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개발/일정계획서

프로젝트 NO

(수주번호)

 

프로젝트명

 

고 객 명

 

 

 

설 계 항 목

설계계획 일정

완 료 일

비 고

REV.0

REV.1

REV.2

0

1

2

 

설계계획

 

 

 

 

 

 

 

설계입력목록

 

 

 

 

 

 

 

도면작성

 

 

 

 

 

 

 

설계검토

 

 

 

 

 

 

 

설계검증

(프로그램)

 

 

 

 

 

 

 

도면배포

 

 

 

 

 

 

 

유효성 확인

 

 

 

 

 

 

 

설계 업무 진행 특기사항

구분

내 용

작성

검토

승인

설계 입력자료

 

 

 

 

 

 

도면작성

 

 

 

 

 

 

설계검토

 

 

 

 

 

 

설계검증

 

 

 

 

 

 

유효성확인

 

 

 

 

 

 

제정, 개정 이력사항

Rev

일자

내 용

작성

검토

승인

0

 

 

 

 

 

1

 

 

 

 

 

2

 

 

 

 

 

QP709-1(Rev.0) ()강하넷 A4(210×297)

 

기구설계업무절차서

 

1.          목적

            

절차는 ㈜강하넷 자동화장비 사업부(이하 당사 한다)에서 공급하는 제품이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고 규정된 요구사항에 만족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체계적인 설계절차를 수립함에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절차는 당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기구설계에 관한 전반적인 업무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3.1             사양 (SPECIFICATION)

고객의 요구사항을 기록한 문서로 장비 품질에 대한 모든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문서이다.

 

3.2             설계 (DESIGN)

규정된 요구사양의 검토, 유사설계 모델 부적합사항 검토, 구매, 가공품 검토 기술상의 모든 사항을 검토하여 문서화 시키는 행위

 

3.3             PROJECT

고객으로부터 수주한 업무 또는 개발하는 업무들을 개별적으로 PROJECT 한다.

 

3.4             사양검토 (SPEC REVIEW)

고객이 요구한 사양서를 면밀히 파악하고 설계 입력자료를 작성하는 행위

 

3.5             설계 계획서 (DESIGN SCHEDULE)

고객의 요구사항이 파악되면 이를 토대로 단계별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일정을 수립하고 업무를 관리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

 

3.6             PMS ( PROJECT MASTER SCHEDULE)

PROJECT개발 추진을 위한 조직간 업무 분장 추진일정이 기록된 문서로 당사에는 공정계획표, 전체 생산계획서 등이 있다.

 

3.7             설계입력 (DESIGN IN-PUT)

규정된 요구사항을 토대로 결과에 도달토록 하기 위한 설계업무의 기초단계

 

             3.8                      설계검토 (DESIGN CHECK)

설계결과에 대한 검토사항으로 도면을 비롯한 출력물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체크한다.

 

             3.9                      설계 출력 (DESIGN OUT-PUT)

설계 입력사항을 만족시키는 설계업무의 결과물 도면, PART LIST, 전기적 사양서,  공정도, MANUAL등이 포함된다.

 

3.10         설계 검증 (DESIGN INSPECTION)

고객이 요구한 품질사항과 설계 제품과의 일치성을 확인하는 작업

 

3.11         유효성 확인

책임 있는 고객이 품질에 대한 충족여부를 검사하는 행위

 

3.12         전기적 사양 (ELECTRICAL SPEC)

전기, 전자적인 업무를 수행할 있도록 하기 위해 작성된 사양서

 

3.13         사용 설명서 (MANUAL)

당사의 장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하는 유지보수와 사용지침을 포함한 안내서

 

 

4.          책임과 권한

                          

             4.1                      담당임원

신제품 PORJECT 대한 검토 승인

 

             4.2                      설계부서장

4.2.1       설계자를 지정하거나 승인한다.   

4.2.2       상정된 PROJECT 고객이 만족할 있는 품질에 도달토록 설계 개발업무에 대한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다.

4.2.3       설계 출력물에 대해 승인 책임이 있다.  , 설계도면 자체에 대한 승인은 팀장(대리)에게 위임한다.

4.2.4       2 설계 검토 검증SHEET 대해 승인할 책임이 있다.

 

             4.3                      설계 팀장

설계자의 설계업무를 지도하고 설계변경 요청서를 비롯한 제반 설계업무에 대한 검토 확인의 책임이 있다.  , 부서장 부재시 부서장의 권한을 대행한다.

