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하넷)
위험성 평가대상 목록 |
결
재 |
작 성 |
검 토 |
승 인 |
|||||
|
|
|
|||||||
공 사 팀 |
|||||||||
순 서 |
평가대상․공정 |
위험성평가서 No |
순 서 |
평가대상 작업 ․ 공정 |
위험성평가서 No |
||||
|
한전 |
|
|
|
|
||||
1 |
작업전준비 |
I - 1 |
|
|
|
||||
2 |
볼트조임 및 로킹너트 취부 |
I - 1 |
|
|
|
||||
3 |
활선 애자 청소 |
I - 2 |
|
|
|
||||
4 |
철탑도장공사 |
I - 3 |
|
|
|
||||
5 |
애자련보강 및 불량 애자 교체 |
I - 3 |
|
|
|
||||
6 |
전력선 교체 공사 |
I - 4, 5 |
|
|
|
||||
7 |
뒷정리 |
I - 5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
위험성 평가서 위험도계산-조치후 현재 위험도계산 값이 동일 (안전조치후 위험도 감소)
평가서 No. I - 1 |
위험성 평가서 |
결
재 |
승 인 |
|
타당성 검토 |
|||||||||
작업명 : |
검 토 |
|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작 성 |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1 |
작업전준비 |
작업전준비소홀로 인한 안전사고 |
2 |
3 |
작업전 안전교육 및 작업내용과 위험요소를 찾아내 충분한 교육후 시작 |
2 |
2 |
4 |
|
|||||
|
|
|
2 |
2 |
작업자전원 안전장구 및 작업복장을 착용하고 불필요한 물건은 소지자제 |
2 |
2 |
4 |
|
|||||
|
|
|
2 |
2 |
작업장소내 작업구획 로프 및 안전표시찰을 설치 |
2 |
2 |
4 |
|
|||||
2 |
볼트조임 및 로킹너트 취부 |
감전:검전,접지미시행 활선부위근접 |
2 |
5 |
사,활선회선 구분 표식 휴전선로 검전 및 접지 여부확인 |
2 |
4 |
8 |
|
|||||
|
|
추락:철탑상부에서 |
3 |
5 |
안전헤리띠, 보조로프 착용 전담철탑승탑자 감시자 배치 |
2 |
4 |
8 |
|
|||||
|
|
|
2 |
3 |
승탑작업자는 발판볼트 취부상태를 점검후 승탑 |
2 |
3 |
6 |
|
|||||
|
|
낙하:철탑상부공구 및 자재 |
2 |
3 |
심부름바 공구주머니 사용 확인 및 고정상태 확인 |
2 |
2 |
4 |
|
|||||
|
|
|
2 |
4 |
상하부 동시 작업 금지 암부분 작업시 작업자간 상호감시 (활선부위근접에 유의) |
2 |
3 |
6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I - 2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3 |
활선애자청소 |
감전:검전,접지 미시행 |
2 |
4 |
작업선로 재폐로 분리점검확인 세정기에 접지시행 |
2 |
4 |
8 |
|
|
|
|
|
2 |
5 |
활선작업시 주수관이격거리 적정유지(154kV 2.0m, 345kV 3.5m이상) |
2 |
4 |
8 |
|
|
|
|
추락:철탑상부 |
2 |
3 |
지상감시자배치 및 상하 부위 동시작업 엄금 |
2 |
3 |
6 |
|
|
|
|
|
2 |
5 |
애자청소 작업자는 반드시 작업순서를 준수 |
2 |
4 |
8 |
|
|
4 |
철탑도장공사 |
감전:철탑상부에서 |
2 |
4 |
활선부위접근방지 전담 승탑 감시자 배치 |
2 |
4 |
8 |
|
|
|
|
|
2 |
5 |
암부분 작업자간 상호감시 및 암 끝부분 작업시 유도전압에 의한 감전에 유의 |
2 |
4 |
8 |
|
|
