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현장관리절차서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규정은 당사의 국내공사 현장관리에 관련한 제반업 무수행의 원칙과 절차를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적용범위) 국내공사의 현장관리에 관해서는 법령이나 다른 규정에서 특별히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 규정이 정한 바에 따른다.

제2장 공사의 집행

제3조(공사집행책임자) ① 공사집행 책임자는 현장소장으로 하며 당 해 공사의 예산집행은 직무권한규정에 따른다.

② 당해 공사의 현장요원 선정, 공법지시 및 공정수행, 발주 처관계업무, 공사대금수령, 준공등 공사발주로부터 준공까지 의 제반업무는 공사집행 책임자의 확인이 있어야 한다.

제3장 현장조작 및 업무분장

제4조(조직) 현장의 조직은 실행예산편성시 당해 공사의 규모와 공 기등을 감안하여 현장등급기준에 따라 편성, 업무를 분장한다.

제5조(현장의 등급기준) 현장의 등급은 공사의 규모에 따라 구분함 을 원칙으로 하나 현장의 여건 및 공사의 성질에 따라 조직및 인원수를 조정할 수 있다.

제6조(현장요원의 인선) ① 현장소장의 선정은 현장요원 인선전에 사장의 재가를 받아야 한다.

② 현장요원의 인선은 현장소장이 관련부서에 품의하여 사장 이 임명한다.

③ 현장조직에 따른 직원의 직급은 현장의 규모와 조직구성에 따라 별도의 지침으로 규정한다.

④ 현장소장은 현장의 규모, 위치등을 감안하여 최소의 인원 으로 업무가 가능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7조(현장소장) 현장소장은 현장의 총책임자로서 대외적으로 회사 를 대표하고 당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휘 통솔한다.

제8조(기술담당주무) 기술담당주무는 공사, 시험 및 설비.전기분야 에 관한 모든 업무와 시공전반에 대한 기술관리업무를 담당한 다. 단, 현장여건상 필요한 경우 공사담당 또는 공무담당이기술담당주무의 업무를 겸할 수 있으며 현장소장은 기술담당 주무의 업무를 명확히 지정하여야 한다.

제9조(공무담당주무) 공무담당주무는 공정관리, 원가관리 등 현장 의 공무관리업무를 담당한다.

제10조(관리담당주무) 관리담당주무는 총무업무를 수행하며 노무, 경리, 자재에 관한 업무와 유관기관과의 협조등 섭외업무를담당한다.

제11조(장비담당주무) 장비담당주무는 현장에 투입된 장비의 관리 및 정비업무와 별도로 정한 규정 또는 지침에 의한 업무를 담 당한다. 장비담당이 선임되지 않은 현장의 장비업무는 자재담 당이 수행한다.

제4장 기술업무의 수행

제12조(기술담당주무의 업무내용) 기술담당주무산하의 각 담당별업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공사담당

가. 공사시공에 따른 전반적인 계획수립 및 기술관리

나. 인력, 자재, 중기의 효율적인 수급조절

다. 월간공사계획서 작성

2. 설비ʻ전기담당

가. 설비.전기공사 시공에 따른 계획수립 및 시공업무에 과한 사항의 집행

나. 설비.전기자재의 청구 및 검수

다. 해당분야에 대한 공무업무

3. 시험담당

가. 공사시험 및 품질관리

나. 공사원가절감을 위한 기술개발

다. 기타 공사시험과 관련된 업무

제13조(공사담당 비치서류) 공사담당자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작성, 비치해야 한다.

1. 설계도면

2. 작업일보

3. 작업지시수령부

4. 주요 측량성과표철

5. 공사내역서 및 시방서

6. 시공단위별 원가분석표

7. 천후 및 온도표

8. 기타 공사수행에 필요한 서류

제14조(작업일보) ① 시공단위별 책임자는 매일 작업종료후 당일 일일작업량과 누계작업량을 표시한 작업일보를 정확히 기록하여 공사담당자에게 제출한다.

② 공사담당자는 작업일보를 검토, 기술담당주무 및 소장의결재를 얻어 공무담당자에게 송부한다.

③ 공무담당자는 작업일보를 기초로 계획공정표상의 작업진도를 표시하고 공사일보상의 필요한 사항을 기록한 후 이를공사담당자에게 회송한다.