 

             4.4                      설계 담당자

부서장의 임명에 따라 해당 PROJECT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에 부합하도록 설계 업무를 수행 책임이 있다.  , 부서장 팀장이 부재시 해당 PROJECT 대한 설계업무의 책임과 권한을 대행한다.

 

4.5             영업부서장

계약검토 고객 요구사항을 설계부서장과 협의해야 책임이 있다.

설계부서에 설계업무 수행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필요 고객과 설계실 간에  업무회의를 주선 책임이 있다.

 

4.6             자재관리부서장

구매신청 내용과 일치하는 제품을 공급할 책임이 있다.

 

 

5.          업무 절차

            

5.1             신제품 업무

 

5.1.1       영업부서는 신제품 제작에 따른 개발검토 의뢰서를 설계실로 송부하여 개발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5.1.2       설계실은 영업부로부터 받은 개발검토 의뢰서를 접수하여 개발가능 여부를 검토한 영업부로 통보한다. (개발검토 의뢰서는 타당성검토를 포함한다. )

5.1.3       영업부서는 개발 가능한 PROJECT 대한 WORK ORDER SHEET SPEC 설계실로 통보하여 신제품 개발을 요청한다.

5.1.4       설계부서장은 신제품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5.2 기존제품 업무절차를 준용하여 제작할 있으나 필요한 경우 신제품 제작에 대한 별도의 업무절차를 수립하여 시행한다.

 

5.2             PROJECT 접수(기존제품) 설계자 자격요건

 

5.2.1       설계부서장은 영업부에서 배포한 WORK ORDER SHEET SPEC 검토한 PROJECT 수행할 팀을 지정하여 업무를 지시한다.

5.2.2       설계자 자격요건

1)      공고 해당학과 졸업 1 이상 실무 경력자( 회사 개발업무 경력포함)

2)      전문대이상 해당학과 졸업 6개월이상 실무 경력자( 회사 개발업무 경력포함)

 

5.3             사양 검토

 

5.3.1       설계부서장은 필요할 경우 계약 전에 설계자를 임명하여 고객담당자와 사양협의를 갖도록 할수 있다.

5.3.2       사양 협의시 기록된 회의록은 고객의 서명을 득한 특별한 사정이 없는 SPEC보다 업무적으로 우선한다.

5.3.3       설계부서장은 해당 PROJECT 임명된 설계자를 소집해서 사양검토 결과, 유사설계 모델, 설계상의 예상문제점 등을 설계입력 자료서에 기록하고 부서장의 승인을 득한다.

5.3.4       사양검토 부족한 자료는 영업부서로 자료를 요청하여, 검토결과 설계 부적합사항이 있을 경우 영업부로 통보하고 영업부는 고객과 협의후 결과를 설계실로 통보한다.

5.3.5       사양검토 부서 전문기술분야의 의견을 필요로 경우 관련부서에 요청하여 적합한 인원을 참석시킬 있다.

 

5.4             계획서 작성 변경

 

5.4.1       설계 계획서 작성

해당 PROJECT 위하여 임명된 설계자는 해당팀장의 업무지시와 설계 입력자료서 따라 설계입력에서 설계 출력까지의 업무를 단계별로 일정을 수립하여 설계 계획서를 작성하고 부서장의 승인을 득한다.

5.4.2       계획서의 변경은 고객의 요구, 회사의 방침 또는 기타 불가피한 사유로 인하여 예정된 계획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없음이 명백한 경우에 한하여 변경할 있으며 변경된 계획서는 승인권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5.5             설계 입력

 

5.5.1       설계자는 설계 계획서와 설계입력 자료서를 토대로 설계업무를 수행한다.

5.5.2       설계자는 고객이 지정했거나 우선 구매 사항으로 인정된 품목에 대하여 팀장의 검토와 부서장의 승인을 득한 자재관리 부서로 우선구매를 신청한다.

5.5.3       설계자는 구매품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기 위한 행위로 전시장등의 시장조사 활동을 있다.

5.5.4       조립도와 부품도등의 도면작성은 도면관리 절차에 따른다.

5.5.5       설계자는 작성된 도면에 따른 가공품과 제작에 필요한 구매품을 포함한 PART LIST 작성한다.

