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공사체크리스트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목공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1

공사 착수전 사전준비

1) 도면 및 시방서 검토를 하였는가?

2) 작업계획 및 작업절차를 수립하여 외주업체에 주지시켰는가?

3) 외주업체로 하여금 시공계획서를 제출하게하여 검토승인하였는가?

2

재료의 규격, 형상 및 건조상태를 확인하였는가?

(공장검사 서류확인)

3

모든 재료의 현장반입은 관련공사 공정을 고려하여 순조롭게 시공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였는가?

4

제품입고검사를 실시하여 부적합사항에 대한 조치를 취하였는가?

5

벽, 바닥, 슬라브 하단 등에 벽체먹, 문틀먹 등의 기준먹줄을 치고 설계도와 대조 확인하고 있는가?

6

구조용 목재를 옹이 또는 결함이 있는 것으로 시공하지 않도록 하였는가?

7

간막이 Frame내에 은폐되는 설비배관의 위치를 확인한 후 간막이 마무리를 하고 있는가?

8

문틀 및 창문틀의 벽체 Anchor 매립상태를 확인하였는가?

9

문틀 및 창문틀로가의 연결부분의 마무리 작업은 적절하며 위치, 수직, 수평은 정확한가?

10

다음의 목재는 방부처리를 적절히하여 사용하고 있는가?

1) 구조내력상 중요부분에 사용되는 목재로서 콘크리트, 벽돌, 돌, 흙, 및 기타 유사한 포수성 재질과 접하는 부분

2) 목재의 외부 버팀기둥을 구성하는 목재

3) 급배수시설에 근접된 목부로서 부식의 우려가 있는 부분

4) 납작 마루틀의 멍에, 장선

5) 직접 우수에 맞거나 습기차기 쉬운 부분의 몰탈바름, 라스붙임 등의 바탕

6) 나무벽돌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목공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11

개구부의 개폐방향을 확인하였는가?

12

기둥, 샛기둥 및 간막이가 흔들리지 않게 잘 고정되어 있는가?

13

구조재의 이음시 이음재는 구조재와 동종의 것으로 하고 있는가?

14

목재를 이어 쓸 때는 짧은 재의 길이가 1m 이상인가?

15

못길이는 박는 재료 두께의 2.5배 이상의 것으로 시공하였는가?

16

목재 걸레받이의 시공상태는 양호한가?

17

목재제품 설치후 못머리 돌출여부를 확인하였는가?

18

반자틀, 반자틀받이 등의 이음, 반자의 처짐, 달대의 설치방법을 확인하였는가?

19

바닥널 붙임의 양부를 검토하고 특히 소리가 나는 것에 대해서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였는가?

20

무늬목 후로링 합판의 형상, 색상 등은 변색, 퇴색된 부분이 없고 또한 홈이나 찍힌 곳, 뒤틀림, 귀나감 등이 있는 것은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는가?

21

목재의 볼트구멍을 볼트 지름보다 3mm 정도 작게 뚫었는가?

22

천정 치장대의 시공은 정확한 수평이며 굴곡면의 이음부분은 양호한가?

23

텍스류의 품질, 규격, 치수는 적합하며 접착제 및 못 등으로 정밀하게 시공하였는가?

24

목재와 관련된 제품의 노천 야적시 땅바닥에 직접 닿지 않도록 받침을 대고 일기에 관계없이 포장재를 덮었는가?

25

가구운반 및 조립시에는 마루판, 벽지, 천정지 등이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는가?

26

가구의 수직, 수평도는 양호하며 특히 바닥과 뜨는 부위가 없는지 확인하였는가?

27

가구와 관련된 Hardware는 제위치에 바르게 고정되어 있으며 작동상태는 양호한가?

28

공사중 또는 공사후에 오염, 손상의 우려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는 틀림없이 보양을 해주고 있는가?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목공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29

천정몰딩

1) 견출작업후 몰딩을 설치하며 들뜬 곳은 단열몰탈로 미장하고 재견출하도 록 하였는가?

2) 몰딩의 색상, 재질 및 규격은 확인하였는가?

3) 재료는 이음이 없는 길이로 반입시키며 코너는 연귀맞춤으로 하였는가?

4) 못을 박을 때 망치자국이 없도록 하였는가?

5) 욕실몰딩 고정시 타일 깨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는가?

6) 욕실 천정몰딩은 도면과 시방서에 맞게 설치하였는가?

