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빌딩)관리비 엑셀프로그램 V61

 

각 세대의 세대번호, 면적 등을 설정하고, 매월 검침한 데이터와 전체 부과하는 요금만 입력하면 납부고지서를 바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매월 입력할 데이터를 간편하게 전체 부과금액 또는 세대별 부과금액 등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각 오피스텔, 상가, 아파트, 공동주택 (이하 '상가'라 함)의 관리방식에 따라 각 비용의 분배방식은 면적별, 세대별 및 사용량별 등으로 적용방식을 달리 할 수 있습니다. 

공용전기 및 공용수도 요금은 (면적+사용량) 및 (세대별+사용량) 등으로 분배 방식 적용할 수 있습니다. 

(면적별%+사용량별% 또는 세대별%+사용량별%)를 적용합니다. 면적별+사용량별로 배분하는 방식이 좀 더 합리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분양초기 입주세대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세대별+사용량별로 적용하다가 변경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데이터는 수십년간 저장하도록 되어 있으나, 파일의 관리를 위해 년간단위로 파일을 별도로 저장관리 하세요.

각 세대별로 납부한 금액(일부 또는 전액)만 입력하면 매 월별로 미납연체에 대한 계산을 하여 연체료 관리가 쉬워졌습니다. 연체료 이자의 적용은 단리/복리로 계산합니다.

납부고지서는 5가지 타입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고, 납부고지서의 인쇄는 전체 일괄출력 및 각 세대별 단위로 출력 가능합니다.(A4 사용)

중간정산(임의부과)을 쉽게 합니다. 전출자는 최근 12월간의 데이터를 집계하여 평균값을 사용일자로 계산하고 전기사용량 및 수도사용량을 그간 실적에 따라 평균계산을 합니다. 전입자는 해당월의 계산 후 전출자의 납부액만큼 차감하고 과세, 비과세 등은 수식에 따른 계산을 합니다. (전체 금액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사용할 수 있는 곳 : (복합,집단,일반)상가관리, 오피스텔관리, 빌딩관리, 아파트관리실, 빌라관리실, 기타 공동주택, 시장, 임대공장 관리

 

 

 

 

 


 

==============================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중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3.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5. 본 파일은 엑셀2007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EXCEL2003이하는 안됨

 

==============================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많이 해보시기 바랍니다. 해보시지도 않고 질문부터 하시는 것은 사양합니다.

2.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하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일부 집계/분석 내용은 지워지지 않을수도 있으나 데이터 입력 후 집계/분석 실행하면 값이 변경됩니다.

3. {설정}시트에 설정내용 입력 -  [설정하기] 실행

   ① [일반사항 설정]

   ② [부과항목 설정]

4. 내용 작성

   ① {일반요금 작성}

   ② {검침요금 작성}

   ③ {납부현황}

   ④ {전체집계} 계산

5. 데이터 입력-저장 순서

   ① [전체집계 계산] 메뉴 실행

   ② [전체내역 저장] 메뉴 실행

   ③ [전체세대 인쇄] 메뉴 실행 - 고지서 출력

 

 

 

 

 

 

 

 

 

 

 

 

 

 

 

 

 

 


 

{일반요금 작성}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1 일반요금 계산] : 합계 및 세대별 요금을 작성합니다.

   (2) [(월▲▼)] : 저장된 내역을 찾아 나타냅니다.

 

1. 설정

   (1) (7행)(8행)의 항목 설정은 [부과항목 설정]을 실행 합니다.

   (2) (8행)의 계산방식

       ① 면적 : 아래 합계금액(9행)을 세대별 면적으로 나눔

       ② 세대 : 아래 합계금액(9행)을 전체세대 수로 나눔

       ③ 면적세대 : 면적비율과 세대비율로 합계금액(9행)을 나누어 계산합니다.

       ④ X  : 아래에 데이터를 세대별 요금을 직접 입력하면 합계(9행)를 계산함

   (3) 관리번호(B8셀) 및 년월(C7셀)은 별도로 입력하지 않습니다. {전체집계} 시트내용 기준임

 

2. (7행) 항목의 순서는 {고지서}의 항목순서와 같습니다.

3. {전체집계} 전에 [일반요금 계산]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검침요금 작성}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2 검침요금 계산] : 검침숫자를 근거로 사용량/기본금액/사용금액/공동요금을 계산합니다.

   (2) [(월▲▼)] : 저장된 내역을 찾아 나타냅니다.

 

1. 준비작업

   (1) 기본적으로 청색글자가 있는 셀을 작성하여야 합니다.

       ① [전체 새로작성] 실행시 신규월의 기본 형식이 제공됩니다.

       ② 작성월도 자동으로 증월 작성합니다.

       ③ 최초 사용을 제외한 이전달 검침 데이터는 자동으로 뿌립니다.

   (2) 요금 계산(부과)방식 설정

       ① [전기.수도요금 계산방식]에서 하여야 합니다.

       ② 기본요금과 공동요금의 부과방식(분배방식)을 설정합니다.

       ③ 사용량의 비율은 금액x(100%-면적비율) 또는 금액x(100%-세대비율)로 계산합니다.

   (3) 월별 내역입력

       ① 상가전체 사용량(N4셀), 기본요금(N5셀), 전력기금(P6셀),.. 등 청색글자의 값을 입력 합니다.

       ② 각 세대별 검침숫자(N11행, W11행 이하)를 입력하세요. 

 

2. 세대별 검침숫자 입력

   (1) 계량기의 검침숫자(월사용량 아님)를 해당월(N열,W열)에 입력하세요.

   (2) 월사용량은 자동으로 계산함

   (3) 계량기를 2개이상 가진 세대의 경우

       ① 검침숫자를 합하여 계산

       ② 또는 아랫부분에 별도계량기처럼 입력하여 계산할 것. 이 때는 기본요금부터 분리하여 계산됨

       ③ ①과 ②의 계산은 부과방식 비율에 따라 계산값이 달라짐

   (4) 전기만 사용하는 경우 (별도계량기로 검침하는 경우)

       ① (옥외광고, 은행CD기, 통신장비업체, 세대의 별도계량기 등)의 경우는 {설정}시트 부터 일반세대처럼 작성

       ② 기본 설정한 세대의 아랫쪽으로 별도 계량기별 구분 내용을 입력합니다.

           (세대번호/상호명란 필히 입력하고 면적란은 공백으로 둘 것)

       ③ 검침숫자를 입력합니다.

       ④ <방법1> 별도의 고지서를 발행하는 경우

           - {전체집계} 시트에 있는 세대(별도계량기 포함) 그대로 인쇄합니다.

       ⑤ <방법2> 각 세대별 요금에 합하여 고지할 경우 (일부공용전기처럼 할 것)

           - 일반 세대와 같은 적용 기준으로 작성하여 계산할 것

             a) 계산된 금액을 {일반요금 작성}시트에서 각 세대로 분배하여 부과

             b) 세대명(현재 샘플의 C49셀) = (T8셀)  의 이름을 같이하면 자동으로 분배함.

                 단 이 때는 {설정}시트의 (N열)에 배분 비율을 입력하여야 함.

           - 데이터가 누락 또는 중복되지 않도록 잘 조정 하세요.

 

3. 기타사항

   (1) 본인의 사용요금은 어쩔 수 없이 모두 내야 하지만,

   (2) 기본요금 및 공동요금은 상가(빌딩) 전체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부과하는 방식에 따라 이해득실이 달라집니다.

