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적용범위 및 목적

당 공종은 당사에서 시공하는 모든 건축물에 적용함으로서 고객이 만족하는 현장품질이 유지되도록 하며 보다 향상된 품질을 추구하기 위함이다.

2. 책임과 권한

가.

현장소장은 통신설비공사의 총괄적인 관리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있으며 현장 내 전기담당자는 통신설비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3항’에 명시한 모든 요건에 맞추어 시공을 지시, 관리, 감독하고 이를 기록, 검토하여 현장소장의 승인을 득한후 당사에서 정한 기간까지 보관, 유지 관리한다.

나.

3. 작업지침 및 절차

다.

3.1. 사용자재의 규격과 치수는 도면과 시방에 따라 적용한다.

3.2 기기의 설치시는 높이, 위치, 수직, 수평등을 고려하여 설치한다.

3.3 기기는 견고하게 지지한다.

3.4 각종 기기함의 내부는 손상, 느슨함, 빠진 것, 이물질 등이 없도록 깨끗이 청소한다.

3.5 외부도장은 승인된 재료를 사용한다.

3.6 단자함내 단자처리는 잘 정돈하여 처리한다.

3.7 문짝의 개폐, 시건장치는 견고히 한다.

3.8 교화기실의 중계대실, 전시실 등은 환경조건이 적정하도록 유지한다.

3.9 인입위치는 건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적합한 곳을 선정한다.

3.10 보안기의 접지는 완전하게 한다.

3.11 인입용 배관은 적절한 구배와 그외의 조치로 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3.12 타배관과의 이격거리, 풀박스의 크기는 해당 규격에 맞도록 한다.

3.13 닥트 지지간격, 수평은 양호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3.14 닥트의 접속은 기계적 전기적으로 양호하게 시공한다.

3.15 박스 및 인출구는 바닥 마감면에서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3.16 관련 시험을 완료하고 그 기록은 보관한다.

3.17 보수 점검상 어려움이 없도록 한다.

3.18 국선 단자함 및 MDF는 사선처리등 사후문제에 대비 정리정돈 및 선번정리를 한다.

3.19 쉴드케이블의 외피접지는 완전하게 한다.

3.20 교환실등의 조건에서 ACCESS FLOOR 나 CABLE DUCT처리는 적정하게 한다.

3.21 강전과의 이격거리나 노이즈에 대한 대책은 사전에 세우고 시공한다.

3.22 외부 인입부분의 방수 SEALING 처리는 완전하게 한다.

3.23 상기 3항의 전항목은 관련문서 4.5 CHECK LIST를 사용하여 최종점검 기록한다.

4. 관련문서

4.1 도면

4.2 시방서

4.3 전기설비 내선규정집

4.4 소방관계 법규집

4.5 CHECK LIST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보증체계도  (0) 2012.04.10
양해각서 (MOU)  (0) 2012.04.09
시멘트의 표준주도 시험방법  (0) 2012.04.07
여비규정절차서  (0) 2012.04.02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  (0) 2012.03.30

시멘트의 표준주도 시험방법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시멘트의 표준 주도 시험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장 치

2.1. 저 울

2.2. 메스실린더

2.3. 비이커 : 비이커 장치 각부분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1) 플런저의 무게 : 300 ± 0.5g

2) 플런저의 굵은 끝의 지름 : 10 ± 0.05 ㎜

3) 침의 지름 : 1 ± 0.05 ㎜

4) 링 아랫부분의 안지름 : 70 ± 3㎜

5) 링 윗부분의 안지름 : 60 ± 3 ㎜

6) 링의 높이 : 40 ± 1 ㎜

7) 눈금자 : 눈금자는 모든 점에서 0.1 ㎜이내의 정밀도를 가진 표준자

3. 온도와 습도

반죽판, 건조 시멘트, 몰틀 및 및판 부근의 공기 온도는 20 - 27.5 ℃로 유지하여야 한다. 혼합수의 온도는 23 ± 2.0 ℃의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시험실의 상대습도는 50이상이어야 한다.

4. 시험 방법

4.1. 시멘트 반죽의 조제

시료 500g을 SWS-F-320(시멘트 반죽 및 모르터의 기계적 혼합방법)의 5.에 따라 반죽한다.

4.2. 시험체의 성형

1) 4.1항에 따라 준비된 시멘트 반죽을 고무장갑을 낀 손으로 속히 구형으로 만들고 두손을 약 15㎝ 간격으로 벌리어 한 손에서 다른 한 손으로 6번 던진다.

2) 한쪽 손바닥 위에 올려놓은 구를 다른손에 쥔 원추형 링의 큰 쪽으로 밀어 넣고 링을 반죽으로 완전히 채운다

3) 큰 쪽에 있는 여분은 손바닥으로 한번에 떼어낸다

4) 링의 큰쪽 끝을 밑으로 하여 유리판위에 놓고 작은쪽 끝에 있는 여분의 반죽은 링의 윗면에 대하여 조금 기울여 잡은 예리한 흙손 날로 한번에 경사지게 문질러 링 윗 부분을 잘라낸다.