30

벽재료 분리대

1) 재료분리대의 색상, 재질 및 규격은 확인하였는가?

2) 타일 붙인후 벽지시공전에 시공하도록 하였는가?

3) 설치후 수직도는 양호한가?

31

커튼 Box

1) 합판의 처짐이 없도록 목심에 앙카를 견고히 설치하였는가?

2) 골조공사시 미리 커튼 box용 목심을 ⓐ450으로 매립시켰는가?

3) 커튼 box의 하부 끝단은 도배지 끝단 처리를 고려한 치수만큼 재단하였 는가?

32

현관턱돌림

1) 재료의 색상, 재질 및 규격은 확인하였는가?

2) 현관턱이 벽체에 묻히도록 약간 길게 제작하였는가?

3) 거실 바닥재와 현관턱과의 상부레벨을 일치시켰는가?

4) 세대현관문 씰과 평행이 되도록 시공하였는가?

5) 미장에 앙카가 잘되도록 견고히 설치하였는가?

6) 기포 타설후 설치하며 오염이 되지 않도록 보양을 철저히 하였는가?

33

천정틀 및 석고보드 붙이기 (거실 및 방 천정)

1) 사전에 전기, 설비 담당자와 협의하여 스프링클러와 등기구 구멍뚫기에 대한 Argue가 생기지 않도록 책임한계를 분명히 하였는가?

2) 석고보드 설치후 단치진 곳이 없는지 확인하였는가?

3) 천정판에 사용하는 못은 아연도금을 사용하였는가?

4) 등기구, 점검구 등의 천정틀 주의는 보강하였는가?

5) 골조공사시 밀 천정틀 설치용 목심을 도면대로 매립시키도록 하였는가? (일반적 450*450)

6) 목재 천정틀은 도면 또는 시방서 (30*45 각재로 900*900간격)대로 시 공하였는가?

7) 시공중 습기로 인한 처짐이 생기지 않도록 시스템의 간격 및 스크류의 간격은 고려되었는가?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목공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34

목조 천정틀판 붙이기 (욕실, 다용도실 천정)

1) 천정판은 3.2m 밤라이트를 사용하며 판붙이기는 3차 담수시험 및 설비 수 시험을 한 후 변기 설치전에 실시하였는가?

2) 천정틀 설치를 위하여 타일 최상부 몰탈 충전을 밀실하게 하였는가?

35

천정점검구

1) 욕실천정 설비파이프 트랩하부에 설치하도록 하였는가?

2) 천정틀 설치시 보강목을 대고 기성제품의 점검구 Frame을 설치한 후 밤라 이트를 끼우고 도배하였는가?

36

받침내부선반

1) 선반 설치를 위해 직각을 맞추고 시공하였는가?

2) 선반 받침대가 좌.우 Type이 틀리지 않도록 시공하였는가?

37

거실장

1) 거실장의 색상, 재질 및 규격은 확인하였는가?

2) 거실장 위치는 방바닥 마감을 평활하게 시공하였는가?

3) 반입시기는 거실박재를 깔고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는가?

38

신발장

1) 신발장의 색상, 재질 및 규격은 확인하였는가?

2) 신발장 조립후 모서리 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미장면을 잘 맞추었는가?

3) 신발장 제작전 현관의 치수를 확인하였는가?

39

주방가구

1) 주방가구의 색상, 재질 및 규격은 확인하였는가?

2) 시공 먹매김 및 보강목 설치를 확인하였는가?

3) 훼시아 설치시 장에서 튀어 나오는 치수를 일정하게 시공하였는가?

4) 싱크아래 온수분배기가 설치된 경우에는 싱크장이 들어갈 수 있도록 온수 분배기를 벽에서 일정하게 띄워 시공하였는가?

5) 타일시공시 벽장길이를 고려하여 정밀하게 시공하였는가?

6) 시방서 및 현장설명서에 명기된 대로 부착되어야 할 부착물은 올바르게 설치되었는가?

7) 걸레받이 하부에 플라스틱 슈는 설치되었는가?

8) 개수대 스텐레스 Bowl 과 Sink 수전이 만나는 부분을 흔들거리지 않게 보 강조치하였는가?

9) 주방가구 발주전 냉장고 들어가는 자리의 치수를 확인하였는가?

10) 레인지 오븐의 치수는 고려하였으며 뒷발코니 다용도실 문틀 트림의 돌 출이 고려된 치수인가?