   (3) 가능하면 좀더 공평한 분배를 위해서는 (면적+사용량) 또는 (세대+사용량)으로 구분되어야 하고

   (4) 이에 대한 비율을 적당히 조절하면 공평하게 분배가 될 것입니다.

   (5) 전기 모자분리 세대는 기본요금/사용요금을 내지 않지만, 공용요금은 부과되어야 합니다.

 

 

 

 

 

 

 

 

 

 

{전체집계}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전체 새로작성] : 새로 작성할 형태를 나타냅니다.

   (2) [3 전체집계 계산] : 각 작성 시트에서 계산한 값을 찾아와 나타냅니다.

   (3) [4 전체내역 저장] : 현재의 내역을 {저장}시트에 저장합니다.

   (4) [(월▲▼)] : 저장된 내역을 찾아 나타냅니다.

 

1. [전체 새로작성]

   (1) 메뉴 실행 시 관리번호(B6셀) 및 년월(C5셀)은 자동으로 변경합니다.

       ① 최초 작성 시 이전월부터 작성할 경우에는 여기에서 해당월을 입력하세요.

       ② 날짜의 입력 시 해당월의 1일자를 입력합니다.

           (예) 2025-2-1   2025-11-01

   (2) {전체집계} 시트의 모든 상호~면적등 기본 데이터를 제외한 내용을 삭제합니다.

       ① 입력하는 각 시트별로 해당월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② {일반요금 작성}, {검침요금 작성}, {납부현황}, {전체집계} 시트가 준비됨

   (3) 각 시트별로 해당월의 데이터를 작성합니다.

 

2. [3 전체집계 계산]

   (1) 각 시트( {일반요금 작성},{검침요금 작성},{납부현황} )시트에서 계산한 값을 찾아 옵니다.

 

3. [4 전체내역 저장]

   (1) 메뉴를 실행하면 현재의 데이터 값을 저장합니다.

   (2) 메뉴실행 전 [전체내역 계산]을 실행하여 계산을 하세요.

   (3) 만약 이 시트의 데이터를 임의로 수정하고자 한다면

       ① 내용 수정 후 [전체내역 저장]을 실행하세요.(이 때는 전체합계 등 모든 값을 확인할 것)

       ② [전체내역 저장] 후 [(월▲▼)]를 실행하면 수정된 값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전체내역 계산]을 실행하면 수정 전 값으로 되돌립니다.

       ③ 따라서 가능하면 임의 수정은 삼가하시고 작성하는 각 시트에서 값을 수정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4) 미수금 및 연체료의 기준은 전월까지의 미수금입니다.

   (5) 이미 작성된 값이 저장되어 있다면 현재의 데이터로 수정 저장 가능합니다. 

 

4. [(월▲▼)] - 찾아보기

   (1) 데이터를 입력하는 모든 시트에서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2) 스핀단추를 누르면 저장된 내용을 찾아 나타냅니다.

   (3) 저장되지 않은 년월로는 이동하지 않으며, [전체 새로작성]할 경우에 다음달로 변경됩니다.

 

5. 기타

   (1) 데이터의 저장은 [4 전체내역 저장]과 [6 입금내역 저장]을 하여야 합니다.

   (2) 2가지의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으면 일부의 계산/찾기 값이 틀릴 수 있습니다.

 

 

 

 

 

 

 

 

 

 

 

{납부현황}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5 납부현황 작성] : 금월 고지금액을 찾아 나타냅니다.

   (2) [6 납부현황 저장] : 해당월에 추가로 입금된 내역을 작성한 후 저장합니다.

 

1. 매월 작성내용

   (1) (G열, H열)만 작성합니다.

   (2) 월 검색시 오른쪽의 데이터를 찾아 나타냅니다.

   (3) 입금내역은 오른쪽의 월별 데이터((O열~zzz열)의 데이터)를 직접 입력해도 됩니다.

   (4) '복리계산'에서는 미납액이 있는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복리계산이 됩니다.

   (5) 납부는 오래된 것부터 완납처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6) 완납이 되면 미납금액은 (0)이어야 합니다. [6 납부현황 저장] 시 자동 계산함

 

2. (O열~XFD열)의 데이터

   (1) 각 월별 미납금액입니다.

   (2) 계산되는 방식

       ① 미납금액은 월별로 계산 됩니다.

       ② 미납액이 없다면 해당월에 가서 완납으로 처리하시기 바랍니다. (미납금액=0)

       ③ 이자금액은 (L열)에서만 계산합니다.

       ④ 이자율의 계산은 가능하면 [단리]로 추천합니다.

 

3.  금액별 내용

   (1) 미납금액(K열) : 당월을 제외한 우측 월별 내용의 합계입니다.

   (2) 이자합계(L열) : 미납금액 전체의 이자비용

   (3) 합계금액(M열) : 미납금액 + 연체료

 

 

 

 

 

 

 

 

 

 

 

 

 


 

 

{납부고지서}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전체세대 인쇄] : 전체세대를 인쇄할 경우

   (2) [현재세대 인쇄] : 화면에 보이는 현재 세대만 인쇄할 경우

   (3) [고지서(호▲▼)] : 세대번호를 변경하여 내용 찾아서 나타냄

 

1. {납부고지서A,B,C,D,E} 시트의 선택은

   (1) [일반사항 설정]에서 고지서의 종류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2) 선택한 시트만 화면에 나타납니다.

   (3) 인쇄 또한 선택한 시트만 가능합니다.

 

2. {납부고지서A,B,C,D,E} 시트의 형식은

   (1) 상가명, 연락전화번호, 계좌번호 등을 사용자에 맞게 문구를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2) 각 항목은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고, 셀의 크기 조절은 가능합니다.

   (3) 셀의 추가 삽입이나 삭제를 할 수 없지만 너비, 높이는 조절 가능합니다.

   (4) 납부기한은 {설정}시트의 설정값에 의해 계산합니다.

 

3. 인쇄

   (1) 용지의 크기는 A4사이즈면 좋습니다. 일반적인 인쇄설정으로 하시면 됩니다.

   (2) 프린터에 따라 인쇄크기가 다르니 우선 시험인쇄하여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3) 인쇄설정은 (인쇄미리보기-페이지설정-자동맞춤) 으로 하면 좋습니다.

   (4) 인쇄할 금액내용은 {전체집계} 시트에 있는 내용을 인쇄합니다.

        따라서 {전체집계} 시트의 내용이 인쇄할 해당월의 내용이 맞는지 우선 확인하세요.

   (5) 해당월을 확인하고, [전체세대 인쇄]를 누르면 전체 상가의 납부고지서를 자동으로 인쇄합니다.

   (6) 지정한 세대를 인쇄할 경우에는 스핀단추로 해당 세대의 내용을 찾은다음 [현재세대 인쇄] 메뉴를 실행하세요.

 

 

 

 

 

 

 

 


 

 

{중간정산} : (작성내용 있음)

0. 실행메뉴

   (1) [중간정산 확인] : 세대(B5셀)에 대한 평균 고지액 계산

   (2) [전출세대 인쇄] : 전출 세대의 값(7행)을 고지서로 인쇄합니다.

   (3) [전입세대 인쇄] : 전입 세대의 값(33행)을 고지서로 인쇄합니다.

   (4) [세대(호▲▼)] : 세대번호를 변경합니다.

 

1. [중간정산 확인]

   (1) (B4셀) 해당월을 입력

   (2) 세대번호(J2셀) 및 정산일수(P2셀), 해당월 전기 사용량(R2셀), 해당월 수도 사용량(T2셀)을 입력

   (3) (11행~22행) 해당 세대의 최근 12개월의 고지 내역을 찾아 나타냅니다.