 

5.6             설계 출력

 

5.6.1       설계자는 배포가 필요한 설계 출력물을 COPY등의 업무를 통해 준비하여 부서장 승인 관련 부서에 배포한다.  (, 가공P/L 도면등록대장의 승인으로 대신할 있다. )

5.6.2       설계 출력물에 대한 부서의 협의 요청시 설계자는 필요한 문서를 준비하고 협의를 갖는다.

5.6.3       장비 MANUAL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할 있도록 하고 제작된 장비MANUAL 한부는 설계실에 보존한다.

5.6.4       설계자는 다음과 같은 문서를 설계 출력물에 포함시킨다.

1)     설계출력 LIST

2)     SPEC or 설계입력자료서

3)     전체 조립도

4)     부분 조립도

5)     부품도

6)     전기적 사양서

7)     유공압 회로

8)     PART LIST

9)     MANUAL

10) 기구설계업무 공정도

5.6.5       MANUAL에는 고객이 요구한 내용과 다음 사항들을 포함하도록 한다.

1)     장비의 작동순서 작동요령

2)     장비의 정비 지침서

3)     장비 구조와 주요 PARTS LIST

4)     유공압 회로도

5)     전기 회로도

6)     PROGRAM SHEET

7)     주요 도입품의 자료

 

5.7             설계 검토

 

5.7.1       설계Ÿ개발부서장은 해당 PROJECT 대한 전반적인 업무를 지도 감독해야 한다.

5.7.2       부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특정 부위에 대해 관련부서의 전문가에게 검토를 의뢰한다.

5.7.3       고객의 요구 또는 자체적인 요구에 의해 고객의 설계검토가 필요한 경우에 설계자는 SPEC 조립도를 준비하여 영업부 담당자와 함께 고객에게 검토를 받고 검토 회의록을 작성한다.

5.7.4       설계검토는 검토자가 2 설계검토 검증SHEET 따라 실시하고 결과를 SHEET 기록한 부서장 승인을 득한다.

5.7.5       검토자는 설계부서장 또는 부서장이 지정한 자가 된다.

 

5.8             설계 검증

 

5.8.1       설계도면에 대한 검증은 설계실에서 작성한 2 설계검토 검증SHEET로서 대신하고 PERFORMANCE 대한 설계검증은 품질관리부에서 최종검사로 대신한다.

5.8.2       설계자는 품질관리부서에 최종검사 SHEET 제작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5.8.3       설계자는 설계 검증에서 나타난 품질 미달사항을 검토하고 이를 개선한다.

 

5.9             설계 유효성 확인

 

5.9.1       설계 유효성 확인은 최종검사 고객의 방문검사 (BUY-OFF) 포함하여 제품  출고 고객이 최종 승인할 때까지 실시된다.

5.9.2       설계자는 영업부에서 배포한 유효성 확인과정의 기록들을 검토하고 문제사항을 해당팀장과 상의하여 시정 조치한다.

5.9.3       유효성 확인에 대한 고객 승인은 고객의 별도의사 표시

) 검수완료 보고서, 시운전 확인서, 회의록 등으로 대신한다.

 

5.10         설계 변경

 

5.10.1   설계변경 요청 (ECN) 설계팀장이 접수하고 실행에 대한 감독을 행한다.

5.10.2   영업부 담당자는 고객이 요구하는 사양변경 내용을 접수한 설계변경요청서  또는 고객과의 회의록을 작성하여 설계실로 통보하고 설계실은 필요한 경우 관련부서와 협의를 고객의 사양변경 요청서에 대한 가능여부 방법과 일정등을 영업부로 통보한다.

5.10.3   공정 책임자는 도면 작성시 실수로 발생하는 치수 누락등의 오류는 설계자에게 유선으로 통보하고 작업 도면을 수정한다.

5.10.4   설계자는 유선으로 통보받은 수정 내용을 원도에 기록한다.