11) 시공완료후 깨끗이 청소한 다음 비닐로 보양하였는가?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계획(실적)표  (0) 2012.11.27
면담기록서  (0) 2012.11.26
수변전설비공사 체크리스트 2  (0) 2012.11.24
제조윤활 관리일지  (0) 2012.11.23
설계요원 자격인정 대장  (0) 2012.11.22

CHECK LIST

공종 : 수변전설비공사(1/1)

담당

관리

소장

*점검위치 :

점 검 사 항

상 태

조치사항

양호

불량

(불량,재시공)

1. 사용된 자재의 규격과 치수는 도면과 시방에 따라 적용 하였는가?

2. 장비의 설치는 높이, 위치, 수직, 수평을 고려한 사전 배치도를 작성후 이에 따라 시공하였는가?

3. 장비류는 견고하게 지지하고 바닥면은 중량에 대한 보강을

하였는가?

4. 외부 도장은 승인된 재료를 사용하였는가?

5. 기기는 변형, 손상이 되지 아니한 것을 사용하였는가?

6. 구비될 통풍구는 막힐 우려가 없도록 주의하여 시공하였는가?

7. 장비내의 여유공간은 충분히 두었는가?

8. 문짝의 개폐, 시건장치는 양호한 것을 사용하였는가?

9. 보수, 유지가 용이하도록 장비주변의 반출입 통로를 확보하였

는가?

10. 보수, 유지를 위한 장비의 반출입 통로를 확보하였는가?

11. 접지단자는 완전하게 접속하였는가?

12. 전선관 인출구는 로크너트와 부싱으로 접속하였는가?

13. 모든 전선에는 회로표기를 하였는가?

14. NAME PLATE회로 표기도, 안전수칙, 원형표시등 소요

표식판은 규정에 따라 적정재질로 설치하였는가?

* 특기사항

점 검 자 20 . . .

협력업체 :

확 인 자 20 . . .

담당기사 :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담기록서  (0) 2012.11.26
목공사체크리스트  (0) 2012.11.25
제조윤활 관리일지  (0) 2012.11.23
설계요원 자격인정 대장  (0) 2012.11.22
일일 업무 일지  (0) 2012.11.20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토공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RFF.DWG.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1

토공사는 깎기, 싣기, 쌓기 다짐 끝맺음 비탈면보호 때공사 여러 가지공사총칭이며 토공계획을 수립하고 있는가?

2

토공사 계획은 우기철 및 주변 여건 및 운반거리 장해등에 따라 적합한 조건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3

토공에서 유도곡선에 다라 깎기 및 쌓기의 대비가 적절히 이루어 져 있는가?

4

토질의 사전 검사는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토질시험은행하였는가?

5

연약지반 개량공봅으로는 치환, 다지기, 고결, 탈수과정은 실행되 고 있는가?

6

건설기계는 작업조건에 알맞은 장비를 투입시켜 적적히 작업을행하고 있는가?

7

흙의 사면안정은 경사각과 다짐에 주의하고 함수량에 적절히 대 치해야 한다.

8

뚝쌓기는 여성토를 고려하여 충분한 다짐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9

토공사에서 쌓기작업에서 쓰레기 나무토막 및 부스러기는 감독자 의 지시에 의해 제거 하였는가?

10

깍거나 파낸 흙은 현장에서 지정된 장소에 임시 쌓기해 두고 유 용하지 않고 남은 흙은 현장에서 제거 하였는가?

11

흙 재료는 공사중 되도록 각 종류별로 같은 토취장에서 공급된것이라야 사용할 수 있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토공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RFF.DWG.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합

부적합

12

토취장이 명시된 경우 그 구역을 깨끗하고 반듯하게 청소하고 지 표수가고이지 않도록 지면을 고루어 졌는가?

13

토공사 실행중 지하 매설물이 도면 명시 및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도 감리자에게 통지 보고 하여야 한다.

14

쌓기시공의 검산는 최적 함수량이 확보되고 각 층의 요구된 밀도 로 다져졌는지, 판정 현장검사는 이루어지고 있는가?

15

땅파기후 덮는 되메우기 토질은 양질이 흙이며 지하수는 완전히 배출후 층다짐으로 처리하고 있는가?

16

현장준비, 땅깎기와 다듬기, 땅파기, 메우기 및 뚝쌓기 시공은 감 리자의 검사를 받아 시공하였는가?