④ 작업일보는 시공단위별 원가관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하여야 하며 당해공사 종료시에는 정산서와 함께 또는 별도로본사의 해당 기술부서에 제출하여야 한다.

제15조(설계변경의 자료) ① 모든 현장요원은 공사의 집행과정에서설계변경의 요인이 될 사항을 철저히 검토함과 동시 그 자료수집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② 공사집행중 설계변경의 요인이 될 수 있는 사항은 그 발생시마다 발주처에 서면 요청하여 반영되도록 한다.

제16조(월간공사계획서) 공사담당자는 기본계획공정표에 의한 월간 공사계획서를 매월초 작성, 현장에 비치한다.

제17조(천후 및 온도표) 천후 및 온도등 기상현황은 매일 정확히기입.게시하고 공사계획에 참고하여야 한다.

제18조(공사사진첩 작성) 공사 착공전, 시공도중 및 준공시까지 공 사의 제반사항을 촬영하여 공사관리업무와 설계변경, 준공처 리업무에 사용토록 하고 준공보고서와 함께 본사에 제출하여 야 한다.

제5장 공무업무의 수행

제19조(공무담당주무의 업무내용) 공무담당주무의 업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공사투입원가 취합, 분석 및 보고

2. 공정관리와 실행예산서

3. 설계 및 설계변경, 준공처리업무

4. 하도급자 선정에 관한 업무

5. 공사비절감방안 연구

제20조(공무담당 비치서류) 공무담당자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작 성, 비치, 관리해야 한다.

1. 실행예산서

2. 계획공정표

3. 공사일보철

4. 계약 및 공사금 수령통보서

5. 하도급계약서 사본

6. 하수급자별 기성조서

7. 공사비 산출근거 및 물량산출서

8. 공사현장보고서

9. 기타 공무업무용 필요서류

제21조(공사비분석) ① 공사현장의 시공단위별 책임자는 시행되고 있는 작업내용에 관하여 월1회 공수비투입현황서를 작성, 이 를 공무담당에게 제출한다.

② 공무담당은 공사비투입현황서를 검토, 현장소장에게 제출 하고 현장소장은 이를 토대로 원가관리상 필요한 제반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제22조(계획공정표) ① 현장의 계획공정표는 공사에 따른 제반여건 등을 감안 정확히 작성하여 공사계획의 기본자료로 삼는다.

② 실행예산확정시 승인된 계획공정표는 작업요소별로 진척상 황을 확인 점검하되 공정율이 계획 대비 80% 미만일 경우 현 장소장은 공정만회대책과 부진사유서를 본사에 제출하여야 한 다.

③ 설계변경으로 공사물량이 대폭 변경되어 계획공정표가 수 정되어야 할 경우 즉시 수정계획표를 작성 본사에 보고하여야 한다.

제23조(공사일보) 공무담당자는 매일 공정별 작업실적내용을 기록 한 공사일보를 작성, 현장에 비치한다.

제6장 관리업무의 수행

제24조(관리담당주무의 업무) 관리담당주무는 현장총무업무를 수행 하며 다음 각 호의 업무를 관장한다.

1. 社印 및 職印관리

2. 차량의 관리

3. 통신업무

4. 인.허가에 관한 사항

5. 발주처 관계의 행정관련업무

6. 당.숙직에 관한 업무

7. 집기, 비품, 피복, 사무용품 조달 관리

8. 직원 근태와 복무규율

9. 문서수발 보관.관리

10. 직원 숙식 및 복리후생

11, 각종 관리업무의 보고 주관

12. 기타 기술이외 업무로 타 부서에 속하지 않는 사항

제25조(경리담당의 업무) 경리담당자는 현장소장의 지시를 받아 다 음 각 호의 업무를 관장한다.

1. 금전출납 및 자산의 관리

2. 채권 및 채무에 대한 대장기록

3. 현금 입출금에 따른 각종 증비서 보관

4현장경비의 예산통제 및 원가계산

5. 출납일보 및 자금청구서 작성

6. 기타 경리에 관련되는 제반사항

7. 현장의 일일수입, 지출현황 및 시재파악

제26조(현장자금지출) 경리담당자는 현장의 자금지출시 다음 각 호 의 절차에 따른다.