   (4) (8행) 해당 세대의 평균 값을 계산 합니다. 

   (5) (23행) 정기 작성에 의한 해당 세대의 월간 사용금액입니다.

   (6) (33행) = (31행)-(7행) , 전입자 부과금액 (항목이 0이하일 경우 0으로 함)

 

2. [전출세대 인쇄], [전입세대 인쇄]

   (1) 전출세대 및 전입세대의 내용을 고지서에 작성하여 인쇄 합니다.

   (2) 전입세대의 계산은 매월 정기적인 고지서 계산할 때 하시기 바랍니다.

 

3. 기타

   (1) 과세금액, 비과세금액 등은 설정된 수식에 의해서 계산합니다.

   (2) 1달은 30일로 계산함

   (3) 연체료는 기존 전출자만 해당함

 

 

 

 

 

 

 

 

 

 

 

 

 

 

 


 

 

{부과내역}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부과내역 작성] : 부과내역을 작성 합니다.

   (2) [부과내역 저장] : 작성한 내역을 저장 합니다.

   (3) [부과월(▲▼)] : 부과월을 변경합니다.

 

1. 내역을 저장하지 않으면 내역을 찾지 못합니다. 내역을 작성 후 [부과내역 저장] 하세요.

2. [부과내역 작성]은 (전기요금)(수도요금)데이터만 찾아옵니다.

3. 월의 이동은 [부과월(▲▼)]으로 합니다.

 

 

 

{부과내역(월)}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상가전체 부과내역] : 상가 전체 내역을 월별로 작성합니다.

   (2) [차트_전체] : (58행~68행)에 차트를 작성합니다.

 

1. 내역 보기

   (1) 12개월간의 내역을 나타냅니다.

   (2) (E9셀)의 년도는 최종월의 년도입니다.

 

2. 차트 그리기

   (1) [차트_전체]를 실행하면 현재 데이터를 기준으로 차트를 작성합니다.

   (2) 막대차트는 년간 금액에 대한 차트입니다.

   (3) 꺽은선 차트는 매월에 대한 데이터로 작성한 차트입니다.

   (4) 차트는 손상(삭제, 변형)하여도 다시 실행하면 같은 차트를 작성합니다.

   (5) 정확한 차트를 보기 위해서는 엑셀화면의 크기를 100%로 하여야 합니다.

   (6) 또한 (58행~68행)의 높이가 일정하여야 합니다.

 

 

 

{세대별내역(월)}:

0. 실행메뉴

   (1) [세대별 부과내역] : 세대별로 데이터를 찾아 나타냅니다.

   (2) [세대별(호▲▼)] : 세대별로 데이터를 찾아 나타냅니다.

   (3) [차트_전체] : (58행~68행)에 차트를 작성합니다.

 

1. [세대별(호▲▼)]

   (1) 세대별 데이터를 찾아 나타냅니다.

   (2) 세대는 순차적으로 나타납니다.

 

2. 차트 그리기

   (1) [차트_전체]를 실행하면 현재 데이터를 기준으로 차트를 작성합니다.

   (2) 막대차트는 년간 금액에 대한 차트입니다.

   (3) 꺽은선 차트는 매월에 대한 값으로 그린 차트입니다.

   (4) 차트는 손상(삭제, 변형)하여도 다시 실행하면 같은 차트를 작성합니다.

   (5) 정확한 차트를 보기 위해서는 엑셀화면의 크기를 100%로 하여야 합니다.

   (6) 또한 (58행~68행)의 높이가 일정하여야 합니다.

 

 

 

 

 

 

 

 

 

 

 

 


 

 

{설정}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설정하기] : 작성한 내용을 다른 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설정합니다.

                        설정 내용을 변경할 경우 이 메뉴는 다시 실행하여야 합니다.

   (2) [일반사항 설정] : 고지서, 마감일, 반올림 및 계산서 등 설정합니다.

   (3) [일반항목 계산방식] : {일반요금 작성}시트의 (면적세대) 계산방식을 설정합니다.

   (4) [부과항목 설정] : 항목의 이름 및 부가가치세 적용 여부 설정

 

   (5) [전기.수도요금 계산방식] : 전기요금 및 수도요금의 계산방식 설정

   (6) [샘플내용 삭제] : 최초 샘플로 작성된 내용을 삭제. 실행하면 이 메뉴버튼도 삭제됨

 

1. 최초설정 순서

   (1) 샘플데이터로 전체내용 및 구조를 충분히 숙지하세요.

   (2)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

       ① 현재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② 일부셀의 삭제되지 않은 값은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정)입력하시면 정상데이터로 나타납니다.

       ③ 입력셀(파란색 글자)이 아닌 데이터는 무시하고 사용 (회색글자 등)

   (3) [설정하기]-[부과항목 설정]-[일반사항 설정]-[전기.수도요금 계산방식] 등 설정내용 우선 실행

   (4) {일반요금 작성} 시트

       ① [부과항목 설정] 실행 - (F8:X9셀) 작성

       ② 면적 : 합계금액(9행)을 각 세대의 면적으로 배분

       ③ 세대 : 합계금액(9행)을 각 세대 단위로 동일하게 배분

       ④ 면적세대 : {일반항목 계산방식]에 의한 설정 시 합계금액(9행)을 면적+세대의 비율로 배분

       ⑤ X : (11행) 이하에 각 세대 단위로 부과하는 금액 작성 -> (9행)에 합계 계산

   (5) {전체집계} 시트

       ① (C5셀) 최초의 년월을 입력합니다. 작성하지 않으면 금월을 기준으로 입력 됩니다. 

           - [샘플내용 삭제]후 작서하시기 바랍니다.

           - 이 때의 관리번호(B6셀)는 (1)이어야 합니다.

       ② 이전 달부터 입력 또는 맞지 않는다면 수정하여 작성하세요. (날짜는 매월 1일자를 작성)

 

2. [부과항목 설정]

   (1) 항목 이름과 부가가치세 적용 여부를 설정합니다.

       ① O : 부가가치세 계산

       ② X : 부가가치세 미계산

   (2) [설정확인]을 실행시 항목 이름을 해당하는 각 시트에 뿌림

 

3. 일반사항 설정

   (1) 납부고지서 종류 선택

       ① A,B,C,D,E 등 5가지가 있습니다. 사용하실 양식을 선택합니다.

       ② {고지서} 시트의 각 양식은 사용자에 맞도록 상가명, 연락처, 계좌번호 등을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③ {고지서} 시트 등 모든 양식의 셀,행,열 삽입 및 삭제는 금지합니다.

   (2) 납부마감 : 매월 납부기한(마감일자) 입력

       ① (28) 이상 입력시 : 매월 말일자로 나타냄

       ② (27) 이하 입력시 : 해당일자로 나타냄

   (3) 납부 마감월

       ① 납부기한 날짜가 작성월 기준하여 이번달인지 다음달인지를 지정

       ② 이번달 : 마감일과 납부일자가 같은 달에 속하면

       ③ 다음달 : 다른달이면 "다음달"을 선택

       ④ 직접입력 : 고지서에 직접 마감일자 작성함

   (4) 연체이자 계산방식 선택

       ① 단리계산 또는 복리계산을 선택하세요.

       ② 단리계산 방식 (추천)

           - {납부현황} 시트에 작성된 연체료를 해당월 연체료로 집계합니다.