조치사항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공계획표  (0) 2012.11.13
계측기현황표  (0) 2012.11.12
포장공사 체크리스트  (0) 2012.11.10
년도별 취득대장  (0) 2012.11.08
신제품 개발 품목 선정 평가표  (0) 2012.11.07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RFF.DWG.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합

부적합

1

선택 층의 재료는 적절한가?

1) 선택층은 포장을 동결로부터 보호하여야 하며, 따라서 그 재료는 자갈 또는 모래와 같은 비동결 재료로서 동결에 의한 분리현상이 생기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2) 선택층에 사용될 재료는 직경 0.02mm 이하의 세립토 함유량이 3%이하이어야 하며, No.200체를 통과한 재료의 함유량이1.5% 이하 이어야 한다.

2

보조기층의 재료는 적절한가?

1) 보조기층의 시공에 앞서 동상방지층 표면은 깨끗이 청소해야하며, 불순물, 수분 스폰지 부분을 제거하여야 하며, 평탄성 및 균일성을 검사한 후 보조기층을 시공하여야 한다.

2) 보조기층 재료의 부설에 있어서는 다짐후의 한층의 마무리 두께가 20cm를 넘지 않도록 재료를 균일하게 부설하여야 하며,KSF 2312 D-2 법으로 구한 최대건조밀도 95% 이상의 밀도를 다져야 한다.

3) 보조기층의 완성면

보조기층의 완성면은 계획고보다 3cm 이상의 차이가 있어서는 안되며, 도로중심에 평행 또는 직각으로 3m 직선 정규자를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가장 오목한 부분의 깊이가 2cm 이상 되어서는 안되며, 완성 두께는 설계두께로부터 10% 이상의 증감이 있어서는 안된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FF.DWG.NO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3

노견재료는 보조기층 재료와 동일하게 사용하거나 또는 공 사감독이 지정한 재료를 사용하는가?.

4

프라임 코오트의 재료는 적당한가?

1) 프라임 코오트에 사용할 역청재료는 공사감독이 지정하는 커트백(Cut-back) 아스팔트(MC-1)이어야 하며AASHTO M82-75(중속경화형커트백 아스팔트)규격에맞는 것이어야 한다. MC-1은 한국에서 사용하는 구아스팔트협회 규격(1973년)과 동일한 역청재료이어야 한 다.

5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의 재료는 적절한가?

1) 골재는 석산재료, 호박돌, 자갈, 및 모래등을 부순 것이어야하며 깨끗하고 견고하여 내구적인 것으로서 너무 편평하고 세장한 조각을 함유하지 말아야 하고, 연질 또는파열된 조각을 함유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골재에는점토덩어리 식물성물질 기타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는 않되고 아래의 규정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2) 기존도로 포장부위에 레벨링층 또는 표층을 시공하기 전에 기존포장의 균열부를 조사하여 패칭계획을 수립한 후감독관의 승인을 득하여 패칭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택 코오트에 사용될 역청재료는 RSC-4또는 공사감독이 승인하는 아스팔트 유제이어야 하며 KSM2203규정에 맞 아야 한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FF.DWG.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역청재의 살포량은 40ℓ/a로 하되 시공전에 상기 살포량으 로 최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 여 현장시험을 시행하여야 한다.

공사감독은 필요에 따라 살포유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아스팔 트는 아주 가볍게 살포하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택 코오트 를 살포한 곳에 가급적 차량의 접근을 금하여야 한다.

6

아스팔트 콘크리트 표층의 재료는 적절한가?

1)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사용할 역청재료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아스콘)로서 침입도가 85~100급(25℃에서)인KSM2252(아스팔트 시멘트)규격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2) 조골재는 8번체에 남는 쇄석 또는 부순자갈이어야 한다.부순자갈은 75㎜(3″)체에 중량비로 90% 이상 남는 자갈을 부수어 생산한 것이어야 한다. 부순자갈 생산에 사용될 자갈은 제1차 쇄석기에 투입하기 이전에 물로 씻고체가름을 하여 세립제를 제거하여야 한다. 공사감독은 부순 자갈을 생산하는 과정중 조골재로서 부적합한 세립재의 제거 또는 오물의 부착된 자갈이나 점토로 덮혀있는 자갈을 깨끗이 하기 위하여 추가 세척을 지시할 수 있으며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도급자가 부담하여야 한 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FF.DWG.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조골재는 입도가 다른 2종 이상의 입도로 체가름하여 분리 저장하여야 한다. 조골재는 깨끗하고 견고하고 내구성인 것이어야 하며, 흙, 점토, 먼지, 기타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4번체에 남은 조골재중 편평하고 세장한 조각이 25%이상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세장한 돌조각은 두께 : 길이의 비율이 3이상인 것을 말하며, 편평한 돌조각은 두께 :폭의 비율이 3이상인 것을 말한다. 조골재는 아래의 요건에 맞아야 한다.

