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자재관리 절차서


회사 표준 신청서
구      분□ 제정        ■ 개정        □ 폐기접 수 번 호 
문 서 번 호QP-03작성팀(부서) 
문   서   명구매자재관리 절차서작 성 일 자 
개 정  N O0작   성   자 
                         
신 청 사 유ㅡ 업무분장 및 조직변경에 따른 전면 개정
팀(부서)장        검토 의견 
승인권자     검토 의견 
                         
결 재 구 분주관 팀(부서)관련 부서 합의란 (주관 팀(부서)은 등록자가 결재 할것)
작   성검  토승  인     
 "      
////////
                         
배   포     
     
F-0502(REV.0)㈜ 강하넷A4(210 × 297) 
 구매자재관리 절차서제정일자1900.01.00
제개정일1900.01.00
개정번호0
 문서번호QP-03P A G E1/7
  
 회사표준이력서 
  
 개정번호개정일자개정내용 
  
 0   
  
 1   
  
 2   
  
     
  
     
  
     
  
     
  
     
  
     
  
     
  
     
  
     
  
     
  
     
  
     
  
     
  
     
  
  
                         
F-0503(REV 0)㈜ 강하넷A4(210 × 297) 
 구매자재관리 절차서제정일자1900.01.00
제개정일1900.01.00
개정번호2
 문서번호QP-03P A G E2/7
  
  
  
  
 <  목         차  > 
                  1. 적용범위 
  
                  2.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책임과 권한 
  
                  5. 업무절차 
  
                  6. 기록 및 보존 
  
                  7. 관련표준 
  
                  8. 별첨서식 
  
  
  
  
 
 
 
   
F-0504(REV.0)㈜ 강하넷A4(210 × 297) 
 구매자재관리 절차서제정일자1900.01.00
제개정일1900.01.00
개정번호2
 문서번호QP-03P A G E3/7
  
 1. 적용 범위
     본 절차서는 ㈜강하넷(이하 "당사"라 한다)의 개발 및 생산 활동에 소요되는 원∙부자재, 
     설비(계측장비, 생산설비 포함) 등의 구매업무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적
     본 절차서는 당사의 구매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명확히 함으로써 구매품이 규정된 품질 
     요구 사항에 적합하게 구매되고 있다는 것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자재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모든 부품, 임가공된 제품 및 원∙부자재를 말한다.
     3.2 계측장비
          자재 및 제품을 검사하는 설비 및 계측기 등을 말한다.
     3.3 생산설비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생산설비 및 기타 부속장치를 말한다.
     3.4 공급업체
           당사에 자재 및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를 말한다.
     3.5 발주서 및 구매의뢰서
           당사가 공급업체에 원∙부자재, 계측장비, 생산설비 및 소모품 등을 공급하도록 요구하는 문서를 말한다.
     3.6 납기준수율
          1) 공급업체가 정한 납기일 내로 물품이 납입되는 비율을 말한다.
          2) 납기준수율(월간) = (납기 준수물품 건수 / 전체 납기품 건수) X 100
 
 4. 책임과 권한
     4.1 대표이사
          1) 계측장비 및 생산설비의 구매에 대한 최종 승인해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2) 공급업체 최종 승인 및 취소에 관한 책임과 권한이 있다.
     4.2 경영대리인
           계측장비 및 생산설비 구매에 대해 검토해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4.3 영업구매 팀(부서)장
          1)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원부자재, 설비 및 계측장비 등을 발주에서 입고까지 구매관리 해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2) 구매된 원∙부자재에 대해 수입검사를 의뢰해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3) 불량자재에 대한 보상문제를 해당 팀(부서)장과 보상내용을 상의하며 공급업체와 협의, 조정하여 
              보상 받아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4) 공급업체의 선정, 평가, 관리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있다.
          5) 원∙부자재에 대한 업체별 납기준수율을 관리해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6) 구매품에 대하여 구매정보(제품, 절차, 프로세스, 장비의 승인 등)를 확보하고, 관리해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F-0504(REV.0)㈜ 강하넷A4(210 × 297) 
 구매자재관리 절차서제정일자1900.01.00
제개정일1900.01.00
개정번호2
 문서번호QP-03P A G E4/7
  