5) 예리한 흙손 날로 몇번 가볍게 대어 매끄럽게 한다.

4.3. 표준 주도의 결정

1) 판 위에 올려 놓은 반죽은 로드의 밑에 중심을 맞추고 그 플런저의 긑을 반죽의 표면 에 접촉시켜 멈춤나사를 조인다.

2) 가동지침을 눈금자 윗쪽에 있는 0표에 맞춘다.

3) 혼합이 긑난 30초 뒤에 로드를 풀어 놓는다.

4) 처음 면에서 10 ± 1 ㎜ 점까지 내려갔을 때의 반죽상태를 표준주도로 삼는다. 이 표준 주도를 얻을 때까지 물의 양을 변경하여 시험 반죽을 만든다.

※ 각 시험 반죽은 새로운 시멘트로 만들어야 한다.

5. 계 산

표준 주도를 얻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을 건조 시멘트의 백분율로서 계산한다.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해각서 (MOU)  (0) 2012.04.09
통신설비공사  (0) 2012.04.08
여비규정절차서  (0) 2012.04.02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  (0) 2012.03.30
잔골재규격  (0) 2012.03.28

토공및기초공사체크리스트(콘크리트말뚝)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토공 및 기초공사 (CONC말뚝)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1

시험말뚝은 실제말뚝과 같은 무게와 단면을 가진 것인가?

2

시험말뚝 타설시 실제말뚝 박기에 적용될 타격에너지로 타격하였는가?

3

말뚝세우기시 매단점 위치는 적정하며 길이가 10cm 이상시 보강조치는 완료하였는가?

* 건축공사 표준시방서:길이 10cm 이상의 말뚝은 덧댐목으로 보강하거나 2군데 이상 달아매어 수직으로 세운다.

* 삼우기준:12m 이하는 말뚝머리에서 2m지점, 13m 이상은 L/2, L/2 지점 2곳을 매담

4

말뚝머리의 깨어짐 방지를 위한 보호조치는 되었는가?

5

말뚝머리 절단시 다음 사항을 준수하였는가?

1) 말뚝 주위를 필요 이상으로 땅파기 금지한다.

2) 한면에서만 꺼내지 말고 주위를 고루 정으로 쪼아서 절단한 다 (헴머 사용금지)

3) 윗 끝면을 평평하게 정다듬한다.

4) 말뚝머리는 Cutting 후 Grinding 한다.

5) 철근은 소정의 길이를 남겨두되 나머지는 절단 또는 기초판 에 정착시킨다.

조치사항

CHECK LIST

Checklist No

공종 : 토공 및 기초공사 (CONC말뚝)

Rev No

0

Date

Page

LOCATION : REF. DWG. NO : SUB-CON :

NO

점 검 사 항

점검결과

적 합

부적합

6

말뚝의 위치 및 수직도는 허용오차내에 합격하였는가?

* 위치 허용오차:150mm 이하, * 수직경사도:말뚝길이의1/50 이하

* 기초보강 없는 허용오치:75mm 이하

7

말뚝박기시 다음 사항을 준수하였는가?

1) 1개의 말뚝박기시 중단하지 말고 연속적으로 타격할 것.

2) 침하량 조사 및 소정의 침하량에 도달시 무리하게 박지 말 것

3) 항타시 인접한 말뚝이 솟아오를 경우 타격을 증가하여 원지점 이하까지 다시 박는다.

4) 야간, 우천, 0℃이하 심한 바람이 불때는 작업을 중단한다.

8

항타기록서는 기록하였는가?

(파일번호,시공일,말뚝직경,타격회수,관입깊이,타격소요시간,기타)

9

말뚝배치도 작성하고 말뚝번호 및 시공순서관리는 제대로 이행하였는가?

(말뚝박기 완료시 최종위치 확인 및 구덩이별로 사진촬영)

10

말뚝의 최종관입량(10~20회 타격의 평균값)은 결과를 정확히 기록 유지하였는가?

11

최종관입량 관리시 중파여부는 확인하였는가?

12

다음 발견시 보강조치는 완료하였는가?

* 설계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1) 75~150mm:중심선 외측에서 벗어난 만큼 기초 확대, 철근 1.5배 보강

2) 150mm:추가항타 실시

* 수직으로 시공되지 않았을 때

1) 수직에 대한 기울기가 말뚝길이의 1/50 이상일 때 보강말뚝을 사용한다.

