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덕은 덕이라 하지 않는지라 그러므로 덕이 있으며,

하덕은 덕을 잃지 않으려 하는지라 덕이 없다.

상덕은 무위이므로 작위가 없으며, 하덕은 유위이므로 작위가 있다.

 

상인은 유위이지만 그러나 작위가 없으며, 상의는 유위이며 그러므로 작위가 있다.

상례는 유위인데, 이에 응함이 없으면 곧 팔을 휘두르면서 이에 대든다.

 

그러므로 도를 잃은 후에 덕이 있고,

덕을 잃은 후에 인이 있고,

인을 잃은 후에 의가 있고,

의를 잃은 후에 예가 있다.

대저 예란 것은 충신이 박해진 것이며 분란의 시작이다.

 

전식은 도의 열매를 맺지 못하는 꽃이며 어리석음의 시초이다.

그런 관계로 대장부는, 그 중후한 곳에 처하지 그 천박한 곳에 처하지 않으며,

그 착실한 곳에 처하지 그 부화한 곳에 처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上德無爲而無以爲, 下德 爲之而有以爲, 上人爲之而有以爲, 上義爲之而有以爲, 上禮爲之而莫之應, 則攘臂而, 故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 夫禮 者, 忠信之薄, 而亂之首, 前識者, 道之華, 而愚之始, 是以大丈夫處其厚, 不 居其薄, 處其實, 不居其華, 故去彼取此.

 

- 노자(도덕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