       ③ 복리계산 방식 (비추천)

           - {납부현황} 시트에 작성된 내용을 기초로 (미납액+연체료)*연체이자율을 매월 누적하여 계산합니다.

   (5) 적용 이자율

       ① 숫자만 입력하세요. 

       ② 연체료를 계산하지 않으면 '0'을 입력하세요.

       ③ 일반적으로 이자율은 년 이자율로 여기에 년 이자율로 표기 (월 이자율 아님)

       ④ 월 이자율 = 년 이자율/12 (예; 24%/12월 = 2%/월)

       ⑤ 법정 최고이자율 : 25%/년

   (6) 반올림 설정

       ① {전체집계} 시트의 계산 시 x자리수 이하를 버립니다.

       ② 일반 계산

           {납부현황} - (전체합계-전월 포함)

           {전체집계} - (과세금액)(과세합계)

           {고지서} - (연체료)

       ③ 합계 계산

           {전체집계} - (당월합계)(금월고지금액)

           {고지서} - 납기후 금액

       ④ 숫자의 의미

           0 : 일원단위 반올림

           1 : 십원단위 반올림

           2 : 백원단위 반올림

           3 : 천원단위 반올림

 

3. 검침요금(전기.수도요금) 설정

   (1) 전기 기본요금, 공용요금 계산

       ① (계산방식)이 '면적별'일 경우

          ⒜ 면적별 + 사용량별 기준입니다.

          ⒝ 면적별로만 계산할 경우에는 100%를 입력

          ⒞ 사용량별로 계산할 경우에는 0%를 입력

          ⒟ 만약 65%를 입력한 경우에는 전체금액을 면적별로 65% 배분하고 사용량별로 35%를 계산합니다.

          (e) 면적(세대) + 사용량 = 100이 되도록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② (계산방식)이 '세대별'일 경우

          ⒜ 세대별 + 사용량별 기준입니다.

          ⒝ 세대별로만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100%를 입력

          ⒞ 사용량별로 계산할 경우에는 0%를 입력

          ⒟ 만약 40%를 입력한 경우에는 전체금액을 세대별로 40% 배분하고 사용량별로 60%를 계산합니다.

          (e) 면적(세대) + 사용량 = 100이 되도록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2) 수도 공용요금 계산

       ① 공용 사용량 = 상가 전체 부과용량 - 세대 사용량 합계

       ② 면적 : 상가면적으로 배분

       ③ 세대 : 상가 세대수로 배분

 

4. 기타사항

   (1) 사용도중 상호 또는 항목의 변경이 있을 경우

       ① 내용을 수정하고

       ② [설정하기] 메뉴를 다시 실행 하세요.

       ③ 호수 등이 달라지면 이전 데이터값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사용도중 세대의 삽입/삭제 등 금지

   (2) 모든 시트의 샘플내용 중

       파란색 글자로 작성된 셀은 사용자가 작성하여야 하는 곳이므로 유념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3) 모든 시트의 괘선은 샘플삭제 후 최초설정시 1회만 작성합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괘선/색상의 추가 변경은 언제든지 가능합니다.

   (4) 모든 시트는 셀, 행, 열의 삭제/삽입을 금지합니다. 셀의 형식/괘선은 사용자에게 맞게 수정하세요.

   (5) 일부공용전기 요금비율

       ① 별도의 전기 계량기에 의해 사용되는 공용요금인 경우에 사용 합니다.

       ② 모든 세대를 입력하시고 아랫부분 상호란에 (일부공용전기)라 입력합니다.

       ③ {검침요금} 시트의 (P8셀)에 (일부공용전기)라 입력합니다. 

           (주의)  상호명 = {검침요금} 시트의 (P8셀)의 명칭이 같아야 함

       ④ 각 세대별로 비율을 {설정}시트의 (N열)에 입력합니다.

차량관리 엑셀프로그램 V06

여러 대의 자동차 주행기록 관리 및 정비에 대한 기록은 차량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설정된 항목별로 정기수리의 경우에는 교환주기에 따라 정비기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알려주고 항목별로 비용의 합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계산된 값은 자동차의 연비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챠트를 통해 연비의 향상, 감소 등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차량별, 항목별, 월간, 년간 등 여러가지 형태로 데이터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모든 데이터는 {운행일지} 시트에서 작성한 값을 기준으로 값을 계산합니다.

잘 관리된 차량은 자동차의 수명이 길어질 뿐 아니라 중고차의 가격도 높게 받을 수 있고, 회사의 자산도 잘 보존할 수가 있습니다. 

설치가 필요없는 엑셀 파일입니다.

추가기능은 해당 파일 실행 시만 작동합니다.

================================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중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3.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5. 본 파일은 엑셀2007 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003이하는 안됨

 

===================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2.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하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3. {설정}시트에 설정내용 입력

4. [설정하기] 실행

5. {운행일지}에 데이터 작성-저장-..--

6. 분석은 데이터를 어느정도 입력한 다음 실행하세요.

 

 

 

 

 

 

 

 

 



{운행일지}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일지 내역작성] : 내용을 입력하기 위한 서식 설정

   (2) [일지 작성저장] : 작성한 내용을 저장합니다.

   (3) [년▲▼] : 검색기간의 년도 변경

   (4) [월▲▼] : 검색기간의 월 변경 (작성된 전체기간)

   (5) [분기▲▼] : 검색기간의 분기 변경 (작성된 전체기간)

   (6) [반기▲▼] : 검색기간의 반기 변경 (작성된 전체기간)

 

1. 작성셀 : (11행) 이하 내용을 작성 합니다.

 

2. 최초 작성시

   (1) (B11:i11셀 이하)의 값은 반드시 입력 하세요.

   (2) (K11:P11셀 이하)은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3) 만약 작성한다면 ((최초 차량 구매시만 해당되는 내용)

       ① 차량에 따라 기존 마일리지가 많을 수도 있으니 주유량,주행거리,연비 등을 적정히 작성되어야 합니다.

       ② 여기의 값에 따라 전체 평균값이 달라질수도 있으니 가능하면 평균에 가까운 값으로 입력하여야 합니다.

       ③ (D11셀-최초등록)(K11셀-운행비)(L11셀-연료비)를 입력하고

           (M11셀/N11셀)-지금까지의 대략적인 추정 값을 입력하세요.

 

3. 데이터 작성하기

   (1) [일지 내역작성]을 실행하면 현재 작성된 아래 끝부분에 새로 작성할 수 있는 형식이 20행씩 나타납니다.

   (2) 20개(11행~30행)씩 작성 가능합니다.

   (3) 작성해야 할 셀은 녹색/적색으로 변경됩니다.

   (4) 주행거리(From)는 차량번호에 따라 자동으로 값을 가져옵니다.

        또한 거리는 주행거리(To)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5) 데이터의 작성은 주행거리 순으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작성하는 차량번호의 주행거리(From)는 계산에 의해 자동으로 찾아옵니다. 

   (6) 분류, 항목, 정비소, 주유소는 {설정}시트에 작성된 값을 가져옵니다.

   (7) [일지 내역저장]을 실행하면 형식을 지워 일반상태로 보이도록 합니다.

 

4. [일지 내역작성] 시 나타나는 수식은 입력의 편의를 위해 나타납니다.

   (1) 모든 값을 직접 입력하여도 됩니다.

   (2) 상부의 값은 현재월의 이미 작성된 내용을 찾아오고 그 아래에 새로 작성할 형식을 나타냅니다.