로스엔젤레스시험 마모율 : 35%이하(KSF 2508)

안정성 시험 감량 : 12%이하(KSF 2507)

비 중 :2.5이상(KSF 2507)

흡수량(건조중량에 대한 백분율) : 3.0%이하(KSF2503)

3) 세골재는 8번체를 통과하는 전연모래, 부순모래 또는 이 두가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한다. 부순모래는 조골재에 대 한 항목에서 규정된 바에 따라 생산된 쇄석 또는 부순자 갈을 다시 부수어 생산하여야 한다. 세골재는 깨끗하고견고하며 내구적인 입자로서 점토, 세립토, 먼지, 기타 유 해물이 함유되지 않아야 한다. 40번체를 통과하는 세골재 는 토질소성지수시험법(KSF 2304)으로 시험하여 비소성 이어야한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FF.DWG.NO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합

부적합

8번체에 남은 세골재는 8%이상의 천연모래를 함유할 수 없 으며 골재안정성시험(KSF 2507)에 의한 중량비 감량은 12%를 초과할 수는 없다.

7

시험은 행하여지고 있는가?

1) 도급자는 재료사용 이전에 공사감독에게 재료의 시험성과표를 제축하여야 한다. 공사감독은 의문점이 있는 재료에 대한 공사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보조시험을 시행할 수 있다. 공사감독은 공사를 착공하기 전에 채취한 시료에 대한 시험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재료의 사용을 승인한다. 재료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료는 공사감독의 수시로임의 채취하도록 하며 재료의 적부 결정은 이렇게채취된 시료의 시험결과에 따라서 정하여 진다.

2) 역청재료의 시료는 공사에 사용하기 이전에 공사감독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얻어야 한다. 공사감독은 시공기간중 시공관리를 위한 시험에 증명서를 제출하여 공사감독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아스팔트를 드럼포장으로 반입할 경우에는 임의의 시료 채취가 편리하도록 도착 및 제조일 순으로 분리 저장하여야 하며 도착순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FF.DWG.NO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합

부적합

8

현장의 여건에 맞추어 시공이 시행되어 지고 있는가?

1) 도급자는 모든 재료를 야적하기 위한 장소를 확보하여야 하며 재료의 분리현장이나 불순물의 혼합을 방지하여야하고 재료의 품질 및 규격에 따라 3종 이상으로 분리 야 적하여야 한다. 도급자는 야적장의 계획도를 작성하여 공 사감독에게 제출하여 그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공사감독 으로부터 이러한 승인을 받았다 하더라도 모든 재료는 시 방서의 2.2항 “재료”의 규정을 충족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는 조항에 대한 도급자의 의무를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2) 도급자는 공사시공 이전에 전압시험을 시행하여야 하며이 시험에는 자동추진식의 타이어 로울러(자동 15톤 이상)와 진동로울러(5톤 35마력) 또는 공사감독이 승인하는 바에 따른 장비를 사용하여 다른 전압회수 및 함수량으로 전압된 층에 대하여 3회 이상의 밀도시험(KSF-2311)을 시행한다. 상술한 시험이 끝난후 공사감독은 최대의 현장밀도를 얻을 수 있는 전압장비의 구성및 전압방법을 승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승인으로 시방서 규정에 맞도록 각 층을 전압하여야 한다는 조항에 대한 도급자의 의무가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FF.DWG.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합

부적합

9

보조기층공, 동상방지층 및 노견공의 시공은?

1) 보조기층을 시공하기 이전에 노상표면의 불순물, 수분 및 스폰지 부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공사감독은 완성된노상의 전압밀도, 평탄성 및 균일성을 검사하여야 하며시방서 노상의 규정에 맞지 않는 부분은 공사감독의 지시대로 도급자가 자기부담으로 시정보수하여야 한다.