          7) 구매 의뢰 팀(부서)로부터 구매된 장비 및 설비에 대한 검수보고서를 확보해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4.4 해당 팀(부서)장
          1) 해당 팀(부서)에 필요한 계측장비 및 생산설비 등을 구매 의뢰해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2) 해당 팀(부서)에서 구입한 계측장비 및 생산설비 등에 대한 검수 결과를 작성하여 
              영업구매 팀(부서)로 통보해야 할 책임과 권한이 있다.
 
 5. 업무 절차
     5.1 계측장비 구매
          1) 해당 팀(부서)에서 필요한 계측장비에 대해 기안을 하여 대표이사의 승인을 득한 후 
              영업구매 팀(부서)으로로 구매의뢰 한다.
          2) 영업구매 팀(부서)는 견적서 접수를 복수로 하며, 당사에 이익이 되는 업체를 선정 발주한다.
          3) 계측장비가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단일 견적 접수 할 수 있다.
             (1) 특허품, 실용신안품
             (2) 독과점으로 인하여 다른 공급자를 찾을 수 없을 경우
             (3) 기술 또는 설비 면에서 다른 적합한 경쟁자가 없을 경우
          4) 장비 입고 후 해당 팀(부서)에서는 검수 결과를 영업구매 팀(부서)에 통보하고, 이상 없을 시 
              영업구매 팀(부서)는 정상 구입품임을 확정한 후 입고처리 한다.
          5) 기타 세부사항은 계측장비관리 절차서에 따라 진행한다.
     5.2 생산설비 구매
          1) 생산 팀(부서) 또는 개발영업 팀 (부서)에서는 필요한 생산설비에 대해 기안을 하여 대표이사의 
              승인을 득한 후 영업구매 팀(부서)로 구매의뢰를 한다.
          2) 영업구매 팀(부서)는 견적서 접수를 복수로 하며, 당사에 이익이 되는 업체를 선정 발주한다.
          3) 생산설비가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단일 견적 접수 할 수 있다
             (1) 특허품, 실용신안품
             (2) 독과점으로 인하여 다른 공급자를 찾을 수 없을 경우
             (3) 기술 또는 설비 면에서 다른 적합한 경쟁자가 없을 경우
          4) 생산설비 입고 후 생산 팀(부서)에서는 검수 결과를 영업구매 팀(부서)에 통보하고, 이상 없을 시 
              영업구매 팀(부서)는 정상 구입품임을 확정한 후 입고처리 한다.
          5) 기타 세부사항은 설비관리 절차서에 따라 진행한다.
     5.3 원∙부자재 구매
          1) 구매 계획수립
             (1) 영업구매 팀(부서)담당자는 생산계획에 따라 자재 소요량을 산출하여 구매계획을 수립한다.
             (2) 구매계획 수립 시 아래 항목을 참조하여 수립한다.
                 가) 자재별 조달기간 (LEAD TIME)
                 나) 지불방법
                 다) 조달방법 (물류비용)
                 라) 인수방법 (적정재고)
             (3) 수립된 구매계획은 영업구매 팀(부서)장의 승인을 득한 후 해당 팀(부서)에 배포한다.
                         
