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mail : kangha@daum.net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면관리절차서 (1) | 2023.02.23 |
---|---|
제조공정도 (1) | 2023.02.20 |
검사업무절차서 (2) | 2023.02.16 |
주문 및 인도관리 프로세스 (0) | 2023.02.13 |
도장절차서 (0) | 2023.02.08 |
Email : kangha@daum.net
도면관리절차서 (1) | 2023.02.23 |
---|---|
제조공정도 (1) | 2023.02.20 |
검사업무절차서 (2) | 2023.02.16 |
주문 및 인도관리 프로세스 (0) | 2023.02.13 |
도장절차서 (0) | 2023.02.08 |
(강하넷)
강하넷 |
환 경 지 침 서 |
문서번호 |
KH-0001 |
페이지 |
제정일자 |
2008-11-20 |
|||
수질관리지침서 |
개정일자 |
- |
1/3 |
|
개정번호 |
00 |
■ 제ㆍ개정 이력
개정번호 |
제ㆍ개정 일자 |
제ㆍ개정 내용 |
제ㆍ개정사유 |
0 |
DBE |
제정 |
ISO14001:2004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신규제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승 인
결
재 |
구분 |
작성 |
검 토 |
승인 |
부서/성명 |
품질/환경관리팀장 |
경영 대리인 |
대표자 |
|
서명 |
|
|
|
|
일자 |
|
|
|
강하넷 |
환 경 지 침 서 |
문서번호 |
KH-0001 |
페이지 |
제정일자 |
2008-11-20 |
|||
수질관리지침서 |
개정일자 |
- |
2/3 |
|
개정번호 |
00 |
1. 적용범위
이 규정은 당사에서 발생되는 시공 공정상 발생되는 폐수 및 당사에서 발생되는 기타 오수를 처리 시 수질 환경 보전법에서 규정한 운영절차 및 책임사항에 대해서 적용한다.
2. 목적
이 규정은 당사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 물질을 적정 처리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며, 수질환경보전법 및 기타 관계 법령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만족하고 수질오염으로 인한 환경 영향을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오수 : 사람의 일상생활과 관련하여 수세식변소,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더러운 물
3.2 분뇨 : 화장실에서 수거되는 오염물질(정화조의 청소에서 발생하는 오니 포함)
3.3 수질오염방지시설 : 폐수배출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설
3.4 폐수배출시설 : 수질오염 물질을 공공수역에 배출하는 시설물, 기계, 기구 및 기타 물체
3.5 공공수역 : 하천, 호수, 항만, 연안 해역, 기타 공공용에 사용되는 수역과 이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수역
3.6 위탁 처리업소 : 발생 오/폐수의 적법처리를 위하여 당사의 환경 주관 부서의 계약을 체결한 업소로서 지방환경청 등의 적법하게 허가를 득 한 업체를 말한다.
4. 책임과 권한
4.1 공사부서
4.1.1 발생 오/폐수의 적법처리 여부 확인
4.1.2 배출 부서 및 수탁 처리 업소 지도, 감독
4.1.3 발생 오/폐수 처리 현황 관리 유지
4.1.4 발생 오/폐수의 적법한 처리 결과 기록, 작성
4.1.5 관계관청 수검 업무 및 기타 환경관련 법에서 요구하는 사항의 이행
4.2 해당 부서
4.2.1 발생 오/폐수의 적법 관리/사내 기준 준수
4.2.2 발생 오/폐수의 처리 발생 계획 검토
4.2.3 발생 오/폐수의 보관 시설에 대한 표시방법에 의한 적법 관리
4.2.4 발생 오/폐수를 고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정상처리 되지 않은 상태로 무단 배출 여부 관리
강하넷 |
환 경 지 침 서 |
문서번호 |
KH-0001 |
페이지 |
제정일자 |
2008-11-20 |
|||
수질관리지침서 |
개정일자 |
- |
3/3 |
|
개정번호 |
00 |
5. 업무절차 및 방법
5.1 공사현장의 수질오염 발생원
5.1.1 지표수오염
① 물 사용으로 인한 오/탁수 발생 및 강우 시(또는 지표수) 토사유출로 인한 오탁 물질 배출
②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③ 정화조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5.1.2 수질오염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요건은 환경경영추진계획에 작성토록 한다.
