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이력카드

차 량 이 력 카 드

?????????????????????????????

담당

대리

과장

사장

대표이사

장 비 명

형 식

규 격

제작회사

등 록 번 호

등록일자

원동기일련번호

차대번호

총 중 량

진 고

지 장

전 폭

총 배 기 량

정격출력

보험가입시및종류

지 입 자

취득 년월일

취득금액

계 약 번 호

심사유효기간

주 요 이 력 사 항(국장검사․장비임대관계등)

엔 진 각 자

년 월 일

이 력 사 항

확 인

차 대 각 자

사 진

(정 면) (측 면)

KAC-305-001 A4(183×256)

'즐거운 세상 ★… > [엑셀차계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무용차량 사용신청서  (0) 2010.11.13
차량관리규정  (0) 2010.10.06
차계부 v27  (0) 2010.07.12
엑셀차계부 V26  (0) 2009.03.17
엑셀차계부 V25  (0) 2009.01.28

설정된 항목별 교환주기에 따라 정비기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계산합니다.

항목별로 비용의 합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자동차의 연비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챠트(그래프)를 통해 연비의 향상, 감소 등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모든 데이터는 {대장작성} 시트에 입력된 값을 기준으로 값을 계산합니다.

최초{대장작성} 시트의 [샘플삭제] 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샘플이 삭제됩니다. 

6행에는 초기 데이터 값(현재의 주행거리 등)을 입력하세요.

메크로 실행 메뉴는 도구의 (추가기능)에 있습니다.



대장작성:

(1) [샘플지우기] 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샘플이 삭제 됩니다.

     다른 시트의 일부 삭제되지 않은 부분은 이 시트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분류를

     실행하면 제대로 된 값을 나타냅니다.

(2) 처음 작성시 (E6,H6)셀의 값은 반드시 입력 하세요

(3) [차계부_새로작성] ; 현재 작성된 아래부분에 새로 작성할 수 있는 형태가 나타납니다.

     1) 10개씩 작성 가능합니다. 그 이상은 다시 한번 더 눌러서 작성하세요.

     2) 작성해야할 셀은 노란색으로 변경됩니다.

     3) 주행거리 및 연비는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4) 데이터의 작성은 주행거리 순으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주행거리가 위에 작성된 값보다 작으면 입력되지 않습니다. 

     5) 분류,항목,정비소,주유소는 {설정}시트에 작성된 값을 가져옵니다.

(4) [차계부_작성완료]  ; 데이터를 작성하였으면 반드시 눌러 주세요.

(5) [유류단가로 입력] ; 주유량이 아닌 유류단가로 입력할 경우 누르세요.

(6) 새로작성시 나타나는 수식은 입력의 편의를 위해 나타납니다.

     값을 직접 입력하여도 됩니다.




차계부:

(1) [차계부_전체내역]을 누르면 이 시트의 값을 계산합니다.

(2) 최종정비의 주행거리는 각 항목별 최종 정비한 주행거리입니다.

(3) 적정 교환주기는 주기적으로 교환이 필요한 부품에 대해서 주행거리를 설정합니다.

(4) 교환주기의 설정은 현재의 주행거리와 비교하여 정비하여야할 잔여 주행거리를 계산합니다.

(5) E, F열에 있는 막대그래프의 길이는 설정된 교환주기를 계산하여 현재 얼마 남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비잔여 주행거리가  0이하 이면 반대쪽으로 빨간색 그래프가 나타납니다.

(6) %는 전체비용중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7) 각 항목별 백분율 값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냅니다. 




년간합계:

(1) 여기에 작성되는 각 항목은 {설정}시트에서 우선 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2) 당해년도의 월별, 항목별 집계표를 나타내어 전체의 차량관리 비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행연비:

(1) 년도별 및 매월별 주행연비 및 관련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2) 막대그래프는 각 셀에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3) 셀의 높이에 따라 막대그래프의 크기도 조정됩니다.

(4) 입력된 기간만큼 자동으로 표가 늘어납니다.