F-0504(REV.0)㈜ 강하넷A4(210 × 297) 
 구매자재관리 절차서제정일자1900.01.00
제개정일1900.01.00
개정번호2
 문서번호QP-03P A G E5/7
  
          2) 견적서 접수
             (1) 당사에 공급업체로 등록된 경우 연초 혹은 단가협상결과 금액으로 단가의 변동이 
                  없는 한 계속 진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단가협상은 매년 초에 실시하며, 단가의 변동사항 시 재협상 할 수 있다.
             (3) 모든 견적서는 복수를 원칙으로 접수 한다.
             (4) 원∙부자재가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단일 견적으로 접수할 수 있다
                 가) 특허품, 실용신안품
                 나) 독과점으로 인하여 다른 공급자를 찾을 수 없을 경우
                 다) 기술 또는 설비 면에서 다른 적합한 경쟁자가 없을 경우
          3) 발주
             (1) 견적서 접수 후 단가, 납기, 품질 등을 고려하여 발주한다.
             (2) 당사의 정책 또는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복수의 공급자를 결정하고 분할 구매할 수
                  있다.
         4) 입고 및 검사
             (1) 자재의 입고 시 수입검사 의뢰하며, 수입검사는 검사업무 절차서에 따라 진행한다.
             (2) 검사결과 부적합 시 부적합품관리 절차서에 따라 진행한다.
         5) 납기관리
             (1) 납기는 발주서에 기록하되 생산계획의 변경 등으로 변경 될 수 있으며, 변경된 경우에는
                  추가로 발주서의 배포 없이 변경된 납기를 통보한다.
             (2) 영업구매 팀(부서)담당자는 유선 또는 방문 등을 통하여 납품진도를 관리한다.
             (3) 영업구매 팀(부서)담당자는 자재별 구매 LEAD TIME을 설정하고 관리하여야 하며, 
                  구매 LEAD TIME 단축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4) 영업구매 팀(부서)담당자는 매월 초 전달의 부품업체별 납기준수율을 파악하여 
                  영업구매 팀(부서)장에게 보고하고, 부품업체에 납기준수율을 통보하여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5.4 긴급 구매
         1) 제품생산의 중단이 발생될 정도로 긴급을 요하는 자재는 영업구매 팀(부서)장이 구두로 구매진행하며,
             관련서류는 추후 준비하여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2) 긴급구매로 인해 발생된 모든 문제에 대해서는 영업구매 팀(부서)장이 책임진다.
     5.5 일반 구매
         1) 일반 소모품 및 기타 비품류의 구매는 해당 팀(부서)의 구매의뢰서를 접수후 시행 한다.
         2) 필요수량에 대해서는 해당 팀(부서)의 담당자와 협의하여 시행 한다.
     5.6 공급업체 단가 협상
         1) 영업구매 팀(부서)장은 공급업체와 매년 초, 또는 필요시 해당업체와 단가 협상을 실시한다.
         2) 공급업체의 평가 등급을 단가 협상 시 반영한다.
     5.7 반출입관리
         1) 제품 및 원∙부자재의 반출입시 영업구매 팀(부서)에 거래명세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가공 및 수리를  
            요하는 제품의 발생시에도 수리 및 가공 의뢰서를 작성하여 영업구매 팀 (부서)에 의뢰하여야 한다.
 
  
                         
F-0504(REV.0)㈜ 강하넷A4(210 × 297) 
 구매자재관리 절차서제정일자1900.01.00
제개정일1900.01.00
개정번호2
 문서번호QP-03P A G E6/7
  
 6. 기록의 관리
 
 서식명서식번호관리 팀(부서)보존기간 
 구매의뢰서QP-03-01영업구매 팀(부서)1년 
 발 주 서QP-03-02영업구매 팀(부서)1년 
 원재료 입고 대장QP-03-03영업구매 팀(부서)3년 
 품 의 서QP-03-04영업구매 팀(부서)3년 
 재고조사표QP-03-05영업구매 팀(부서)3년 
 반입/반출증QP-03-06영업구매 팀(부서)3년 
 수리/가공의뢰서QP-03-07영업구매 팀(부서)3년 
 검수보고서QP-03-08영업구매 팀(부서)3년 
 