5.1.3 공사현장 환경관리자는 측정 및 점검관리 지침서에 따라 점검하여야 한다.
5.1.4 점검의 결과로 발생된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요구서는 관련 지침서에 따라 관리된다.
5.1.5 수질관리에 관한 법규는 법규 및 기타요구사항 관리 지침서를 참조한다.
5.2 수질오염 저감대책
5.2.1 장마철에는 토양의 노출면 및 야적장을 시트로 피복하여 오수의 발생을 방지한다.
5.2.2 오수 내 유분은 흡착포 등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5.2.3 장비 및 차량의 무분별한 세척을 금지한다.
5.2.4 정화조는 정기적으로 청소를 실시한다.
5.3. 수질오염방지 운영관리
5.3.1 환경담당자는 현장의 수질관리절차가 적합하게 이행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점검한다.
5.3.2 현장 환경담당자는 운영관리 절차에 대하여 모니터링 체크리스트에 기록하여 식별, 유지관리 할 책임이 있다.
5.3.3 수질오염에 대한 규제기준(배출량, 오염도)은 관계 법규의 규제치를 참고하여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에 따른다.
5.3.4 악취가 발산되지 아니하도록 하고, 파리, 모기 등 해충의 번식을 방지해야 한다.
Email : kangha@daum.net
부적합품관리절차서 (0) | 2021.05.12 |
---|---|
경관조명기구지침서 (0) | 2021.05.11 |
품질감사절차서 (0) | 2021.05.09 |
법규적용여부결정서(수질) (0) | 2021.05.04 |
검사 및 시험상태관리절차서 (0) | 2021.05.03 |
1. 목적
본 절차는 전기조립 공정 중 전기설계와 관련된 업무를 체계화 시킴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고객의 만족을 충족시키기 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당사의 전기조립 공정 중 배선설계 및 PROGRAM 설계업무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3.1 PROJECT
고객으로부터 수주한 업무 또는 개발하는 업무들을 개별적으로 PROJECT라 칭한다.
3.2 전기설계
PROJECT에 맞게 구동할 수 있도록 전기적 기호, 심벌 또는 논리적 기호로 도식화하는 행위로 배선설계와 PROGRAM 설계를 총칭한다.
3.3 전기설계 입력
기구설계자가 제공하는 PROJECT별 DATA로써 공압회로도, SENSOR위치도, S/W PANEL도, 고객사양서, 사양검토서, 전기관련부품LIST등을 이용하여 전기설계를 하기위한 준비단계 단, 전기설계 입력자료에 의해 작성된 IN-OUT 접점 설정표도 전기설계 입력자료에 해당된다.
3.4 전기설계 검토
전기설계 결과에 대한 검토사항으로 도면작성 사항과 제작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CHECK한다.
3.5 전기설계 출력
전기설계 입력 요구사항을 충족시킨 결과
3.6 전기설계 검증
전기설계 출력물이 설계입력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가를 확인하는 행위
3.7 PLC IN/ OUT 접점도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INPUT CARD와 OUTPUT CARD에 연결되는 각종 부품의 접속을 도식화 한것
3.8 INTERFACE 회로도
PLC의 INPUT / OUTPUT CARD와 타 장치간에 전기적으로 직접 소통할 수 없는 경우에 상호 소통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회로도.
3.9 PROGRAM
PLC 또는 COPUTER에 사용하는 SOFTWARE의 명칭으로서 전기적 기호나 심벌을 논리적인 기호 또는 COMPUTER LANGUAGE로 작성한 PROGRAM을 의미한다.