 

 

6.          관련절차

 

6.1     계약검토 절차서

6.2     검사업무 절차서

6.3     도면관리 절차서

 

 

7.          기록 양식

 

문서번호

보관부서

보존년한

설계변경 요청서

QF-0406

설계실

영구보존

설계출력 LIST

QF-0407

설계실

영구보존

설계입력 자료서

(1 설계검토 포함)

QF-0408

설계실

영구보존

설계 계획서

QF-0409

설계실

2

전기적 사양서

QF-0410

설계실

영구보존

PART LIST (가공품)

QF-0413-1

설계실

영구보존

PART LIST (구매부품)

QF-0413-2

설계실

영구보존

업무일지

QF-0904

관리부

1

구매 신청서

QF-0414

설계실

영구보존

2 설계검토 검증SHEET

QF-0415

설계실

영구보존

 

 

 

 

 

 

 

 

 

 

 

 

 

 

 

 

 

 

 

 

 

 

 

 

 

 

 

 

 

 

 

 

 

 

 

 

 

 

 

 

 

 

 

 

 

 

 

 

 

 

 

 

 

 

 

 

 

 

 

 

개발시험의뢰서

개발시험(검사)의뢰서

접수번호 :

의뢰부서:

작 성

검 토

승 인

/

/

/

의 뢰 일 :

완료 예정일 :

담 당 자 :

업 체 명

차 종

품 명

품 번

시 험 명

1. 시 료

LOT NO :

수 량 : EA

시험후 시료처리 : 폐기, 반환, 보관( 까지)

2. 시험목적

① 개발( )단계

② 설변, VE, VA

③ CLAIM재현, 대책품

④ 기타( )

(시험의뢰 목적에 대하여 자세히 기입할것)

3. 시험항목

□ 내구성 □ 인장강도 □ 치 수

□ 내식성 □ 경 도 □ 기 타

(그 밖의 시험항목 및 조건)

시험담당 기재란

①시험항목 및 일정계획

②시험진행상의 문제점

③ 접수 및 조치결과

A.문제점

B.보완 계획,담당

접수NO

접수일

완료일

보고서NO

문제점 통보 NO.

개 선 담 당 자

개선 조치 확인

계획:

완료:

시험실시 중요도

A □ B □ C □

작 성

검 토

검 토

승 인

/

/

/

/

QI-1001-Q11 Rev.O

www.kangha.net

강하넷 (A4 양식)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년간교육훈련계획서  (0) 2013.08.21
제조설비 점검일지  (0) 2013.08.20
근태 확인 신청서  (0) 2013.08.18
폐기물 소각 요청서  (0) 2013.08.16
공적조서  (0) 2013.08.15

설계관리절차서

7.제품 실현

문서 번호

QP-0401

제정 일자

설계관리절차서

1차 개정

PAGE

1 / 8

- 목 차 -

1. 적용범위

2. 목 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 절차

6. 관련 표준.

7. 기록 관리 및 보존

구 분

작 성

검 토

승 인

등 록

부 서 명

부수

부 서

-

공 장 장

1

직 책

1

성 명

1

서 명

1

날 짜

1

개정 No

개정일

주 요 개 정 내 용

1

1

관 리 본

비 관 리 본

FP-001-01 Rev.1

강하넷 (www.kangha.net)

설계 관리 절차서

문 서

번 호

BR-QP-0401

개정

번호

2 / 8

1. 적용범위

이 절차는 설계입력/과정/출력/변경 등 설계관리의 제반업무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 적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설계에 반영하기 위한 업무절차를 기술함으로써 설계의 유효성을 확보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설계관리

제품 설계와 검증(평가) 및 제반 설계요건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조치.

3.2 설계입력

법규, 안전, 고객요구사항, 사내중요공정, END USER의 요구사항 등을 고려한 설계 결과 기준 또는

설계 요구조건

3.3 설계출력

설계도면, 설계해석, 설계계산서, 기술시방서 ,DATA SHEET 등의 기타 설계 결과 문서.

3.4 조직적 및 기술적 연계성

설계 공정에 참여하는 그룹간의 중첩된 설계업무에 대해 그룹 상호간 설계 한계 및 업무 범위를

명확히 구분하여 관리하는 조치.

3.5 설계과정

설계 입력 확인부터 설계 출력문서 발행까지의 기술적 및 운영상의 과정.

3.6. 설계검토

단계별 설계 결과에 대한 문서화된 검토.

3.7 설계검증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제품수명/신뢰성/내구성 시험 등을 말한다.

3.8 설계 유효성 확인

제품이 정해진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다는 것을 객관적 증거의 조사 및 제공에 의해 확인

하는 것이며, 요구되는 고객 프로그램 시기와의 적절성 확보, 설계 실패의 영향을 고려하여 시정 및

예방조치 될 수 있는 시스템적 확인이다.