2) 보조기층 재료는 지정된 장소에 비축하여야 하며 도급자는 비축과정에서 소정의 입도에 맞도록 배합 혼합하여야한다. 공사감독이 승인한 야적재료에 한하여 현장에 반입하여 포설할 수 있다. 공사감독이 공사감독의 승인을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러한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은 도급자가 부담하여야 한다. 공사감독이 야적된 재료의 사용을 승인하였다 하더라도 입도가 정확하고 분히현상을 일으키지 않은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규정에대한 도급자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노견공에사용된 재료는 특별규정 또는 공사감독의 지시에 따라야하며 아스팔트 표층을 포설하기 이전에 완공하여야 한 다. 보조기층 재료는 전압이 끝난 후 포설층의 두께가 20cm를 넘지 않도록, 또한 15cm이하가 되지 않도록 포설하여야 하는가?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RFF.DWG.NO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합

부적합

3) 보조기층 수정 KSF-1312 시험방법에서 정하여진 최대건조밀도의 95%이상으로 전압하여야 하며 밀도시험은 각 포설층마다 시공하여야 한다. 전업작업중 포설재료의함수비는 상기 시험방법에 정하여진 최적함수비의 ±2%범위 이내로 유지하여야 한다.

4) 보조기층은 설계도면에 표시된 종단면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완성하여야 하며 계획고에서 2cm이상 얕은 곳이있어서는 안된다. 도로 중심선에 직각으로 평행이 되게3cm의 직선자를 놓아 측정하여 2m이상의 차이가 있어서는 안되며 후속 측정은 기측정 부분을 반씩 겹쳐가며시행하여야 한다. 완성된 보조기층의 두께는 소정의 두께와 ±10%이상의 증감이 있어서는 안되며, 만일 ±10%이사의 증감이 있을 때에는 공사감독의 지시에 따라부족분을 보충 또는 과다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5) 보조기층은 시공기간중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여야하며, 결함된 부분이 발생할 경우에는 도급자는 자기부담으로 공사감독의 지시대로 시정 보수하여야 한다.

6) 아스팔트 살포에는 동력식 압축살포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 살포기는 규정된 온도내에서 균일한 양으로 살포할 수 있어야 하고 1분당 주행거리를 미터로 기록하는

회전속도계 및 노즐(Nozzle)을 통하여 배출되는 1분당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RFF.DWG.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합

부적합

역청재료를 리터(Litter)로 기록하는 역청살포량 계기를부착한 펌프가 장치되어 있어야 한다.

10

아스팔트 콘크리트 기층 및 표층의 시공은?

1) 아스팔크 혼합재 포설에 사용하는 퍼니셔는 자동추진식으로서 정확하게 소정의 선형, 종단 및 횡단에 맞도록 혼합재를 포설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피니셔는 호피, 포설스크류(Distributing Screws), 조정식 스크리드(Screed) 및 탬퍼(Temper)를 구비하여야 하며, 혼합재를 평탄한 홈이 가지 않게 포설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혼합재의 공급량에 맞추어서 주행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2) 아스팔트기층 및 아스팔트표층은 지면이 습윤되어 있거나 불결할 때에는 시공할 수 없으며 우천이나 안개가 끼지 않은 일기에서만 시공하여야 한다. 포장재료는 표면이 동결되어 있거나 얼음으로 덮혀있을 때에는 포설할 수 없으며, 지층표면의 온도가 2℃이상일 때에만 포설하여야 한다. 도급자는 시공중 비가 오면 즉시 시공을 중지하고 공사감독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

우천, 적설등의 기상예보는 도급자가 미리 예상하여 포장포설계획을 실시하여야 한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RFF.DWG.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 검결 과

적합

부적합

3) 아스팔트의 구입은 공사감독의 승인을 득한 후 구입하여야 하며, 포설현장 까지의 운반은 공사감독이 승인한 바닥이 수밀성이고 깨끗할뿐 아니라 평활한 적재함을 가진차량을 사용하여야 한다. 충분한 조명장치 및 5.9.2항 규정의 조건을 갖추지 않는한 혼합물의 운반은 포설 및 전압을 일중에 끝마칠 수 있는 이내에서 하여야 한다. 차량으로 운반하는 혼합물은 오물이 혼합되지 않도록 방지해야 하며 운반중의 온도저하를 위하여 두꺼운 방수직 포로 덮어야 한다.