3.10 IN / OUT 접점설정표
PLC 또는 COMPUTER의 IN / OUT접점에 접속할 부품의 명칭(또는 신호명칭)을 정한 것이다.
4. 책임과 권한
4.1 전기전자 지원팀장
4.1.1 전기설계 업무에 대한 승인 및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다.
4.1.2 제작 또는 기능의 보완상 전기설계 변경 요청 시에는 검토할 책임이 있다.
4.2 공정책임자
4.2.1 전기전자 지원팀장으로부터 받은 전기설계 입력자료에 대해 담당자를 교육시킨다.
4.2.2 전기설계 출력물에 대한 확인, 검토의 책임이 있다.
4.3 담당자
PROJECT에 대한 업무 완료 시까지 규정된 요구사항에 부합하도록 업무를 수행할 책임이 있다.
5. 업무 절차
5.1 PROJECT 접수 및 담당자 자격요건
5.1.1 PROJECT 접수 및 담당자 임명은 전기조립 공정관리 절차서 5.1항과 5.2항에 따른다.
5.1.2 담당자의 자격
1) 배선설계 담당자 자격요건
고졸 이상자로서 해당학과 졸업자 또는 전기업무 1년 이상 경력자
2) PROGRAM 설계 담당자 자격요건
고졸 이상자로서 LADDER PROGRAM 경력 1년 이상인자 또는 LANGUAGE PROGRAM 작성이 가능한 자
5.2 설계 계획서 (DESIGN SCHEDULE : 전기) 작성
공정책임자는 생산계획에 따라 담당자를 선임하고 전기설계계획을 수립하여 전기 전자지원 팀장의 승인을 받는다.
5.3 전기설계 입력
5.3.1 담당자는 전기설계 입력자료를 토대로 전기설계 시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한다.
5.3.2 담당자는 전기설계 입력자료를 충분히 파악하여 고객의 요구사항과 기구설계자의 의도를 이해해야 된다.
5.4 전기설계 출력
5.4.1 담당자는 전기설계 입력자료에 맞게 배선설계 출력물을 작성한다.
5.4.2 담당자는 전기설계 입력자료와 PROGRAM 작성 지침서에 따라 PROGRAM 설계출력물을 작성한다.
5.4.3 담당자는 검토가 끝난 전기설계 출력물을 전기전자지원팀장의 승인을 득한다.
5.5 전기설계 출력물 관리
5.5.1 전기설계 출력물은 디스켓에 저장하여 보관함을 원칙으로 하고 년 단위로 일괄 보관하되 제번 별로 구분되도록 한다.
5.5.2 디스켓 보관장소 : 정해진 서랍장에 놓고 잠금장치 를 한다.
5.5.3 보관용 디스켓은 3.5” 디스켓을 사용하고 다음 “예 1”과 같이 작성하여 디스켓케이스에 부착하며 케이스에 보관하는 개별디스켓은 “예2”와 같이 작성.부착하여 저장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예 1”
제 번 |
장 비 명 칭 |
PLC 기종 |
제작년도 |
97-005 |
TQFP LASER |
MASTER-K 500 |
1997 |
A0001 |
TQFP LASER |
MASTER-K 500 |
2000 |
"예 2”
제 번 |
|
|
|
96044 |
|
|
|
PLC TYPE |
ELECTRICAL CIRCUIT |
● |
|
MASTER-K |
TOUCH PROGRAM |
● |
|
제작년도 |
I/O LIST |
● |
|
1966년 |
|
|
|
11월20일 |
|
|
|
5.5.4 전기설계 출력물 보관 디스켓에는 PLC PROGRAM, I /O LIST, ERROR LIST 전기회로도, STEPPING DATA, TOUCH PROGRAM등을 저장한다.
(단, 용량이 큰 전기회로도등은 HDD에 보관한다.)
5.5.5 전기설계 출력물이 저장된 디스켓은 CD로 영구 보관하되 12개월 단위로 다시 백업하고 전기설계 출력물 관리대장에 백업결과를 기록한다.