|
|
추락:철탑상부 |
2 |
3 |
발판볼트가 취부된 각으로 승탑 |
2 |
3 |
6 |
|
|
|
|
|
2 |
4 |
작업전에 반드시 안전로프에 몸을 지지한다 |
2 |
3 |
6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I - 3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
|
낙하:철탑상부에서 공기구, 자재낙하 |
2 |
3 |
페인트용기는 철탑에 고정 동시승탑작업은 금함 |
2 |
3 |
6 |
|
|
|
|
화상:페이트 희석시 화기 부주의 |
2 |
3 |
페인트/희석제 취급시 화기사용은 절대금지 |
2 |
3 |
6 |
|
|
5 |
애자련 보강 및 불량애자 교체 |
감전:활선근접 |
2 |
5 |
작업선로 재폐로 분리여부 확인 불량애자 검출 활선작업거리 적정유지 |
2 |
4 |
8 |
|
|
|
|
|
2 |
5 |
활선애자 청소기, 불량 애자 검출기 점검 및 접지 확인 |
2 |
4 |
8 |
|
|
|
|
추락:상붕서 작업중에 하부 작업자에게 자재 낙하 |
2 |
3 |
지상감시자 배치 및 상하부 동시작업금지 |
2 |
3 |
6 |
|
|
|
|
재폐로계전기 미분리 |
2 |
5 |
활선시 재폐로 계전기 off확인 |
2 |
4 |
8 |
|
|
|
|
|
|
|
|
|
|
|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I - 4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6 |
전력선교체공사 |
검전 및 접지 |
2 |
6 |
접지는 각 1경간 떨어진 전원, 부하측 양쪽에 설치 |
2 |
5 |
10 |
|
|
|
|
|
2 |
5 |
검전기를 T위치에서 테스트한 후 검전하고자 하는 전압으로 전환후 검전 |
2 |
4 |
8 |
|
|
|
|
|
2 |
4 |
접지순서는 철탑측에 연결한후 전선측에 연결한다. |
2 |
4 |
8 |
|
|
|
|
감전 |
3 |
5 |
엔진장/드럼장 미접지개소 유도 전압발생, 휴전작업시 검전 및 접지시행 |
2 |
4 |
8 |
|
|
|
|
긴선철거및 연선작업 |
3 |
4 |
연선작업시 와이어 안전율확보 발받침 지선 및 안전표시물 부착 |
2 |
3 |
6 |
|
|
|
|
|
3 |
4 |
가선장비 유도방지대책(접지) 확보, 가선용 블록와이어, 전선, 감마롱,상태확인 |
2 |
4 |
8 |
|
|
|
|
|
3 |
4 |
엔진장/드럼장은 앙카 목을 묶고 연선시 엔진이나 텐션이 움직이자 않도록 고정 |
2 |
4 |
8 |
|
|
|
|
|
2 |
4 |
2회선만 사선이므로 연선시 와이어나 로프등이 활선측에 혼촉되지 않도록 주의 |
2 |
3 |
6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평가서 No. I - 5 |
위험성 평가서 |
|
||||||||
작업명 : |
||||||||||
평가일 : 2012. 02. 08. |
공 사 팀 |
|||||||||
작업 순서 |
세부작업수순 |
유해․위험요인 |
위험도계산 |
현재 안전조치 |
현 재 위험도계산 |
위험도 평가 |
개선대책 |
|||
L |
S |
L |
S |
|||||||
|
|
긴선작업 |
2 |
4 |
자동압축기등 장비의 상태를 점검 |
2 |
3 |
6 |
|
|
|
|
|
2 |
3 |
이도작업등 지상 작업자와의 유무선 연락상태 |
2 |
3 |
6 |
|
|
|
|
배전개소의 작업 |
2 |
3 |
배전선에 방호관을 씌운다 배전선로 작업시 배전선에 강관비계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 |
2 |
3 |
6 |
|
|
|
|
|
2 |
3 |