   (3) 20개의 내용을 모두 입력할 경우에는 다시한번 [일지 내역작성]을 실행하여 추가합니다.

   (4) 내역 작성 완료 시에는 반드시 [일지 작성저장]을 하여야 합니다.

   (5) 작성하는 단어는 같은 단어로 작성하여야 집계에서 정확한 합계를 볼 수 있습니다.

        (예) 파주시, 파주 등으로 입력하면 파주시 합계, 파주 합계로 별도로 계산합니다. 항목도 마찬가지임

 

5. [일지 작성저장]

   (1) 작성 내용이 일부 잘못되었을 경우 에러 메세지를 나타냅니다. 

   (2) 에러 메세지를 확인하고 조치한 후 다시 [일지 내역저장] 하시기 바랍니다.

 

6. 작성내용 찾아보기

   (1) 작성 내용은 언제든지 검색이 가능합니다.

   (2) 검색된 내용은 수정 저장이 가능합니다.

   (3) 검색기간은 년, 월, 분기, 반기 등으로 검색 가능합니다.

 

 

 

 

 

 

 

 

 

 

 

 

 

 



{차량별집계} : (작성내용 없음)

0. 실행메뉴

   (1) [행선지별(To)] : (N2셀) 해당 차량의 모든 내용을 행선지별(To)로 집계하여 나타냅니다.

   (2) [서비스센터별] : (N2셀) 해당 차량의 모든 내용을 정비소/주유소별로 분류 합니다.

   (3) [분류별] : (N2셀) 해당 차량의 모든 내용을 분류별로 구분하여 찾아 옵니다.

   (4) [항목별] : (N2셀) 해당 차량의 모든 내용을 항목별로 구분하여 찾아 옵니다.

   (5) [운행월별] : (N2셀) 해당 차량의 모든 월별 내용을 구분하여 찾아 옵니다.

   (6) [사용자별] : (N2셀) 해당 차량의 모든 내용을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찾아 옵니다.

   (7) [차번(▲▼)] : [날짜별] 내용을 차량별로 이동하여 즉시 나타냅니다.

 

1. 작성셀 : (N2셀)만 변경

2. 위의 실행메뉴에 따라 보이는 형태가 다릅니다.

3. 전체적인 내용은 차량번호(N2셀) 별로 나타냅니다.

 

 

 

 

 

 

 

 

 

 

 

 

 

 



{항목별현황(차번)}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항목별현황(차번)] : 차량번호별로 전체 내역 및 그래프를 나타냄

   (2) [차번(▲▼)]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은 없으며 항목 및 교환주기 등은 {설정}시트에서 합니다.

   (1) (11행) 이하에 차량별 내용 나타냄

   (2) (J2셀) 차량번호는 [차번(▲▼)] 를 실행합니다

 

2. 최종정비의 주행거리(마일리지)는 각 항목별 최종 정비한 주행거리입니다.

   (1) (C8셀)의 마일리지는 차량번호(J2셀)의 현재 최종 마일리지 입니다.

   (2) 교환주기의 설정

       ① (정기수리) - 정기적으로 수리를 요하는 부품은 {설정}시트에서 교환주기를 입력하세요.

       ② (E11:E21?셀)의 내용은 {설정}시트의 (H11:H21?셀)에 작성하고 [설정하기]를 실행 합니다.

 

3. 항목별 내용

   (1) 최종정비의 값은 항목별 최종적으로 정비한 마일리지를 나타냅니다.

   (2) (F11:F21?셀)은 잔여거리를 나타냅니다.

       ① 현재의 주행거리와 최종정비+교환주기를 비교하여 잔여 주행거리를 계산합니다.

       ② 잔여거리가 적색인 경우는 겨환주기가 지난 상태입니다.

       ③ 나타난 숫자는 잔여거리 입니다.

   (3) [운행비][관리비][비정기수리][비품][기타]

       ① (E22? 이하셀) 최종 정비/교환일자를 나타냅니다.

       ② (F22? 이하셀) 정비/교환 이후 사용 마일리지를 나타냅니다.

   (4) 그래프가 E열에 빨간색으로 나타나면 교환주기를 초과한 것입니다.

       ① 정비 잔여거리가  0이상이면 F열

       ② 0이하이면 반대쪽(E열)으로 빨간색 그래프가 나타납니다.

   (5) (H열)의 %는 전체 비용중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4. 각 항목별 백분율 값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냅니다. 

   (1) 전체비용이 아닌 금년합계에 대하여 백분율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2) 그래프에서 연료비는 제외합니다. (금액이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월별내역(차번)}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월별내역(차번)] : 전체 내역 및 그래프를 나타냄

   (2) [차번(▲▼)]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은 없으며 항목 및 교환주기 등은 {설정}시트에서 합니다.

   (1) (11행) 이하에 차량별 내용 나타냄

   (2) (J2셀) 차량번호는 [차번(▲▼)] 를 실행합니다

2. 여기에 작성되는 각 항목은 {설정}시트에서 우선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3. 실행시 "월"은 자동으로 아래로 계속 추가됩니다.

4. 월별, 항목별 집계표를 나타내어 전체의 차량관리 비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차번(▲)], [차번(▼)]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차량별내역(월)}{차량별내역(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차량별내역(월)] : 항목별로 차량별, 월간 합계를 계산합니다.

   (2) [차량별내역(년)] : 항목별로 차량별, 년간 합계를 계산합니다.

   (3) [월(▲▼)] : 월(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4) [년(▲▼)] : 년(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 : (K2셀) 날짜 변경

2. 여기에 작성되는 각 항목은 {설정}시트에서 우선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3. 실행시 등록된 모든 차량이 표시됩니다.

4. 월별, 항목별 집계표를 나타내어 전체의 차량관리 비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은 작성된 년/월을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주행내역(월)}{주행내역(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주행내역(월)-전체] : 월별로 주행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2) [주행내역(년)-전체] : 년별로 주행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3) [주행내역(월)-차번] : 월별.자량별로 주행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4) [주행내역(년)-차번] : 년별.자량별로 주행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5) [차번(▲▼)]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K2셀) 차량번호 변경 : [차번(▲▼)] 실행

   (2) [차번(▲▼)]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2. 매월별 주행연비 및 관련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3. 막대그래프는 평균에 대한 그래프로 각 셀에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4. 셀의 높이에 따라 막대그래프의 크기도 조정됩니다. 

   (1) 그래프가 그려지는 셀의 높이는 일정하게 하여야 합니다.

   (2) (6행~15행)의 높이는 일정하게 하여야 그래프를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5. 입력된 데이터의 기간만큼 자동으로 표가 늘어납니다.

 

 

 

 

 

 

 

 

 

 



{경비내역(월)}{경비내역(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경비내역(월)-전체] : 월별로 경비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2) [경비내역(년)-전체] : 년별로 경비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3) [경비내역(월)-차번] : 월별.자량별로 경비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4) [경비내역(년)-차번] : 년별.자량별로 경비내역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5) [차번(▲▼)]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K2셀) 차량번호 변경 : [차번(▲▼)] 실행

   (2) [차번(▲▼)]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2. 매월별 경비 및 관련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3. 막대그래프는 평균에 대한 그래프로 각 셀에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4. 셀의 높이에 따라 막대그래프의 크기도 조정됩니다. 

   (1) 그래프가 그려지는 셀의 높이는 일정하게 하여야 합니다.

   (2) (6행~15행)의 높이는 일정하게 하여야 그래프를 제대로 볼 수 있습니다.

5. 입력된 데이터의 기간만큼 자동으로 표가 늘어납니다.