5.6 전기설계 검토
5.6.1 공정 책임자는 담당자의 전기설계 출력물이 전기설계 입력자료 또는 PORGRAM작성 지침서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전기설계 검토를 한다.
5.6.2 전기설계 검토기록은 해당 도면에 기록한다.
5.7 전기설계 검증
전기설계 검증은 전기설계에 대한 PERFORMANCE 검증으로하며 검사업무 절차에 따라 실시하는 최종검사로 대신한다.
5.8 설계 유효성 확인
전기설계의 유효성 확인은 PROJECT 전체의 유효성 확인과 함께 기구설계업무 절차서 5.9항에 따라 실시한다.
5.9 전기설계 변경
5.9.1 배선설계 변경
1) 배선설계 변경은 배선설계 요류 또는 전기적 기능의 보완이나 고객의 사양변경으로 전기적 기능이 변화할 경우에 실시한다.
2) 1)항에 따라 배선설계 변경이 필요할 경우에는 배선설계 출력물에 변경 내용을 기재하고 담당자가 SIGN하여 공정책임자의 검토 후 배선설계 변경을 하고 설계상 이상이 없으면 일괄하여 전기전자지원팀장의 최종승인을 받는다.
5.9.2 PROGRAM 설계변경
1) PROGRAM 설계는 PROGRAM 공정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시운전 완료 시점을 프로그램 출력물 작성시점으로 본다.
2) 1)항에 따라 시운전 후 최종검사, BUY-OFF, 출하검사, SET-UP등의 업무에서 프로그램 변경사유가 발생하면 담당자는 프로그램을 변경하고 변경을 요청한 검사원 또는 고객의 승인을 득한 후 그 내용을 프로그램 출력물에 기록한다.
6. 관련절차
6.1 검사업무 절차서
6.2 기구조립공정 관리 절차서
6.3 전기조립공정 관리 절차서
6.4 PROGRAM 작성 지침서
내부 품질 감사 CHECK LIST (0) | 2014.08.23 |
---|---|
서비스 절차서 (0) | 2014.08.21 |
문서 및 자료관리 규정 (0) | 2014.08.18 |
공사계약관리규정 (0) | 2014.08.16 |
계측기관리프로세스 (0) | 2014.08.13 |
검사 및 시험상태절차서
1. 목적.
본 절차서는 제품의 검사 및 시험 상태를 명확히 식별하여 합격된 제품만 사용 출고하도록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범위.
본 절차서는 제품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식별에 대하여 적용한다
3. 용어의 정의.
해당 없음.
4. 책임과 권한.
4.1 품질보증부서장.
고객으로부터 반품 또는 분석이 요구되는 제품검사에 대한 책임과 검사 및 시험상태에 대한 표시의 책임이 있다.
4.2 업무부서장.
제품의 합격 또는 불합격품에 대한 식별관리의 책임이 있다.
5. 업무절차.
5.1 품질보증부서장은 제품의 합•부 판정에 대한 결과를 지체없이 업무부서장에게 통보한다.
5.2 업무부서장은 5.1항에 불합격품인 경우는 고객에게 인도되는 것을 금지하기위해 식별관리하고 격리 보관하여야 한다.
6. 기록 및 보관.
7. 관련사내표준.
7.1 부적합품관리 절차서.(SJ-QSP-1301)
8. 첨부 및 양식.
8.1 검사장비 이력카드.(QSP-1101-01)
8.2 검사장비 대장.(QSP-1101-02)
8.3 교정검사 성적서.(QSP-1101-04)
=======================================
파일의 다운로드는 <a href="http://www.kangha.net">Kangha.Net</a>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교육․훈련 운영 절차서 (0) | 2013.12.19 |
---|---|
경영검토회의 자료 (0) | 2013.12.17 |
한도견본 관리규정 (0) | 2013.12.10 |
측정장비관리지침서 (0) | 2013.12.09 |
FLC 정류기 관리대장 (0) | 2013.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