충분한 이격거리 확보후 작업 길이가 긴 강관비계는 2인1조로 다루도록 유의 |
2 |
3 |
6 |
|
|
7 |
뒷정리 |
접지 및 바인드로 인한 트립사고 |
2 |
3 |
접지 및 바인드가 선로와 연결되어 있는지 재확인 |
2 |
3 |
6 |
|
|
|
|
|
2 |
3 |
휴전측 발판 볼트를 이용 하탑하고 이상유무은 작업 책임자에게 보고 |
2 |
3 |
6 |
|
|
|
|
|
2 |
3 |
모든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책임자는 최종적으로 접지 확인 |
2 |
3 |
6 |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위험성 평가 등록대장 |
결 재 |
작성 |
검토 |
승인 |
||||||
|
|
|
||||||||
() |
||||||||||
공 종 / 작 업/ 활 동 분 류 |
위험성 평가 점수 |
위 험 요 인 |
관 리 계 획 |
비 고 |
||||||
번호 |
공 종 명 |
작 업, 활 동 |
||||||||
1 |
가공송전정비 |
볼트조임 및 로킹 너트 취부 |
8 |
감전:검전 및 접지 미시행, 활선부위 근접 |
사활선회로구분 표식 휴전선로 검전 및 접지 여부 확인 |
|
||||
2 |
|
” |
8 |
추락:철탑상부에서 |
안전허리띠, 보조 로프착용, 작업화 착용 전담 철탑 승탑자 감시원 배치 |
|
||||
3 |
|
” |
8 |
낙하:철탑상부에서 공기구 및 자재 |
심부름바, 공구주머니 사용 및 고정 상태 확인 상하부 동시 작업 금지 암부분 작업자간 활선 부위 근접 상호 감시 |
|
||||
4 |
|
활선애자청소 |
8 |
감전 및 추락:철탑상부에서 |
작업선로 재폐로 분리 점검 확인, 세정기에 접지 시행 활선작업시 주수간 이격거리 적정 유지 (154kV 2.0m, 345kV 3.5m이상) |
|
||||
5 |
|
철탑도장공사 |
8 |
감전: 철탑상부 작업중 |
활선부위 접근 방지 전담 승탑 감시자 배치 암부분 작업자간 상호 감시 및 암끝부분 작업시 유도전압에 의한 감전에 유의토록 함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
위험성 평가 등록대장
()
공 종 / 작 업/ 활 동 분 류 |
위험성 평가 점수 |
위 험 요 인 |
관 리 계 획 |
비 고 |
||
번호 |
공 종 명 |
작 업, 활 동 |
||||
6 |
가공송전정비 |
애자련보강 및 불량 애자 교체 |
8 |
감전:활선 근접 검전 및 접지 미시행 |
작업선로 재폐로 분리 여부 확인, 불량애자 검출, 활선 작업거리 적정 유지 불량애자 검출기 점검 및 접지 상태 확인 |
|
7 |
|
전력선 교체작업 |
10 |
감전:검전 및 접지 미시행 |
접지는 각 1경간 떨어진 전원 부하측 양쪽에 설치 검전기는 T위치에서 테스트한 후 검전하고자 하는 전압으로 전환 후 검전 접지 순서는 철탑 측에 연결후 전선측에 연결 한다. 엔진장, 드럼장 미접지개소 유도전압 발생 휴전 작업시는 검전 및 접지 시행 |
|
8 |
|
연선 및 긴선작업 |
8 |
연선사고 |
연선 작업시 와이어 안전율 확인, 발 받침 지선 및 안전 표시물 부착 연선 구간에는 보선원을 반드시 배치한다. |
|
9 |
|
|
8 |
장비 전도 |
지지용 양카는 장력 및 토양를 검토,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조치 드럼장의 드럼은 수평이 되게 설치하고 수시로 점검 한다. |
|
10 |
|
|
8 |
과장력 |
텐션너에는 장력계를 설치하여 연선 속도를 확인하여 과장력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작업한다.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위험성 평가 등록대장