      막대 그래프는 각 셀에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분류별:

(1) 대분류 항목으로 지정한 것에 대하여 매월로 값을 합산하여 추출합니다.

(2) 입력된 기간만큼 자동으로 표가 늘어납니다.

(3) 분류별의 막대그래프는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항목별:

(1) 설정한 소항목별로 매월로 데이터를 합산하여 추출합니다.

(2) 막대그래프는 항목별로 전체 합계에 대한 그래프 입니다.





설정:

(1) 정비업체, 관련회사, 주유소를 설정하는 곳입니다.

     정비/관리하는 곳과 주유소는 구분하여 입력하십시오.

(2) 대분류와 소분류를 입력하십시오.

     대분류는 우측으로 소분류는 아래쪽으로 값을 추가하여 입력하여도 됩니다.

(3) 각 항목을 입력 하였으면 [설정하기]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또한 항목/값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였을 경우에도 반드시 버튼을 눌러야 다른시트도 함께 변경 됩니다.

(4) 정기적으로 교환하는 부품에 대해서는 교환주기를 설정하세요. (단위:km)




'즐거운 세상 ★… > [엑셀차계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량관리규정  (0) 2010.10.06
차량이력카드  (0) 2010.08.03
엑셀차계부 V26  (0) 2009.03.17
엑셀차계부 V25  (0) 2009.01.28
엑셀차계부 V2.4  (0) 2007.04.25

기계장비설치공사

1. 적용범위

이 절차서(Technical Procedure)는 기계설비 공사에 포함된 기계장비류의 인수 및 설치공사에 적용한다.

2. 용어의 정의

2.1. 규격 : KS 및 동등이상품으로 공인기관에서 제정한 기준

2.2. 기준 : 발주처에서 요구된 사항이나 제품자체의 결정기준 또는 제작사 규격

2.3. 품질검사관 : 시공책임자 또는 원청감독관

2.4. 인수검사관 : 시공담당자

3. 규격기준

기계장비 설치공사 시방서 및 도면에 명기된 규격 및 기준과 제작사 규격에 따른다.

4. 책임과 권한

4.1. 시공책임자는 시공담당자와 함께 본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사항들의 준비를 포함하여 본 공사를 지도관리할 책임이 있다.

4.2 시공책임자는 시공담당자와 함께 본 공사 수행전에 제작과정에서의 계약 사항에 명시된 필요한 모든 시험, 검사, 조정을 절차에 따라 완료하고 본공사를 시행해야 한다.

4.3 설치 검사는 품질검사관 및 인수담당자의 입회하에 실시해야 한다.

4.4 검사의 결과는 그 상황을 알 수 있도록 검사결과서나 시험결과서에 기록하고 품질검사관에 의해 서명되어야 한다.

5. 일반사항

5.1 현장에 도착된 장비의 계약에 관련있는 모든 도면 및 시방서와 제작자 의무로 포함된 특수한 사항(절차, 작업지시, 규격 등)은 설치 및 인수 확인서 발급 전에 재확인하여야 한다.

5.2 현장에 반입되는 모든 자재는 규격과 수량이 물품청구서 내용과 같고 반입 과정에서의 손상유무 등을 확인하기 위해 인수검사 절차에 따라 인수 검사관이 검사하여야 한다.

5.3 시공담당자는 장비의 현장내 하차, 운반, 설치, 보관과정에서 예상되는 사항 및 노화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유지해야 한다.

5.4 시공담당자는 장비설치 전에 기초의 위치 및 높이, 수평도와 A/S공간 연결 배관 경로 등을 재확인해야 한다.

5.5 모든 장비는 설치완료 후 즉시 수직․수평을 점검하고 고정하여야 한다.

(그라우팅, 앙카 등)

5.6 시공담당자는 장비들이 설치시방과 관련도면에 따라 적합하게 설치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 검사, 계측,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6. 보일러

6.1. 본체

1) 반입의 절차와 방법 및 통로를 재확인할 것.