 

 

 

 

 

 

 

 

 

 



{항목별(월)}{항목별(년)}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항목별(월)-전체] : 항목별로 월별 계산

   (2) [항목별(년)-전체] : 항목별로 년별 계산

   (3) [항목별(월)-차번] : 항목.차량별로 월별 계산

   (4) [항목별(년)-차번] : 항목.차량별로 년별 계산

   (5) [차번(▲▼)] : 차량번호(K2셀)의 변경과 해당 내용 찾아 나타냅니다.

 

1. 작성셀

   (1) (K2셀) 차량번호 변경 : [차번(▲▼)] 실행

   (2) [차번(▲▼)]은 차량번호를 순차적으로 변경하고 해당 내용을 찾아옵니다

2. 설정한 소항목별로 매월로 데이터를 합산하여 추출합니다.

3. 막대그래프는 항목별로 전체 합계에 대한 그래프 입니다.

 

 

 

 

 

 

 

 



{설정}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설정하기] : {설정}시트에 입력한 값을 다른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함

   (2) [샘플내용 삭제] : 현재의 샘플 내용을 삭제

 

1. 작성셀 : (11행) 이하의 내용 작성

 

2. 이 시트는 정비업체, 관련회사, 주유소를 설정하는 곳입니다.

   (1) 정비소, 소모품 매입하는 곳과 주유소는 구분하여 입력하십시오.

   (2) 항목설정 내용은 얼마든지 작성하여도 됩니다.

   (3) 세금기타의 우측으로 항목(대분류)은 추가하여 작성할 수는 있으나,

        집계내역은 10개 항목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3. 항목설정의 대분류와 소분류를 입력하십시오.

    대분류는 우측으로 소분류는 아래쪽으로 값을 추가하여 입력 하세요.

 

4. 각 항목을 입력 하였으면 [설정하기]를 실행하세요.

    또한 항목/값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였을 경우에도 반드시 [설정하기]를 실행하여야

    다른 시트의 값도 함께 변경 됩니다.

 

5. (J11셀)은 연료비(기름값)에 해당하는 명칭(이름)으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다른 내용으로 사용금지 합니다.

 

6.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하면 현재의 샘플이 삭제되고, 실행메뉴도 삭제 됩니다.

   (1) 다른 시트의 일부 삭제되지 않은 부분은 {운행일지} 시트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분류를 실행하면 제대로 된 값을 나타냅니다.

 

조직도작성 엑셀프로그램 V02

 

 

조직도의 작성은 쉬우면서도 가끔 짜증나는 작업이다.

매벙 조직명칭이 변경되고 아래 조직이 다른 곳으로 옮겨다니고, 조직도의 제출을 요구받는 경우에는 더욱 곤란한 지경에 처하게 된다.

본 파일은 4가지 형식으로 조직도를 작성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중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3.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5. 본 파일은 엑셀2007 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003이하는 안됨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2. 기존샘플 내용을 삭제합니다.

3. 각 시트별로 내용입력하고

    [형식설정] - [조직도작성] 실행

 

=================================

 

 

 

 

 

 

 

 

 

 

 

 

 

 

 

 

 

 

 

 



{조직도1/2/3 작성}

0. 메뉴버튼

   (1) [형식설정 1] : 작성한 내용을 구분선 작성

   (2) [조직도작성 1] : 작성한 내용으로 조직도를 그립니다.

   (3) [(박스)전체선택] : 작성된 조직도의 박스 전체를 선택합니다.

   (4) [(선)전체선택] : 작성된 조직도의 선 전체를 선택합니다.

   (5) [(박스)그룹] : 작성된 조직도의 박스 전체를 그룹으로 묶기 합니다.

   (6) [(선)그룹] : 작성된 조직도의 선 전체를 그룹으로 묶기 합니다.

   (7) [(박스)그룹해제] : 작성된 조직도의 박스의 그룹을 해제 합니다.

   (8) [(선)그룹해제] : 작성된 조직도의 선의 그룹을 해제 합니다.

   (9) [그림지우기] : 작성한 조직도를 삭제합니다.

 

1. 내용 작성

   (1) 레벨1

        ① 한 셀(B11:C11셀)만 작성 가능합니다.

        ② 조직도 그릴경우 전체의 중앙에 위치합니다.

        ③ 이름은 (C11셀)에 작성합니다.

   (2) 레벨2

        ① 11열부터 작성하세요

        ② 레벨3 조직의 첫번째 행에 위치 하여야 합니다.

        ③ 레벨2 하위 레벨3 조직은 띄운 행이 없이 작성되어야 합니다.

        ④ 레벨2 조직간의 공백이 있을 경우 공백으로 표시합니다.

        ⑤ 이름은 부서명 오른쪽으로 작성합니다.

   (3) 레벨3

        ① 레벨3 조직명은 위.아래로 공백없이(행의 공백) 작성합니다.

        ② 레벨2의 부서명은 레벨3의 조직명 중간에 위치합니다.

        ③ 레벨3의 갯수는 횡방향으로 작성해야하는 갯수 입니다. 

 

2. 그룹 묶기 및 해제

   (1) [(박스)전체선택] : 작성된 조직도의 박스 전체를 선택합니다. 

        그룹 묶기를 할 수 있습니다.

   (2) [(선)전체선택] : 작성된 조직도의 선 전체를 선택합니다.

        그룹 묶기를 할 수 있습니다.

   (3) [(박스)그룹] : 작성된 조직도의 박스 전체를 그룹으로 묶기 합니다.

        그림 이동시 편리합니다.

   (4) [(선)그룹] : 작성된 조직도의 선 전체를 그룹으로 묶기 합니다.

        그림 이동시 편리합니다.

   (5) [(박스)그룹해제] : 작성된 조직도의 박스의 그룹을 해제 합니다.

        그림이 박스로 묶기되어 있으면 삭제되지 않습니다.

   (6) [(선)그룹해제] : 작성된 조직도의 선의 그룹을 해제 합니다.

        그림이 박스로 묶기되어 있으면 삭제되지 않습니다.

 

3. 그림크기 설정

   (1) 그림의 설정은 {설정}시트에서 합니다.

   (2) 조직도 그림은 언제든지 다시 작성 가능합니다.

   (3) 레벨3의 공백은 조직도 그림에서도 공백만큼 띄워서 작성됩니다.

   (4) {조직도2}{조직도3}은 {조직도1}에 직급이 추가된 형식입니다.

   (5) 박스가 작아 텍스트가 넘칠경우 글자의 크기를 작게 해주세요.

 

 

 

 

 

 

 

 

 

 

 



{조직도4 작성}

0. 메뉴버튼

   (1) [형식설정 4] : 작성한 내용을 구분선 작성

   (2) [조직도작성 4] : 작성한 내용으로 조직도를 그립니다.

   (3) [조직명(셀)] : 조직명칭을 작성할 수 있는 셀의 형식을 나타냄

   (4) [인원명(셀)] : 조직의 인원을 작성할 수 있는 셀의 형식을 나타냄

   (5) [좌측(선)] : 선택된 셀의 좌측괘선을 나타냄

   (6) [아래(선)] : 선택된 셀의 아래괘선을 나타냄

   (7) [지우기(전체 셀)] : 현재 시트의 모든 셀의 내용 및 괘선을 삭제합니다.

   (8) [지우기(선택 셀)] : 현재 시트의 선택한 셀의 내용 및 괘선을 삭제합니다.

