프 지우기] : 모든 그래프를 삭제합니다.

1. 집계현황 계산
   (1) 현황은 {간편장부}시트에 있는 값으로 다시 계산됩니다.
   (2) (N2셀)에 년도를 입력하세요.

2. 그래프
   (1) [그래프 월별]의 막대그래프는 수익을 나타낸 것으로
        적자일 경우에는 빨간색 막대그래프가 아래로 표시됩니다.
   (2) 그래프는 하나씩 클릭해서 지울수도 있습니다.
   (3) [그래프 분기]의 눈금최대값은 (H5셀)에 메모로 작성됩니다.
   (4) [그래프 분기][그래프 월별]의 최대값은 반기별/월별 합계 중 큰 값을 기준으로 하고있으며,
   (5) [그래프지우기] 또는 크기를 편집하여도 언제든지 다시 그릴수 있습니다.













내역별분류 : (작성내용 없음)
0. 실행메뉴
   (1) [내역별 분류] : 분류기간(J2:K2셀)의 기간 내용 전부를 나타냅니다.
   (2) [현내역 인쇄] : 현재의 내용을 인쇄합니다.
   (3) [거래내용] : 검색기간 내의 값을 거래내용별(D열)로 나타내고 합계함
   (4) [거래처별] : 검색기간 내의 값을 거래처별(E열)로 나타내고 합계함
   (5) [결제구분] : 검색기간내의 값을 결제구분별(L열)로 나타내고 합계함
   (6) [계정별] : 검색기간내의 값을 계정별(Q열)로 나타내고 합계함
   (7) [계산서] : 검색기간 내의 값중 세금계산서(또는 계산서) 발행건만 추출함
   (8) [부가세] :  : 검색기간 내의 값중 부가가치세 금액이 있거나 계산서로 발행된 내역을 추출함
   (9) [분류_1사분기][분류_2사분기][분류_3사분기][분류_4사분기] : 분기별데이터 추출
   (10) [분류 상반기][분류 하반기] : 반기별 데이터 추출

1. 분류방법
   (1) (L2셀)에 분류년도를 입력합니다.
       ① 분기별/반기별 검색시 (L2셀)을 공백으로 두면 올해의 값으로 분류합니다.
       ② (L2셀)은 년도 4자리 숫자만 입력합니다.
   (2) 분기별/반기별 검색이 아닌 경우에는 검색기간(J2:K2셀)을 입력합니다.
       ① 검색기간은 임의로 입력하여도 됩니다.
       ②  (J2셀)-검색 시작일, (K2셀)-검색 마지막일
   (3) 해당 실행메뉴를 클릭합니다.
   (4) (O2:P2셀)에 분류 내용을 나타냅니다.

2. 내용 인쇄하기
   (1) [내역인쇄] 메뉴를 실행하면 현재의 내용을 인쇄합니다.
   (2) 6~7행은 반복인쇄 합니다.

3. 기타
   (1) 이 시트의 값은 {간편장부} 시트에 있는 내용을 기간별 및 구분내용별로 나타냅니다.
   (2) 이 시트의 내용은 삭제하여도 원데이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VAT신고서}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부가세 상반기][부가세 하반기] : 반기별 부가가치세의 데이터를 계산합니다.
   (2) [부가세 분기별] : 분기별 부가가치세의 데이터를 계산합니다.
   (3) [부가세 계산식] : {VAT신고서}시트의 일부 셀의 계산식을 나타냅니다.

1. 상반기,하반기,분기별의 메뉴 실행할 경우에는
   (1) 예정,확정(F2셀)에 따라 자동으로 작성합니다.
   (2) 시트명 중 앞쪽에 'VAT'라고 된 시트는 모두 재실행합니다.
   (3) [1기예정신고]:1/4분기, [1기확정신고]:2/4분기, [2기예정신고]:3/4사분기, [2기확정신고]:4/4사분기입니다.

2. 사용자의 회사에 따라서
   (1) 예정신고누락분 등 일부 셀의 내용을 추가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2) 회사의 실정에 따라 추가로 작성하시고 금액의 합계 등은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작성된 내용을 수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메뉴를 실행하여 계산하고난 다음, 내용을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3. 실행메뉴 : [부가세_매출][부가세_매입][부가세_Card매출][부가세_Card매입][부가세_현금매출][부가세_전계공제]
                  [부가세_매출2][부가세_매입2][부가세_납부서]
   (1) 위 메뉴버튼은 각 시트의 계산을 합니다.
   (2) 계산값은 현재 {내역별분류} 시트에 있는 내용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기간이 틀릴 경우에는 우선 [내역별분류]를 실행하시기 바랍니다.
   (3) 사업자의 정보는 {설정}시트에서 하세요.






세금계산서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새로작성] : 세금계산서 새로 작성시
   (2) [계산수식] : 데이터를 수정하고자 할 때 계산식이 나타나도록 설정
   (3) [간편장부로저장] : {간편장부} 시트로 저장, 이 메뉴는 필히 실행되어야 저장됨
   (4) [다른파일로저장] : {세금계산서}시트만 다른이름으로 저장함

1. {세금계산서}{계산서} 시트
   (1) 일반양식의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여 매출한 경우만 작성합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및 매입 등은 {간편장부}시트에서 직접 작성하세요.)
   (2) 사업자에 따라 {세금계산서}가 아닌 {계산서}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계산서} 시트를 사용하세요. 