2) 반입공구의 적정함과 안정성을 확인할 것.

3) 앙카볼트 및 너트의 조임상태, 그라우팅 상태를 점검할 것.

4) 방진, 방음장치의 설치 상태를 점검할 것.

5) 본체와 주변기기의 연결부 취부상태와 점검구의 크기를 점검할 것.

6) 본체 설치과정에서의 손상여부를 확인할 것.

7) 배기구의 모형과 위치 및 그 크기가 배기량에 적합한지 확인할 것.

6.2. 버너

1) 버너의 탈착부위의 기밀성 및 탈착방법과 A/S공간을 점검할 것.

2) 본체와의 접촉 밀실 상태를 점검할 것.

3) 가스켓과 Access Glass 상태를 점검할 것.

6.3. FAN

1) FAN의 설치 상태를 FAN설치 점검표에 의해 점검할 것.

2) FAN의 그라우팅 및 방진상태와 소음기 부착, Duct 방음상태를 점검할 것.

6.4. 안전밸브 및 각종 계기류

1) 안전밸브의 설정압을 점검하고 설치전에 설정압에서의 작동여부를 시험할 것.

2) 수위계의 유리, COVER, 지시기의 파손여부와 설치 높이를 점검할 것.

3) 압력계, 온도계 등의 파손여부와 지시치를 읽기에 적정한 높이인가를 확인할 것.

6.5. 보일러 주위배관

6.5.1. 보일러 전면부의 배관이 점검구 또는 화염 투시창을 막거나 버너 및 보일러의 작동에 방해 유무를 점검할 것.

6.5.2. 버너의 탈착이 전면부 배관의 해체 없이 가능하도록 배관되었는지를 점검할 것.

6.5.3. 수동 작동시 연료조절 Cock와 공기조절 Damper를 한사람이 화염상태를 보아가며 동시에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지 점검할 것.

6.5.4. 보일러 상부 배관의 수두압이 직접 보일러에 걸리지 않도록 배관되었는지를 점검할 것.

7. 펌프

7.1 방진장비(스프링식․고무패드등)의 적정유무 및 앙카볼트와 긴결 상태, 크기와 수량이 관련 설계도서에 일치하는지 점검할 것

7.2 Anchor Box가 기름 등의 이물질에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7.3 선형 Plate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설치하고 Anchor Bolt를 조인 후 그라우팅 전에 수평상태를 최종 점검할 것

7.4 펌프의 축 중심선이 저수로 수위면 보다 높지 않은지를 점검해야 한다.(불가피한 경우 공진현상 등에 대비하여 물 올림탱크의 시설 등 조치를 한다)

8. 열교환기

8.1 설치전에 기초의 정확도 및 청결상태를 점검한다.

8.2 수직수평되며 드레인시 내부의 물이 완전히 배수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물매 1/200이상)

8.3 1,2차측 열매수의 입출구 온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계 등을 취부해야 한다.

8.4 핀 및 튜브형인 경우 A/S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8.5 단열을 위해 AL쟈켓 또는 칼라함석 등으로 보온조취를 취해야 한다.

9. 탱크(SMC, SUS

9.1. 기초의 요철(특히 날카로운 돌출물) 및 탱크 단판의 접속부에 충분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PAD작업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것

9.2. SUS 탱크 작업시 용접면의 그라우팅 여부 및 본 용접전의 가용접 제거와 단수에 따른 THK가 시방서와 동일한 지를 확인한다.

9.3. SMC 탱크 작업시 볼트 너트의 긴결성 및 판넬사이 지수 실링제의 적정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9.4. 탱크 내부 부속 및 던 버클 등의 긴결성 및 부식에 대한 방지조치로 그 재질이 SUS 304 27종 또는 동등이상 품인지를 확인한다.

9.5. 충수시킨 후 펌프정지시의 압력 및 누설시험과 펌프작동시의 압력 및 누설 시험을 시방에 적합하게 실시한다.