   (9) [지우기(좌측)] : 선택한 셀의 좌측 괘선을 삭제합니다.

   (10) [지우기(아래)] : 선택한 셀의 아래 괘선을 삭제합니다.

   (11) [지우기(안쪽수직)] : 선택한 셀의 안쪽 수직 괘선을 삭제합니다.

   (12) [지우기(안쪽수평)] : 선택한 셀의 안쪽 수평 괘선을 삭제합니다.

 

 

1. 형식 설정

   (1) [형식설정 4]를 실행

   (2) 열의 너비 지정

        ① 조직간격 : 조직간 띄울 간격을 설정합니다.

        ② 직급 폭 : 직급을 작성할 폭을 지정합니다.

        ③ 이름 폭 : 이름을 작성할 폭을 지정합니다.

   (2) 레벨 인원수 지정

        ① 인원수란에 작성합니다.

        ② 레벨별 최대 인원수를 작성하세요.

   (3) 조직단위 설정

        ① 작성할 조직위치를 선택합니다

        ② 레벨별 상위 레벨이 선택 되었을 경우 하위 레벨을 선택합니다.

        ③ 레벨을 건너 뛰는 경우는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④ 상하를 이어주는 괘선은 표현이 잘 못될 수 있으니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⑤ 그림은 언제든지 다시 그릴 수 있습니다.

 

 

 

 

 

 



{설정}

1. 실행메뉴

   없음

 

2. 그림 설정 (조직도1/2/3)

   (1) 부서명의 박스 크기

        ① 박스높이 : (D11셀)

        ② 박스너비 : (D12셀)

        ③ 보조도구를 이용할 것

   (2) 부서명의 박스 채우기

        ① 채우기 형식(D13셀) : Solid/Gradient 선택

        ② 채우기색상1(D14셀) : 부서명 박스의 색상

        ③ 채우기색상2(D15셀) : 이름 박스의 색상

   (3) 박스 외곽선 설정

        ① 굵기(D16셀) : 0.1 ~ 2.0 정도에서 입력할 것

        ② 색상(D17셀) : 0~35 사이에서 입력

   (4) 박스안쪽 글자모양

        ① 글자 크기(D18셀) : 박스 크기에 맞게 설정

        ② 글자 굵기(D19셀) : 굵게, 보통

        ③ 글자 색상(D20셀) : 0~35 사이에서 입력

   (5) 조직간 연결선

        ① 굵기(D22셀) : 0.1 ~ 2.0 정도에서 입력할 것

        ② 색상(D23셀) : 0~35 사이에서 입력

   (6) 조직간 간격

        ① 종방향(D25셀) : 레벨간 사이간격으로 행의 수를 작성

        ② 횡방향(D26셀) : 레벨3의 조직간 간격임

 

 

 

 

 

거래내역관리 엑셀프로그램 V39

 

매일 또는 자주 발생하는 거래건에 대해서 발생 시마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월별로 정리하는 개념으로 되어 있습니다.

거래내역으로 작성한 내역은 기간별로 즉시 거래내역서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거래내역 및 수금내역의 기간별, 거래처별, 품목별로 거래내역서를 분류할 수 있으며 내역의 집계는 기간 또는 월단위로 계산합니다.

수금액의 입력은 여러건을 합하여 한꺼번에 받았더라도 일괄로 입력합니다. 여러건을 합하여 수금을 하게되면 정리자체가 어려웠으나 각 건별로 분할하여 입금정리를 하기 때문에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수금입력의 경우 마지막 건이 완불이 되지 않으면 납부금액 만큼만 기록됩니다. 차후 수금시 이전에 받은 금액을 합하여 처리합니다.

내역서는 동일번호(건)로 관리되고 수정 저장이 가능합니다. 

작성시 설정된 거래처의 데이터 및 품목/규격의 데이터를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거래내역서를 작성하지 않은 내역만을 추출하여 거래내역서를 발행할 수 있도록 도와 줍니다.

관리대장 및 설정에서의 일부 값을 입력시 중복내용을 체크하여 중복작성을 방지 합니다.

부도처리한 내역은 관리대장 시트에서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합니다.

 

 

 

 

 



==================================================================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주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3.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2.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하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3. {설정}시트에 설정내용 입력

4. [설정하기] 실행

5. 관리대장에 데이터 입력-저장-..--

6. 분석은 데이터를 어느정도 여러 데이터를 입력한 다음 실행하세요.

==================================================================

 

 

 

 

 

 

 




 










{관리대장}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거래내역 새로작성] : 현재의 내용 아랫부분에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셀을 활성화함

   (2) [거래내역 저장하기] : [새로작성]르로 활성화된 셀을 비활성화함

   (3) [검색기간 입력] : 거래기간(C7~D7셀) 내의 모든 내역을 나타냄 (모든업체)

   (4) [선택내역 삭제] : 선택한 셀의 행 내역을 삭제합니다.

   (5) [(년▲▼), (월▲▼), (분기▲▼), (반기▲▼)] : 거래기간(C7~D7셀)을 변경합니다. 

 

1. [거래내역 새로작성]

   (1) 이미 작성된 현재 작성월의 내역이 있다면 우선 찾아 나타냅니다.

        ① 그 아래부분에 신규 내역을 작성합니다.

        ② 일부의 셀은 활성화 되어 작성에 도움이 됩니다.

   (2) 기 작성된 내역이 없다면 (C~K열)의 (11)행 이하에 거래내역을 작성하세요.

   (3) 여기에 작성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다른 시트의 내용을 작성 합니다.

   (4) 거래처와 품목, 규격은 {설정}시트에 먼저 작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2. [거래내역 저장하기]

   (1) [거래내역 새로작성]에서 활성화된 셀을 비활성화로 변경 합니다.

   (2) (K열)의 내역서No.은 {거래내역서}시트에서 [내역서 저장하기] 실행시에 내역서 일련번호가 작성됩니다.

   (3) 내역서 번호가 표시된 건은 거래내역서가 작성된 건입니다.

   (4) 거래합계, 미수금, 받은금액은 거래금액보다 더 수금한 경우에는 합계가 다를 수 있습니다.

 

3. 검색하기

   (1) 검색의 조건은 거래기간(C7~D7셀) 내의 내용만 검색합니다.

   (2) [(년▲▼), (월▲▼), (분기▲▼), (반기▲▼)] 실행시 순차적으로 데이터 나타냄

   (3) [검색기간 입력]

       ① [검색기간 입력]을 실행

       ② [확인] 클릭 시 해당기간 데이터 찾아옴

       ③ (D7셀)에 값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늘날짜를 자동 입력합니다.

   (4) 스핀단추[화살표] 버튼은 년/월/분기/반간 단위로 입력됨

 

4. 선택내역 삭제

   (1) 내역을 삭제할 경우 (더 이상의 데이터를 관리할 필요가 없을 경우)

   (2) (해당행)을 선택합니다.

   (3) [선택내역 삭제]를 실행합니다. (행의 내용을 직접 삭제하여도 됩니다)

 

 

 

 

 

 

 

 





{내역서미작성}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내역서 미작성] : {관리대장} 시트에 작성은 하였으나 {거래내역서}시트에서 작성하지 않은 건만을 추출해서 나타냄

   (2) [내역서(기간별)] : 미작성된 내역을 찾고 기간(월)별로 분류함

   (2) [내역서 미작성(품목별)] : 미작성된 내역을 찾고 품목별로 분류함

   (2) [내역서 미작성(기간별)] : 미작성된 내역을 찾고 거래처별로 분류함

1. 기간별/거래체별/품목별로 나타냅니다.