4)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하기 이전에 프라임 코오트를 시공할 보조기층에 손상된 곳이 있으면 보수하고 먼지 및기타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하며 프라임 코오트가충분히 양생되기 이전에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포설해서는 안된다. 공사감독의 별도 지시가 없는한 호퍼 피니셔에 내려놓은 혼합물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20℃이상 낮을 때에는 그 혼합물을 폐기하여야 한다. 피니셔는 종,횡 및 평면에 잘맞고 소정의 두께로 포설되도록 조정하여야 하며 전압두께를 확보하고 혼합물의 평방미터당 소정 중량을 확보하도록 하여야 한다.

포설작업은 가능한한 연속적으로 진행하여야 하며, 포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RFF.DWG.NO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 검결 과

적합

부적합

작업을 장기간 중단하면 포설 및 전압에 적합한 아스팔트 최적접착온도 이하로 냉각되어 완성면이 거칠거나 접압밀도가 나빠진다. 그러므로 아스콘 구입운반량에 맞추어 포설속도를 조정해야 하며 연속작업이 가능하도록 운반은 주의깊게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충분한 재료가 호퍼에 차 있도록하기 위하여서는 스크류 깊이의 2/3이상차 있도록 공급이 연속되어야 한다. 스크류 주위로 이동되는 혼합물의 량은 가급적 변동이 없어야 하며, 호퍼의조정문은 스크류와 피이더의 운반속도는 포설층의 두께와 종류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며 스크리트는 출발할 때또는 필요할 때 가열하여야 한다. 공사감독의 특별지시가 없는한 편구배가 있는 아스팔트기층 및 표층은 도로중심선에 평행하게 노면이 높은 쪽에서 얕은 쪽으로 진행한다. 적정수의 스쿠프맨(Scoopmen) 및 레이크맨 (Rakemen)을 배치하여 피니셔 마무리가 불안전한 곳을시정하여야 한다. 포설중에 혼합물의 분리가 생길 때에는 즉시 피니셔의 운전을 중지하고 원인을 조사하여야 하며 당해 부분을 수리하여야 한다. 기계에 의한 시공이불가능한 곳은 인력으로 시공하며 이때 혼합물에 분리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취급하여야 한다. 기포설한 포장과의 접촉면에는 공사감독이 승인한 역청재료 택 코오트를시공한 후 혼합물을 포설하여야 한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RFF.DWG.NO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 검결 과

적합

부적합

5) 각층은 규정된 종류와 중량의 로울러로 충분히 균일하게전압하여야하며 로울러로서 전압이 불가능한 곳은 가열한 수동탬퍼로 다진다. 전압작업에 사용할 로울러의 대수, 그 편성, 작업개시기 및 전압회수등은 공사감독의 지시에 따른다. 전압작업은 혼합물을 포설한 후 즉시 마카담 로울러 또는 타이어로울러에 의한 초기전압이 끝나면공사감독의 입회하에 횡단면의 양호도를 조사하여야 하며 불량한 곳이 있으면 공사감독의 지시에 따라 혼합물을 가감하여 시정하여야 한다.전압조건중 로울러의 바퀴는 혼합물이 묻지 않도록 물기를 가져야 한다. 로울러는 일정한 느린속도로 가동하여야 하며 충격없이 방향전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로울러는 진행선을 갑자기 변경하거나 방향을 갑자기 바꿈으로서 포설된 혼합물에 이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로울러의 방향전환은 안정된 포설면 위에서 해야하며 만일 포설재에 이동이 생기면 다시 전압하기 전에 생긴 부분을 칼퀴로 전압전의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전압이 끝난 후 표면이 식어서 안정될 때까지 그 위에 로울러를 포함한 무거운 장비를 놓아 두어서는 안된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포 장 공 사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FF.DWG.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 검결 과

적합

부적합

전압은 마샬시험에 의한 50회 다짐시험에서 얻은 밀도의최소한 96%의 밀도가 될 때 까지를 지속하여야 한다. 포설작업이 끝난 후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가 상온으로될 때까지 교통소통을 시켜서는 안된다.

조치사항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측기현황표  (0) 2012.11.12
토공사 체크리스트  (0) 2012.11.11
년도별 취득대장  (0) 2012.11.08
신제품 개발 품목 선정 평가표  (0) 2012.11.07
외주업체 현황조사서  (0) 2012.11.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