 7. 관련문서
     7.1 기록관리 절차서 (API-CP-02)
     7.2 공급업체 관리 절차서 (QP-04)
     7.3 검사 업무 관리 절차서 (QP-05)
     7.4 설비 관리 절차서 (QP-11)
     7.5 부적합품 관리 절차서 (QP-14)
  
 8. 별     첨
     8.1 구매의뢰서 (QP-03-01)
     8.2 발주서 (QP-03-02)
     8.3 원재료 입고대장 (QP-03-03)
     8.4 품의서 (QP-03-04)
     8.5 재고 조사표 (QP-03-05)
     8.6 반입/반출증 (QP-03-06)
     8.7 수리/가공의뢰서 (QP-03-07)
     8.8 검수보고서 (QP-03-08)
  
  
  
  
  
  
  
  
  
  
  
                         
F-0504(REV.0)㈜ 강하넷A4(210 × 297) 


www.kangha.net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경영매뉴얼  (0) 2019.06.13
교육훈련지침  (0) 2019.06.05
문서관리절차서  (0) 2019.05.30
겟다 인수검사기준서  (0) 2019.05.26
나눔 로또(Lotto)게임 [ 2019-05-25 ] 대박기원!!!  (0) 2019.05.25

MRP자재소요량 엑셀프로그램  V06


생산라인에서 요구되는 자재는 적기에 생산라인에 있어야 합니다.

요구되는 자재를 충분히 창고에 쌓아놓고 공급을 한다면 생산차질이 발생하지 않겠지만 재고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어 원가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재고비용을 줄이면서 생산활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기 위해서는 MRP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관리하여야 합니다.

고객의 제품별 발주량과 납기, 자재의 입고데이터 및 완제품의 출고분을 입력하면 재고현황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고 데이터는 {수주관리대장}시트에서 출고일자만 입력하면 해당 오더의 모든 수량을 출고로 계산하도록 되어 있어 계산이 아주 간편합니다.

단 한번의 BOM설정으로 매 수주마다 해당 사용부품의 수량을 일률적으로 계산합니다.

  






=========================================================

* 파일 실행 시 주의사항 (실행메뉴 나타내기)

1. 각 시트의 도움말은 (A1셀)에 메모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1) (A1셀)에 마우스를 올리면 나타납니다.

   (2) 기타 중요한 셀에도 메모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2. 파일을 실행 시 "매크로포함(이콘텐츠 사용)"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1) 파일을 실행하면 수식줄 아래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나타납니다.

   (2) 이 때 '옵션'을 누르고 "이콘텐츠 사용" 하여야 상단 메뉴의 [추가기능] 메뉴를 볼 수 있습니다.

3. 만약 보안경고(옵션)가 나타나지 않으면

   (1) 보안센터에서 설정을 변경하여야 합니다.

   (2) 리본메뉴 - Excel옵션 - 보안센터 - 보안센터설정 - 매크로설정 - 모든 매크로포함

   (3) (2)의 내용이 어려우면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참조하세요.

4. 본 파일은 엑셀2007 이상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003이하는 안됨




=========================================================

* 파일의 처음 실행순서

1. 샘플데이터로 충분한 연습을 합니다.

2. [샘플내용 삭제]를 실행하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일부 집계/분석 내용은 지워지지 않은 곳도 있으나 데이터 입력 후 집계/분석 실행하면 값이 변경됩니다.

3. {BOM작성 및 설정} - [설정하기] 실행

4. {BOM작성 및 설정} 시트에 설정내용 입력 - 부품명입력-[BOM 새로작성] [BOM 저장하기] 실행

5. 데이터 입력하는 시트

   ① {BOM작성 및 설정} {수주관리대장} {입고관리대장}

   ② 나머지 시트는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습니다.







수주관리대장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 없음


1. 관리번호

   (1) 수주 관리번호( 또는 고객사의 PO번호 등)를 기록합니다.

   (2) 일련번호가 아니어도 상관없습니다. 가능하면 숫자번호로 작성하세요.