2. [스핀단추(화살표)] 버튼을 클릭하면 작성된 데이터를 찾아 옵니다. 
   (1) 작성된 순서대로 나타냅니다.
   (2) 번호의 기준은 우측상단의 숫자(AB3셀)를 기준으로 합니다. {간편장부}시트의 행번호
   (3) 세금계산서와 계산서 두가지로 작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시트에서 확인하세요

3. [새로작성] 시 번호(행번호)는 자동으로 부여 합니다. 
   (1) 상호를 선택하면 설정시트에서 작성한  거래처(공급받는자)의 정보를 가져옵니다.
   (2) 상호, 품목 및 규격은 설정시트에 작성된 내용만 입력이 가능합니다. 
   (3) 풀다운 메뉴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설정}시트에서 내용을 추가 작성하여 주세요.

4. [간편장부로저장] 메뉴는 이 시트에 작성된 내용을 {간편장부}시트로 복사 합니다.
    (세금계산서 내용 작성시 반드시 실행)

5. 작성된 세금계산서의 내용을 수정할 경우에는 반드시 작성한 (세금)계산서 시트에서 하여야 합니다.
   (1) 스핀단추(화살표 버튼)으로 내용을 찾은 후,
   (2) 내용을 수정하고 [간편장부로저장] 메뉴를 누르면 내용이 수정됨.
   (3) 부가가치세가 없는 "영세율"일 경우 비고란(AB11셀)에 "영세율"이라 입력하세요.

6. [다른파일로저장] 버튼을 누르면 이 시트만 1개 파일로 생성합니다.
   (1) 파일이름은 "거래처상호명(일련번호)"로 저장됩니다.
   (2) 거래처에 E-mail로 첨부하여 보낼 경우 유용합니다.
   (3) 이 파일의 시트보호 해제 비밀번호는 '12345'입니다.

7. [계산수식] 메뉴는 저장된 내용을 찾아와 수정할 경우 사용합니다.
    버튼을 누르면 단가, 공급가액,세액 등의 계산식이 나타납니다.







설정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설정하기] : 전체의 내용을 다른시트에서 편리하게 사용토록 설정함 (카드 및 회사의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2) [거래처설정] : 거래처(매입처 및 매출처)의 내용을 추가로 입력 하였을 경우 또는 변경되었을 경우
   (3) [샘플내용 삭제] : {간편장부}{설정} 시트의 샘플내용 삭제. 다른 시트는 데이터 입력후 사용하면 내용 변경됨
   (4) [아이디 및 비밀번호 변경] :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1. 사용자의 회사정보 입력.
   (1) (B6:G6셀) (J5:L6셀) (S5:S6셀)의 내용을 입력하세요.

2. 매입처 정보 입력 (B11:G11셀이하)
   (1) 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 등 법정영수증으로 매입하는 경우에는 사업자등록번호가 입력되어야 합니다.
   (2) <법정영수증>으로 매입하였으나 매입처의 사업자등록번호가 매입처정보에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부가가치세
       계산시 합계금액이 맞지 않습니다.
   (3) 입력된 회사명은 {간편장부}시트 작성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Y49셀)이 불특정거래처라고 하더라도 부가가치세 계산을 위해서는 매입/매출처의 정보는 입력하세요.
   (5) 간이영수증 등 법정영수증이 아닌 일반영수증으로 결제가 되었다면,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6) 신용카드거래전표에 사업자등록번호가 있으니 확인하시고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세요.

3. 매출처정보 입력 (i11:N11셀이하)
   (1)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를 발행하는 거래처는 종목까지 입력하고,
   (2) 전자세금계산서, 신용카드, 화물카드, 현금영수증 등으로 거래되는 업체라면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세요.
   (3) 거래회사가 매입 및 매출을 동시에 하는 회사라면 매입처/매출처 모두 입력하세요.

4. 매입항목 입력 (P11:Q11셀~이하)
   (1) 계정(P열)과 매입항목(Q열)은 같이 입력되어야 합니다.
   (2) 여기에 입력하지 않으면 {간편장부} 시트의 거래내용에서 입력할 수 없습니다.
   (3) 매출품목이면서 매입항목인 경우에도 입력하고, 매출품목에도 입력하여야 합니다.
   (4) 계정의 문구는 메모를 참조하여 입력하세요. 문구를 달리하면 일부시트의 계산값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5) 경비, 노무비, 매입, 자산, 기타, 매출(한품목이 매입/매출발생하는 경우) 등으로 구분하여 입력하세요.

5. 매출품목 입력 (S11:U11셀~이하)
   (1) 매출(판매) 시 세금계산서 및 계산서의 작성을 위해 매출품목을 입력하세요.
   (2) 규격이 없다면 규격은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3) 매출품목이면서 매입항목인 경우에도 입력하고, 매입항목에도 입력하여야 합니다.
   (4) {세금계산서} {계산서} 시트에서 규격을 입력시 단가를 찾아옵니다.

6. 관할세무서 정보입력(W6셀)
   (1) 세무서 계좌번호 및 코드번호는 설정 실행시 나타냅니다.
   (2) 정보가 틀리지 않으면 수정하지 마세요

7. 신용카드 정보입력
   (1) 맨 윗줄(W11셀)은 '사업용신용카드'를 입력하세요.
   (2) 작성한 신용카드는 {간편장부}시트에서 입력 가능합니다.

8. 결제구분 및 부가세 요구정보 입력
   (1) (W31:W39셀)은 변경하지 마세요.
   (2) 추가내용이 있다면 아랫쪽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3) <법정영수증>인 부가세가 있는 항목은 "부가세"라 입력하세요.

9. [설정하기] 메뉴를 실행하면 {VAT*} 시트 등에 회사 내용이 입력됩니다.
   (1) [거래처설정] 메뉴는 거래처만 정열합니다. (거래처 추가하였을 경우 반드시 실행하세요)
   (2) 이 시트에 입력된 내용으로만 제한되는 셀들이 있습니다.
   (3) 이 값들은 {간편장부}{세금계산서}{계산서} 시트에서 입력시 목록으로 나타납니다.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