()
공 종 / 작 업/ 활 동 분 류 |
위험성 평가 점수 |
위 험 요 인 |
관 리 계 획 |
비 고 |
||
번호 |
공 종 명 |
작 업, 활 동 |
||||
11 |
가공송전정비 |
연선 및 긴선작업 |
8 |
통신두절 |
통신수단은 2가지(무전기, 휴대전화)를 준비하여 통신를 할 수 있도록한다. |
|
12 |
|
|
8 |
운전미숙 |
드럼장 엔진장 운전은 임명된 전임자만이 운전한다. |
|
13 |
|
|
|
|
|
|
14 |
|
|
|
|
|
|
15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위험감소 우선순위 및 감소 실행계획서
공 사 팀
평가서 No |
작 업 명 |
감소대책(개선대책) |
실행일정 |
실행부서장 확인 |
비 고 |
|
[] |
|
|
|
|
I - 1 |
볼트조임, 로킹너트 취부 |
감전:사선,활선 회선구분 표식/휴전선로 검전 및 접지여부 필히 확인 |
|
|
|
|
|
추락:안전허리띠 착용/보조로프착용/전담 승탑자 감시원 배치 |
|
|
|
|
|
낙하:심부름바 공구주머니설치 암부분 작업시 작업자간 상호감시(활선부위근접) |
|
|
|
I - 2 |
활선애자청소 |
감전:세정기 접지 시행/작업선로 재폐로 분리 점검 활선작업시 수주관 이격거리 적정유지(154kV 2.0m, 345kV 3.5m이상) |
|
|
|
I - 8 |
전력선 교체작업 |
감전:접지는 1경간 떨어진 전원부하측 양쪽에 설치 검전기는 T위치에서 테스트한 후 검전하고자하는 전압으로 전환 후 검전 엔진장/드럼장 미접지 개소 유도전압발생, 휴전작업시는 검전 및 접지 사용 |
|
|
|
|
|
연선사고:연선작업시 화이어 안전율 확보 발받침 지선 및 안전 표시물 부착 연선구간에는 보선원을 반드시 배치 |
|
|
|
|
|
장비전도:지지용앙카는 장력 및 토질을 검토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설치한다. 드럼장의 드럼은 수평이 되게 설치하고 수시 점검을 한다.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위험감소 우선순위 및 감소 실행계획서
공 사 팀
평가서 No |
작 업 명 |
감소대책(개선대책) |
실행일정 |
실행부서장 확인 |
비 고 |
|
전력선 교체작업 |
과장력:텐션너에는 장력게를 설치하여 연선 속도를 확인하여 과장력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작업한다. |
|
|
|
|
|
통신두절:통신수단은 2가지(무전기,휴대전화등)이상을 준비 신호를 할 수 있도록한다. |
|
|
|
|
|
운전미숙:드럼장, 엔진장 운전은 임명된 전임자만이 운전하게 한다. |
|
|
|
I - 6 |
철탑도장공사 |
감전:활선부위 접근 방지 전담승탑 감시원 배치 / 암부분 작업자간 상호 감시 및 암부분 끝 작업시 유도전압에 의한 감전에 유의도록 한다. |
|
|
|
I - 7 |
애자련 보강 및 불량애자 교체작업 |
감전:작업선로 재폐로 분리여부 확인 / 활선 작업거리 적정 유지 불량 애자 검출기 검전 및 접지상태 확인 |
|
|
|
|
|
|
|
|
|
|
|
|
|
|
|
양식 F0703-01 (Rev.0) 강하넷
Email : kangha@daum.net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무청렴계약제 운영규정 (0) | 2021.03.11 |
---|---|
창고관리절차서 (0) | 2021.03.03 |
입찰 및 수주관리 절차서 (0) | 2021.02.27 |
기록관리규정 (0) | 2021.02.21 |
유입식 변압기 제작 표준 시방서 (0) | 2021.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