   (3) 1개 수주에 주문품목이 여러개일 경우에는 관리번호를 01-1, 01-2,... 등으로 관리하세요.


2. 제품명

   (1) 제품은 {BOM작성} 시트에서 등록한 제품이어야 합니다.

   (2) 제품명 이름은 공백(Space)까지도 일치하여야 합니다.

   (3) {BOM작성} 시트에서 설정하지 않은 제품은 {MRP작성} 시트에서 계산하지 못합니다.

   (4) 드롭다운 메뉴가 나타나지 않으면 아래로 복사해서 사용하세요.


3. 기타

   (1) 수량/납기가 변경되거나 수주가 취소되면, 내용을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2) 고객명/비고 이하는 데이터 운용과는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입고관리대장 : (작성내용 있음)

0. 메뉴버튼 : 없음


1. 입고된 현황을 작성합니다.

   (1) 자재의 입고 시 작성하세요.

   (2) 작성시 품목코드와 입고수량은 정확하게 작성하여야 합니다.

   (3) 일자의 순서는 다른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2. 기 재고분 작성

   (1)우선 작성되어야 합니다.

   (2) 입고일자는 이 파일의 최초 작성일자로 작성하세요.








출고관리대장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출고대장 작성하기] : {수주관리대장} 시트 내용중 출고란에 날짜가 있는 건중 기 작성분을

       제외한 건만 작성 (추가)

   (2) [전체내용 다시작성] : {수주관리대장} 시트 내용중 출고란에 날짜가 있는 건 전체를 다시 작성


1. [출고대장 작성하기]

   (1) {수주관리대장} 시트에 있는 출고된 건을 기준으로 작성 합니다.

   (2) 만약 이미 {출고관리대장}에 작성되어 있다면 다시 작성하지 않음 (추가된 내용만 작성)


2. [전체내용 다시작성]

   (1) 이미 작성되어 있어도 전체 내용을 삭제하고, 다시 작성합니다.

   (2) 출고 건이 많을 경우 계산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음







예상소요량(기간) : (작성내용 ; 기간만)

0. 메뉴버튼

   (1) [예상소요량(기간별)] : {수주관리대장}을 기준으로 출고되지 않은 건에 대해서

       기간내의 납기건만 계산합니다.


1. [예상소요량(기간별)]

   (1) {수주관리대장} 시트에 있는 출고되지 않은 건을 기준으로 작성 합니다.

   (2) 기간(E4:E5셀)을 우선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3) 설정된 기간내의 건만 나타냅니다.







예상소요량(품목) : (작성내용 ; 품목, 수량)

0. 메뉴버튼

   (1) [예상소요량(품목별)] : {수주관리대장} 등 다른시트와는 관계없이 어떤 품목에 대해서만

       계산합니다.


1. [예상소요량(품목별)]

   (1) 예상되는 수주분의 자재소요량을 파악하고자 할 때 작성 합니다.

   (2) 품목/수량(H2:H3셀 우측)을 우선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재고관리대장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재고관리대장 작성] : {입고관리대장}{출고관리대장}에 작성된 수량을 기준으로 재고량을 계산


1. 작성하는 데이터는 없습니다.

   (1) 입고수량 ; {입고관리대장} 시트에 작성된 내용으로 입고수량(G열)을 계산함

   (2) 출고수량 ; {출고관리대장} 시트에서 계산한 출고수량(H열) 값을 나타냄


2.부품의  기 재고분은 {입고관리대장} 시트에 작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MRP작성 : (작성내용 없음)