* 항타중 말뚝이 중파될 경우

1) 보강말뚝을 설계위치에 인접하여 추가 항타

2) 벗어난 만큼 기초확대, 철근 1.5배 보강

*예기치 못한 불규칙한 토층으로 시공이 어려울 경우

1) 구조검토 결과에 따라 보강조치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검토서  (0) 2012.04.05
내부품질감사계획서  (0) 2012.04.04
징계사항 확인서  (0) 2012.03.29
회의소집 통보서  (0) 2012.03.26
설비점검일지 - 성형기, 튀김기  (0) 2012.03.25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시험실팀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주) 이 시험은 비소성이나 비점서인 콘크리트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콘크리트 중에 크기가 50㎜이상인 굵은골재가 상당량 함유되어 이는 경우에는,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2. 시험용 기구

2.1. 슬럼프 콘

공시체 성형용 슬럼프 콘은 시멘트 풀에 쉽사리 침식되지 않는 금속제로서 밑면의 안지름 이 20㎝, 윗면의 안지름이 10㎝, 높이가 30㎝인 절두 원추형으로 된 것이다. 밑면과 윗면은 뚫려 있고 서로 평행이어야 하며, 원추의 축에 직각이어야 하며, 안지름과 높이의 허용오차는 ±3㎜이내이다.

2.2. 다짐대

다짐대는 지름이 16㎜, 길이가 60㎝인 곧은 원형강봉으로, 그 한쪽 끝은 지름16㎜의 반구형 으로 둥글게 되어 있어야 한다.

3. 시 료

공시체를 만들 콘크리트 시료는 그 배치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시료는 SWS-F -325(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방법)에 따라서 채취하여야 한다.

4. 시험방법

4.1. 슬럼프 콘을 젖은 걸레로 닦은 후 평평하고 습한 비흡수성의 단단한 평판 위에 놓고, 콘크리트를 채춰 넣을 동안, 두개의 발판을 디디고서서 움직이지 않게 그 자리에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3.에 합치되록 채취한 콘크리트 시료를 즉시 슬럼프 콘 요적의 약 1/3씩 되도록 3층으로 나누어 채운다.

(주) 슬럼프 콘 용적의 처음 1/3은 바닥에서 7㎝, 다음의 1/3은 16㎝까지 채우면 된다.

4.2. 각 층을 다짐대로 25회씩 단면 전체에 골고루 다진다. 최하층에 대해서는 다짐대를 약간 기울여서 다짐 횟수의 약 절반을 둘레에 따라 다지고, 그 다음에 다짐대를 수직으로 하여 중심을 향해서 나선상으로 다져 나간다. 최하층은 전 깊이를 다지고 둘째층과 최상층은 각각 그 층의 깊이만 다지는데 그 아래층을 약간 관입할 정도로 다진다.

4.3. 최상층을 채워서 다질 때는 콘크리트를 슬럼프 콘 위에 높이 쌓고서 다지기 시작한다. 만일, 다져서 콘크리트가 슬럼프 콘의 상단보다 아래로 낮아지면 콘크리트가 슬럼프 콘 윗면의 위에 있도록 여분의 콘크리트를 추가하여 넣는다. 최상층을 다 다졌으면 콘크리트로 부터 조심성 있게 수직 방향으로 벗긴다.

(주) 슬럼프 콘을 벗기는 작업은 5초 정도로 끝내야 하며, 콘크리트에 가로 방향 운동이나, 비틀림 운동을 주지 않도록 조용히 위 방향으로 들어 올려야 한다. 몰드에 채우기 시작해서 벗길 때까지 전 작업 중단함이 없이 2분 30초 내로 끝마쳐야 한다.

4.4. 전항의 작업이 끝난후 공시체가 충분히 주저 앉은 다음, 슬럼프 콘의 높이와 공시체 밑면의 원중심 부터의 공시체 높이와의 차를 ㎝단위 (0.5㎝의 정밀도)로 구하여 슬럼프를 정한다. 만일, 거의 다 무너져 버리거나 또는 콘크리트의 한 면이나 부분이 전단되어 떨어지거나 하면 그 시험치는 버리고, 시료의 다른 부분을 재시험 한다.

(주) 슬럼프 시험을 끝낸 즉시 다짐대로서 콘크리트의 측면을 가볍게 두들겨서 그 모양을 보는 것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판단하는데 좋은 참고가 된다. 한 콘크리트의 시료에 대하여 2회 연속 시험하여 다 무너져 버리거나 또는 공시체 덩어리로부터 콘크리트의 일 부분이 떨어지거나 하면, 그 콘크리트는 필요한 소성과 점성이 결핍되어 있는 것이다.

5. 기 록

다음 사항에서 필요한 사항을 기록하여야 한다.

5.1. 일시

5.2. 날씨

5.3. 기온

5.4. 배치번호

5.5.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5.6. 콘크리트의 온도

5.7. 슬럼프

5.8. 기타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멘트의 표준주도 시험방법  (0) 2012.04.07
여비규정절차서  (0) 2012.04.02
잔골재규격  (0) 2012.03.28
공사현장관리절차서  (0) 2012.03.27
스톡옵션에 관한 계약서  (0) 2012.03.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