4. 책임과 권한

4.1 공장장

(1) 설계 계획서 승인.

(2) 제품 설계에 대한 승인.

4.2 영업부서장

고객의 요구사항 접수 및 정보전달

4.3 개발 부서장

(1) 설계시 최신 정보 및 자료 입수.

(2) 설계 입력문서 검토.

(3) 제품설계의 책임.

(4) 설계출력문서 검토/설계 검증

FP-001-02 Rev.1

강하넷 (www.kangha.net)

설계 관리 절차서

문 서

번 호

BR-QP-0401

개정

번호

3 / 8

(5) 고객요구시 설계문서에 대한 고객승인 업무.

(6) 이전 DATA의 설계에 반영

(7) 자격인증된 설계요원 지정.

4.4 품질보증부서장

(1) 제품시험 및 유효성 확인업무 수행.

(2) 제품시험 및 유효성 확인 결과 보고서 작성.

4.5 상호기능 팀장

각 단계별 설계검토 업무 수행.

5. 업무 절차

5.1 설계의뢰

(1) 각부서는 자체 설계 의뢰의 필요시 설계의뢰서를 작성하여 개발부서로 설계의뢰 한다.

사장지시 또는 자체 설계의뢰는 개발부서장이 작성한다.

(2) 설계정보 파악 : 개발부서장은 설계의뢰서/계약 검토서 상의 내용과 설계 실패 사례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5.2 설계구상

개발부서장은 계약요건 및 설계의뢰서 등을 참고하고, 경쟁제품/ 당사제품/ 설계/ 품질목표를 고려

하여 설계 구상서(F7401-01)를 작성한다.

5.3 설계계획 수립

(1) 개발부서장은 설계입력 요건을 검토하고, 설계계획을 수립하여 ‘설계계획서(F7401-02)를작성한다.

(2) 설계 활동은 다음 기법중 필요한 기법을 이용하여 진행한다.

1) 기하학적 치수 및 공차법 (GD&T)

2) 가치공학 (VE)

3) 실험계획법 (DOE)

4) FMEA

5) CAD

6) 신뢰성 공학계획 (Reliability Engineering Plan)

(3) 설계계획서는 아래의 사항을 포함한다.

1) 성능 또는 특성의 목표 (설계 /품질목표)

2) 설계 인터페이스 (조직적 및 기술적 연계성)

3) 설계 검토, 검증 유효성 확인 실험.

4) 이전설계 DATA의 적용여부

5) 주요설계 활동내용

(단. 설계담당자는 자격 인증 관리지침(QI-1801-Q01)에 따라 자격 인증된 담당자를 지정토록 한다.)

(4) 설계계획서는 개발부서장이 검토하고 공장장이 승인한다.

(5) 설계 계획서는 설계 진행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으며 그때마다 갱신되어 공장장의 승인을 득한다.

5.4 설계 인터페이스 (조직적 및 기술적 연계성)

5.4.1 고객과의 설계 인터페이스

개발 부서장은 고객이 제시한 기술시방서 또는 설계도면 등을 검토, 설계문서에 반영하며 고객의

승인을 득한다.

FP-001-02 Rev.1

강하넷 (www.kangha.net)

설계 관리 절차서

문 서

번 호

BR-QP-0401

개정

번호

4 / 8

5.4.2 사외 설계 인터페이스

(1) 개발 부서장은 설계계획서에 사외 조직간 설계 인터페이스를 기술하고, 사외 설계담당자에게 기술

시방서, 제작사양서의 요구사항에 대한 기술자료를 지원한다.

(2) 개발부서장은 사외 설계 조직으로부터 설계문서를 접수하여 설계 입력 요구사항이 반영되었지를

검토하고, 고객요구시 고객의 승인을 득한다.

5.4.3 사내 설계 인터페이스

(1) 개발부서장은 설계분야별 설계한계 및 설계범위를 지정한다.

(2) 설계담당자는 분야별 설계 인터페이스가 해당 설계문서에 반영되었는지를 검토하고 개발부서장의

승인을 득한다.

5.5 설계입력

5.5.1 설계 담당자는 설계입력 요건을 설계입력요건을 설계입력 체크리스트(F7401-03)에 작성 하여야

한다.

5.5.2 설계입력 요건 작성시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 질 수 있다.