0. 메뉴버튼

   (1) [MRP 전체작성] : {수주관리대장} 시트 작성 내용중 출고되지 않은 건에 대해서 MRP를 작성

   (2) [MRP 기간작성] : {수주관리대장} 시트 작성 내용중 출고되지 않은 건중 기간(H5:H6셀)내의 건만 MRP를 작성

   (3) [필터 해제] : [필터보기]로 필터링된 내용을 필터 해제함

   (4) [부품별 보기] : 작성된 MRP 내용중 부품명으로 필터 검색함

   (5) [수주별 보기] : 작성된 MRP 내용중 수주 관리번호로 필터 검색함

   (6) [결품만 보기] : 작성된 MRP 내용중 예상재고량이 마이너스(-)인 것만 필터 검색함

   (7) [업체별 보기] : 작성된 MRP 내용중 거래처명으로 필터 검색함


1. [MRP 전체작성]

   (1) {수주관리대장} 시트에 있는 on-HAND 수주분(출고되지 않은 것) 전체에 대해 MRP를 작성한다

   (2) 전체수주의 납기 순서대로 미출하분만 실행합니다.

   (3) 현재고량(G열)은 {재고관리대장} 시트에 계산된 수량임.

        실행전 반드시 현 재고량의 수량을 확인하여야 제대로된 값을 나타내야 합니다. 

   (4) 소요예상량(H열)은 오른쪽의 (수주분 소요량)을 합계한 것임

   (5) 결품ㅣ누계 (i6셀)는 결품이 예상되는 품목수

       ① 결품수가 1개 이상 있으면 셀이 적색으로 변화됨 (결품만)

       ② 누계는 해당 프로젝트까지의 결품 누계수

       ③ 결품 품목이 입고되었다면, {입고관리대장}에 기록하고, 다시 [MRP 작성하기]를 실행하면 값을 계산함


2. [MRP 기간작성]

   (1) 우선 납기날짜(H5:H6셀)를 작성하세요.

        ① 날짜는 납기({수주관리대장} 시트의 E열)를 기준으로 합니다.

        ② 날짜 기간내에 해당하는 수주분만 MRP를 작성합니다. 

   (2) 기간(H5:H6셀)은 매번 직접 작성하여야 함.

        단, [MRP 전체작성]를 실행하면 작성기간이 전체기간으로 자동 작성됨









BOM작성 및 설정 : (작성내용 있음)

0. 실행메뉴

   (1) [BOM 새로작성] : 새로운 제품을 작성하고자 할 때

   (2) [BOM 저장하기] : 작성한 제품을 저장함

   (3) [BOM 찾아보기] : 저장된 제품을 나타냄

   (4) [스핀단추] : [BOM 찾아보기]와 동일

   (5) [설정하기] : 부품명, 규격, 거래처 등을 다른 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

   (6) [샘플내용 삭제] : 최초 샘플로 작성된 내용을 삭제함


1. 작성순서

   (1) 최초 [샘플내용 삭제] 후 (K:P열)의 사용부품을 먼저 입력하세요.

   (2) [부품 설정하기] - [설정하기]를 실행

   (3) 제품별로 BOM을 작성 합니다. (2항)


2. BOM 저장 순서 및 방법

   (1) (K:P열)의 사용부품 작성

   (2) [BOM 새로작성]을 실행

   (3) 관리번호(C4셀) 확인 - 중복이 아닌지 등을 확인할 것

   (4) 제품명(C5셀)을 입력합니다.

        ① 만약 이미 작성된 제품명이라면 셀색상이 노란색으로 나타납니다.

        ② 작성되지 않았다면 셀 색상이 없는 투명입니다.

   (5) 내용 작성 - (B11:F11셀 이하)에 해당 BOM을 작성합니다.

   (6) [BOM 저장하기] 실행

   (7) [BOM 저장하기]할 경우 이미 저장된 내용은 수정 저장합니다. (팝업)

   (8) 기타

        ① B열 품목코드와 E열 수량은 반드시 입력되어야 합니다.

        ② [BOM 저장하기] 실행시 (H열:i열)의 제품리스트는 참조용으로 자동으로 생성됨.

        ③ 관리번호는 [BOM 새로작성] 실행시 자동으로 부여됩니다.

        ④ 사용수량까지 작성되어 있어야 MRP계산이 제대로 됩니다.