   (1) (J2셀)이 '기간별'이면 미작성된 전체의 내용을 나타냄

   (2) (J2셀)이 '품목별'이면 미작성된 전체의 내용을 품목별로 나타냄

   (3) (J2셀)이 '거래처별'이면 미작성된 전체의 내용을 거래처별로 나타냄

2. {거래내역서} 작성시는 거래일자(C열)를 참고하시어 작성하세요.

 

 

 

 

 

 

 









{거래내역서}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내역서 새로작성] : {관리대장} 시트의 내용중 거래내역서가 작성되지 않은 내역을 나타냄

   (2) [내역서 저장하기] : 작성된 내역서를 {내역서목록}시트로 저장 및 {관리대장} 시트에 표시

   (3) [내역서(▲▼)] : 저장된 내역서를 일련번호(E10셀) 별로 찾아옴

   (4) [(년▲▼), (월▲▼), (분기▲▼), (반기▲▼)] : 거래기간(C17:D17셀)을 변경함

 

1. [내역서 새로작성]

   (1) 이 시트에서의 실행순서

       ① 거래처기간 선택 또는 (C17:D17셀) 직접 작성

       ② [내역서 새로작성] 실행

           - [내역서 새로작성] 실행시 나타난 팝업창에 거래업체명을 입력

           - [거래기간 작성] [전체기간 작성] 버튼을 실행한다.

       ③ [내역서 저장하기] 실행

       ④ [계산서 보기] 실행 

       ※ 순서대로 실행하면 편리합니다.

   (2) 거래기간(C17:D17셀)

       ① [거래기간 작성] 실행시

           - (C17:D17셀)의 기간으로 검색합니다.

       ② [전체기간 작성] 실행시

           - 작성되지 않은 모든 건을 추출합니다.

           - (C17셀, D17셀)의 기간은 자동으로 추출되며 자동 계산됩니다.

   (3) 기타

        ① 거래기간내의 내용중 해당업체의 거래내역서가 작성되지 않은 건만 나타냄

        ② 표시내용의 건수는 40개까지 가능합니다.

        ③ 내역은 거래기간이 겹치지 않도록 작성하면 좋습니다. 

        ④ 내역서의 작성번호는 자동으로 부여됩니다.

            K년월-일련번호

 

2. 거래내역서 [내역서 저장하기]

   (1) [내역서 새로작성] 시 나타난 내용중 일부를 수정/삭제하여도 됩니다.

        ① 이 때 행삭제는 하지말고 내용만 삭제하세요

        ② 여기에서의; 데이터 수정은 {관리대장}에서 작성한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 [내역서 저장하기]는 {세금계산서}의 내용으로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3. 찾아보기

   (1) {내역서목록} 시트에서 작성된 내역을 찾아 뿌려줍니다.

   (2)[내역서(▲▼)] : 저장된 내역서를 일련번호(E10셀) 별로 찾아옴

 

4. 기타내용

   (1) 본문의 작성행 수에 따라 숨기기 행 수를 조절합니다.

       내용을 작성한 행이 20행을 넘으면 그 이상 보이고 20행이하이면 20행까지만 보입니다.

   (2) 공급받는자의 정보는 {설정}시트에 입력한 내용을 찾아옵니다.

   (3) 특기사항의 내용은 저장하지 않습니다.

 

 

 

{내역서목록}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 없슴

1. {내역서목록} 시트는 {거래내역서} 시트에서 [저장하기]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2. 거래내역의 발행기간(기간;From~To)을 참고하여 내역서를 작성하세요.

3. 단가는 {거래내역서}의 맨 상단(G13셀)에 있는 값입니다.(참고용)

 

 

 

 

 

 

 

 

 

 

 

 

 

 



{수금.부도현황} : 

0. 메뉴버튼 :

   (1) [수금현황 작성] : 수금 내역을 작성합니다.

   (2) [부도현황 작성] : 부도처리 내역을 작성합니다.

 

1. 수금현황 작성

   (1) 수금액을 입력할 경우에는 해당 기업의 내역에 대해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자동 분할 입력함

   (2) [수금내역 입력] 실행시 나타난 팝업창에 고객명, 입금일자, 입금액을 입력

   (3) [확인] 버튼을 실행한다.

   (4) 수금액이 거래단위로 맺음되지 않는 경우 전체 수금액을 각 거래단위별로 계산하여 처리합니다.

   (5) 수금별 내역은 {수금현황}시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6) 거래처별로 수금내역을 나타냅니다.

 

 

2. 부도처리현황 작성

   (1) 거래업체가 부도가 발생하여 수금이 어려운 경우

   (2) [부도처리] 실행시 나타난 팝업창에 부도처리할 거래업체명을 입력

   (3) [확인] 버튼을 실행한다.

   (4) 해당 거래업체 관련데이터는 {부도현황} 시트로 이동합니다.

 

3. 기타 

   (1) (수금내역)은 매 수금입력 건별로 저장합니다.

   (2) (부도처리내역)은 부도처리된 거래처의 전체 내역(수금+미수금)을 나타냅니다.

 

 

 

 

 

 

 

 

 










{거래내역}{수금내역}{미수금내역}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년▲▼), (월▲▼), (분기▲▼), (반기▲▼)] : 거래기간(C17:D17셀)을 변경함

 

1. 집계 검색조건 설정

   (1) 기간(C7~D7셀)을 입력하세요.

   (2) 분류구분(J2셀)을 선택하세요.

 

2. 분류구분(J2셀)

   (1) 기간별/거래처별/품목별을 선택에 따라서

   (2) 품목별 및 거래처별의 경우에는 거래처, 품목별로 그룹핑하여 소계를 계산합니다.

 

 

 

 

 

 

 

 

 

 

 





{년간현황}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공급가액] : 거래업체별 년간 공급가액을 계산합니다.

   (2) [합계금액] : 거래업체별 년간 합계금액을 계산합니다.

   (3) [수금액] : 거래업체별 년간 수금액을 계산합니다.

   (4) [미수금] : 거래업체별 년간 미수금액을 계산합니다.

 

1. 메뉴버튼을 실행 전에 해당년도(B7셀)를 입력하세요

   ① 년도(Q2)는 숫자만 입력합니다.

   ② [(년▲▼)]으로 변경하여도 됩니다.

2. (O2셀)은 실행메뉴에 따라 변경됩니다.

 

 

 

 

 

 

 

 

 

 



{설정}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1) [사용자설정] : 사용자의 내용 설정

   (2) [설정하기] : 입력한 내용을 각 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3) [샘플내용 삭제] : 현재 샘플로 작성된 내용을 삭제합니다.

       이 실행버튼은 1번 실행하면 이후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1. 사용자설정

   (1) 사용자(공급자)의 내용을 입력합니다.

 

 

2. 거래처(공급받는자) 및 제품, 규격, 단가의 내용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1) 거래처(공급받는자) : 11행 이하(C11:H~셀)에 입력 

   (2) 주거래처를 윗쪽에 작성하면 입력시 편리합니다.

 

3. 기타사항

   (1) 이 시트에 입력하여야만 다른 시트에서 내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2) [샘플내용 삭제] 버튼을 실행하면 초기 샘플로 작성된 내용 모두 삭제합니다.

       실행메뉴도 함께 삭제합니다.

   (3) 여기에 작성된 단가는 품명, 규격을 파악하여 {관리대장} 시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규격을 입력할 경우에는 반드시 품명이 입력되어야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