(1) 법 규제, 안전, 고객문서, 사내중요공정 ,END USER의 요구사항 등의 설계입력사항.

(2) 유사 제품 설계 및 설계 실패 데이터의 적용.

(3) 계약요건 / 계약 검토사항

(4) 설계 목표 결정.

(5) 설계 구상 내용

(6) 국가표준 및 코드,국제 표준 및 코드

(7) 안전/ 환경요건

(8) 기술적 요건 (특허/벤치마킹자료)

(9) (예비) BOM LIST

(10) 초기공정 흐름도

(11) 특별특성제품/ 공정예비목록

(12) 이전제품 D-FMEA 및 포장규격

5.5.3 설계 입력자료에 대한 변경사항은 최초 승인된 설계 입력자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승인 되어 설계

에 적용한다.

5.5.4 FMEA 운영지침(QI-0201-T03)에 따라 설계 FMEA를 실시하고 설계 FMEA SHEET(FI-0201-T31A)를

작성한다.

5.5.5 설계구상서/설계계획서/설계FMEA SHEET를 반영하여 도면관리절차서(BR-QP-0502)에 따라 설계

도면을 작성한다.

5.6 설계 출력

5.6.1 설계담당자는 다음과 같이 설계 출력한다.

(1) 작성완료된 설계 도면을 설계검토를 위해 임시출력 한다.

(2) 개발부서장의 검토를 받는다.

(3) 설계검토결과를 반영한 설계도면을 완성한다.

(4) ‘도면관리 절차’에 따라 설계도면을 출력한다.

FP-001-02 Rev.1

강하넷 (www.kangha.net)

설계 관리 절차서

문 서

번 호

BR-QP-0401

개정

번호

5 / 8

설계 출력

설계출력문서

비 고

1

설계 도면

설계 도면

제품의 외형, 자재, 물리적 치수 등을

제도법에 따라 평면상에 나타낸 문서.

2

설계 계산

설계 계산서

제품 성능이나 설계계산/해석 등의 계산

과정을 기술한 문서.

3

설계 FMEA

설계 FMEA SHEET

제품에 대하여 예상 가능한 모든 고장의

형태/원인/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문서

4

자재 시방

(예비) BOM

자재에 관한 재질,수량 등의 세부 규격을

기술한 문서.

5.6.2 설계 출력물은 다음과 같다.

5.6.3 설계 출력은 ‘문서 및 자료관리절차 (BR-QP-0501)' 및 ’도면관리 절차 (BR-QP-0502)'을 따른다.

5.6.4 출도된 설계문서 특별특성을 지정한다.

5.6.5 승인된 설계출력 문서는 필요시 계약조건에 따라 고객승인을 받는다.

5.6.6 개발부서장은 설계관련문서 배포전에 설계검토를 실시하여야 한다.

5.6.7 설계 FMEA를 이용하여 성능/위험우선 순위 분석자료

5.7 설계 검토

개발부서장은 설계단계별 설계결과에 대하여 다음사항을 고려하여 설계출력에 대한 설계검토를 수행

하고 설계검토서(F7401-04)를 작성한다.

필요시 상호기능팀을 통하여 검토할 수 있다.

(1) 설계 입력 요구사항의 충족/적합성 검토.

(2) 법규 및 고객의 기술표준 /관련기술표준의 적합성 검토.

(3) 제품의 안전성 및 적절한 기능수행에 대한 중요한 설계특성 검토.

(4) 합격판정 기준을 포함 또는 참조토록 언급.

(5) 제품의 취급 보관방법 (필요시)

(6) 제품의 안전성 자료

5.8 설계 검증

5.8.1 품질보증부서장 및 상호기능팀은 설계계획서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설계 출력문서가 고객의 요구

사항 및 설계입력요건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의 방범을 사용하여 설계검증 실시

하고 ‘설계검증보고서 (F7401-05)'에 작성한다.

(1) 대체계산 : 설계계산서 (F7401-06))

주로 계산 결과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쓰이며 다른 방법으로 계산해 보거나 약식 계산을 수행하여

원래 계산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방법이다.

(2) 이미 입증된 설계와의 비교

동일한 유형의 설계로서 이미 사용되어져 그 적절성이 알려져 있는 경우 그것과 비교 검토함으로

써 설계검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3) 시험과 실증의 실시

설계의 특성상 설계 검토 또는 기타 다른 방법으로 설계 검증이 불가능한 경우 시작품을 만들어

실제의 사용 조건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적용시켜 검토하는 방법.