3. BOM 저장 내용 찾아볼 경우

   (1) 관리번호(C4셀)를 입력합니다.

   (2) [BOM 찾아보기]를 클릭합니다.

   (3) 또는 [스핀단추]를 클릭하면 순차적으로 번호가 변경되면서 나타냅니다.


4. 품목코드는 중복되지 않도록 하세요.

   (1) 품목코드를 기준으로 모든 내용은 작성/관리 됩니다.

   (2) 부품명/규격/거래처명/단위는 참조용입니다. 

















www.kangha.net



 

부품재고현황표

부품재고현황표

제 품 명

도 번

부 품 명

코드 No.

담 당

검 인

 

 

 

 

 

 

월 일

적 요

월 일

적 요

 

 

 

 

 

 

 

 

 

 

 

 

 

 

 

 

 

 

 

 

 

 

 

 

 

 

 

 

 

 

 

 

 

 

 

 

 

 

 

 

 

 

 

 

 

 

 

 

 

 

 

 

 

 

 

 

 

 

 

 

 

 

 

 

 

 

 

 

 

 

 

 

 

 

 

 

 

 

 

 

 

 

 

 

 

 

 

 

 

 

 

 

 

 

 

 

 

 

 

 

 

 

 

 

 

 

 

 

 

 

 

 

 

 

 

 

 

 

 

 

 

 

 

 

 

 

 

 

 

 

 

 

 

 

 

 

 

 

 

 

 

 

 

 

 

 

 

 

 

 

 

 

 

 

 

 

 

 

 

 

 

 

 

 

 

 

 

 

 

 

 

 

 

 

 

 

 

 

 

 

 

 

 

 

 

 

 

 

 

 

 

 

 

 

 

 

 

 

 

 

 

 

 

 

 

 

 

 

 

 

 

 

 

 

 

 

 

 

 

 

 

 

 

 

 

 

 

 

 

 

 

 

 

 

 

 

 

 

 

 

 

 

 

 

 

 

 

 

 

 

 

 

 

 

 

 

 

 

 

 

 

 

 

 

 

 

 

 

 

 

 

 

 

 

 

 

 

 

 

 

 

 

 

 

 

 

 

 

 

 

 

 

 

 

 

 

 

 

 

 

 

 

 

 

 

 

 

 

 

 

 

 

강하넷 KH-705-04 (REV.0)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일지  (0) 2018.08.17
위험성평가표-변압기설치  (0) 2018.08.16
검사장비 교정기록사항  (0) 2018.08.13
AS처리 신청서  (0) 2018.08.12
계약검토 상세내역  (0) 2018.08.10

자재명세서


제품명

 

자 재 명 세 서

BILL OF MATERIAL

매 수

/

작성일자

 

규 격

 

화 일 명

 

No.

품 명

규 격

단위

소요량

제 작 처

비 고

1

 

 

EA

 

 

 

2

 

 

EA

 

 

 

3

 

 

EA

 

 

 

4

 

 

EA

 

 

 

5

 

 

EA

 

 

 

6

 

 

EA

 

 

 

7

 

 

EA

 

 

 

8

 

 

EA

 

 

 

9

 

 

EA

 

 

 

10

 

 

EA

 

 

 

11

 

 

EA

 

 

 

12

 

 

EA

 

 

 

13

 

 

EA

 

 

 

14

 

 

EA

 

 

 

15

 

 

EA

 

 

 

16

 

 

EA

 

 

 

17

 

 

EA

 

 

 

18

 

 

EA

 

 

 

19

 

 

EA

 

 

 

20

 

 

EA

 

 

 

(강하넷 양식) (KH-04-01 REV:0)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일보  (0) 2018.07.21
산학협정서  (0) 2018.07.18
폐기매각장비 관리대장  (0) 2018.07.12
현장작업지침서  (0) 2018.07.05
JIG검정의뢰서  (0) 2018.07.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