9.6. 저수조는 건교부 제정 “ 저수조 설치 및 관리제도”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10. 냉동기

10.1. 수직 수평되게 설치하고 완료 후 즉시 고정되어야 한다.

10.2. 운전중의 진동과 소음이 구조체 또는 건물 내에 전달되지 않도록 시방에 따른 적절한 방음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10.3. 설치후 운전시 까지의 내부노화 방지를 위해 불활성 GAS로 충진 되어야하며 충진의 정도 및 방법은 제작자 기준에 따른다.

10.4. 주위 연결배관이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하며 배관하중 장비에 미치지 않도록 지지되어야 한다.

11. 공기조화기

11.1. 장비가 수직수평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진동이 구조체나 닥트에 전달되지 않아야 한다.

11.2. 각 조립 부분과 CANVAS이음이 공기의 누설이 없도록 시공되어야 한다.

11.3. 응축수 배관이 원활하도록 응축수 받이와 배관의 경사가 적절해야 한다.

11.4. 공기조절 Damper의 작동이 원활하고 Damper에서의 공기누설정도가 시방에 적합해야 한다.

11.5. 주위배관이 점검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하며 열원 1,2차 측에는 온도계를 취부하여 온도를 점검할 수 있어야 한다.

12. 냉각탑

12.1. 설치위치 선정시 작동소음이나 진동 및 물의 비산(백화현상)으로 인해 주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전에 점검한다.

12.2. 진동이 구조체나 배관에 전달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12.3. 순환과 냉각능력에 효율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 이물질 및 에에포켓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하고 동절기 FAN의 완전배수가 가능한 구조이어야 한다.

12.4. 공기 흡입을 위한 공간이 협소하여 역류현상에 의한 효율저하에 대책을 세워야 한다.

13. 시공검사 기준

13.1. 시공책임자는 시공담당자와 함께 검사 기준서에 준해 검사를 시행한다.

13.2. 검사를 시행함에 있어 CHECK LIST를 이용해 기록하고 품질기록관리 절차서에 따라 유지 관리한다.

13.3. 부적합 사항은 부적합품관리 절차서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분증 및 휘장 등에 관한규정  (0) 2010.04.04
문서관리규정  (0) 2010.04.03
취업규정  (0) 2010.03.25
연봉제운영규정  (0) 2010.03.24
정하중검사지침서  (0) 2010.03.20

보일러 제작설치 공사 Check List

 

현 장 명

검사 일자

공 종 명

검 사 자

검사항목 및 기준

합/부

비 고

1. 공통사항

(1) 보일러 설치상태

- 몸체는 수평을 유지하는가

- 밸브 및 계기류 부착부위 누수는 없는가

- 보온상태 및 외부도장은 양호한가

(2) 송풍기 설치상태

- 기초대 위에 방진장치는 되어 있는가

- 벨트의 장력은 적정한가

- 담파의 개폐상태는 양호한가

- 서어징현상은 없는가

- 마감도장상태는 양호한가

(3) 버너 설치상태

- 가스트레인은 정상상태인가

- 안전장치는 확실히 작동되는가

- 송풍기 풍압은 정상인가

- 화염은 안정되어 있는가

- 화염검출기 동작은 확실한가

(4)네임플레이트 각인 상태는 확실하고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위치인가

2. 중온수보일러

(1) BCP는 전자동으로 콘트롤되고 있는가

(2) 안전변 연장배관은 고정되어 있는가

3. 스팀보일러

(1) 안전변은 상부토출형인가

(2) 수면계의 수위는 정상인가

(3) 수량계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가

(4)드레인배관은 트랜치까지 연장배관 되어

있는가

4.(1)구조검사증 첨부

(2) 용접검사증 첨부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무비 및 경비 계산서  (0) 2010.03.28
프로젝트관리 카드  (0) 2010.03.27
주차설비점검표(다층순환식)  (0) 2010.03.23
작업일람표  (0) 2010.03.18
자격인증 평가표  (0) 2010.03.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