FP-001-02 Rev.1

강하넷 (www.kangha.net)

설계 관리 절차서

문 서

번 호

BR-QP-0401

개정

번호

6 / 8

(4) 설계 단계별 문서의 검토

설계의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문서의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설계 검증하는 방법.

5.8.2 설계검증에 관한 요건이 고객의 계약문서에 명시되어 있을 경우 고객의 요건에 따라서 설계검증을

이행하고 그 결과를 고객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득한다.

5.9 설계 유효성 확인

5.9.1 품질보증부서장 필요시 공인기관 / 고객에게 시험의뢰하여 결과가 정해진 요구사항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1) 개발부서장은 유효성 확인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 시정 및 예방조치 절차에 의거 검토하고

고객의 요구에 적합성을 보장하기 위한 재설계를 실시하여야 한다.

(2) 고객이 유효성을 확인할 경우는 프로그램 일정 요구사항과 관련하여 제품을 지원하고, (일정변경시

기록)확인 결과를 BACK UP 관리한다.

(3) 설계 실패는 유효성 확인 결과 기록으로 문서화 한다.

(4) 모든 유효성 확인 결과 기록은 관련부서에 배포 관리한다.

5.9.2 개발부서장은 유효성 확인결과 기록을 유지 관리하며, 사후 설계활동시 시행착오을 예방할 수 있

는 설계자료로 활용한다.

5.10 설계/ 개발완료보고

설계담당은 설계관련문서 / 기록을 종합정리하여 설계/완료보고서(F7401-07)에 작성하고 개발부서장

의 검토를 거쳐 공장장의 승인을 득한다.

5.11 설계중지

(1) 설계담당은 설계중지 사유 또는 설계실패 발생시 설계검토회의를 거쳐서 설계보고서에 중지 또는

실패 사유를 기재하고 개발 부서장의 검토를 거쳐서 공장장의 승인을 득한다.

(2) 개발부서장은 설계중지 시 실패 원인을 분석하여 시정 및 예방조치을 시행하고 기록 유지하여야

한다.

5.12 설계변경

설계변경에 관한 세부사항은 ‘설계변경관리지침 (QI-0401-T01)'을 따른다.

5.13 도면 관리

설계에 관련된 도면 작성 및 관리는 도면관리 절차서 (BR-QP-0502)에 따른다.

5.14 고객 Proto type 지원

고객 Proto type 지원에 관한 세부사항은 ‘사전제품품질계획절차 (BR-QP-0201)'를 따른다.

5.15 기밀유지

(1)개발부서장은 개발중인 제품에 대한 관련정보의 기밀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 S/W 에는 암호장치를

사용하고 외부인의 개발실 출입을 통제한다.

(2) 개발제품 도면에 대한 기밀유지를 위한 사항은 도면관리절차를 따라 적색 스탬프를 날인한다.

(3) 협력업체와 관련된 기밀유지는 외주 업체 관리 절차서(BR-QP-0602)에 따라 계약을 체결한다.

FP-001-02 Rev.1

강하넷 (www.kangha.net)

설계 관리 절차서

문 서

번 호

BR-QP-0401

개정

번호

7 / 8

6. 관련 표준

6.1 사전제품품질계획절차 (BR-QP-0201)

6.2 문서 및 자료관리 절차서(BR-QP-0501)

6.2 도면관리절차서 (BR-QP-0502)

6.3 외주업체 관리절차(BR-QP-0602)

6.4 설계 변경 관리지침(QI-0401-T01)

6.5 FMEA 운영 지침(QI-0201-T03)

6.6 자격 인증 지침(QI-1801-Q01)

7. 기록의 관리 및 보존

이 절차에 관련된 기록 및 보존년한은 다음과 같다.

서식 번호

서 식 명

작성 부서

보존 년한

비 고

F7401-01

설계구상서

개발부

영구

F7401-02

설계계획서

개발부

영구

F7401-03

설계입력 CHECK SHEET

개발부

영구

F7401-04

설계검토서

개발부

영구

F7401-05

설계검증보고서

개발부

영구

F7401-06

설계계산서

개발부

영구

대체계산

F7401-07

설계완료보고서

개발부

영구

F702-T201

설계 FMEA SHEET

개발부

영구

FMEA 운영지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