1. 지출전표를 작성하고 관계계정, 비목별 대장에 기록함과동시 소장의 결재를 받는다.

2. 1일 현금출납장을 기록, 관리한다.

3. 지출증빙서류를 수집, 보관한다.

4. 본사로 부터 영달된 자금은 자금배정내역에 의거 집행한다.

5. 실행예산(경비)을 초과하여 자금을 집행하고자 하는 경우 에는 사전에 사장의 품의, 승인여부를 확인한 후 집행한다.

제27조(비치서류) 경리담당자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비치하여야한다.

1. 현금출납장

2. 계정과목별 대장

3. 공사원가고보서철

4. 자금청구서철 및 전도금정산서철

5. 미지급금대장 및 가지급금대장

6. 현금출납보고서철

7. 기타 경리업무에 필요한 서류

제28조(자재담당의 업무) 자재담당자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관장 한다.

1. 자재소요계획서 작성

2. 자재청구 및 현장구매 자재구입

3. 자재 검수, 저장 및 보관

4. 자재 입출고 및 재고관리

5. 기자재 수리 점검

6. 기자재 대장기록 및 보관

7. 자재의 전출입 관리

8. 기타 자재에 관련 제반업무

제29조(비치서류) 자재담당자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비치한다.

1. 자재소요계획서

2. 자재청구서

3. 자재수불대장 및 자재검수서

4. 자재입출고명세서

5. 자재투입현황

6. 가설재 재고현황

7. 기타 자재관리규정에서 정한 자료

제30조(노무담당의 업무) 노무담당자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관장 한다.

1. 실행예산에 의한 노무자의 동원계획, 출역점검 및 임금사 정

2. 경비원등 현장 인력관리 및 현장 임시직원 채용 품의

3. 노임 투입에 대한 제 장부기록

4. 본사보고서 및 노임집계표 작성

5. 현장 임시직원등 현장인원 근태상황 기록

제31조(비치서류) 노무담당자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비치한다.

1. 출역표

2. 노임지급명세서

3. 노무일지

4. 노임집계표

5. 임시직 및 일용원의 채용서류

제32조(장비담당업무) 장비담당자는 장비관리규정에 의거 다음 각 호의 업무를 관장한다.

1. 장비의 인수 및 철수

2. 장비의 보관 및 배차이동

3. 증기소속 인원의 근태관리와 교육

4. 현장 중기 및 장비의 수리

제7장 안전관리업무

제33조(안전관리자의 업무) 안전관리자는 현장소장의 안전업무에관한 지시를 이행하고 다음 각 호의 업무를 관장한다.

1. 시설물 및 작업장의 위험방지

2. 안전장치, 보호구, 소화설비 기타 위험방지시설의 설치 및 성능에 관한 정기적 점검 및 정비

3. 안전작업에 대한 훈련 및 교육

4. 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 원인 및 경위조사와 그에 대한 대 책수립

5. 소화 및 피난의 훈련

6. 안전관리요원의 감독

7. 안전일지 및 안전에 관한 기록의 작성 비치

8. 산재보험관계업무 및 근로자 재해사항처리업무에 관한 사 항

9. 안전관리비 실행에 관한 집행 및 관리

10. 기타 안전보건관리규정에서 정한 사항

제34조(비치서류) 안전관리자는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작성, 비치해 야 한다.

1. 안전일지

2. 안전교육일지

3. 안전보건교육 실시 결과보고서

4. 안전활동 주간보고서

5. 안전업무 주간보고서

6. 안전장구류 청구서

7. 유해 위험방지 계획서

8. 안전관리비 산출내역서

9. 월별 안전관리비 사용내역서

10. 사고보고서

11. 기타 안전관련서류

제8장 보고

제35조(보고) ① 현장소장은 현장개설 및 공사착공에 따라 본사에 현장개설통보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② 현장소장은 공사의 진척상황 전반에 걸쳐 사장에게 보고할 의무를 가진다.

③ 현장소장의 본사에 대한 모든 보고서는 주관공사 관리 부 서장이 접수, 보고하고 그 지시를 받아 조치한다.

④ 현장소장은 현장철수 15일전까지 현장철수계획서를 작성, 본사 관련부서로 보고한다.

제36조(정례보고서) ① 현장의 각 업무별 담당자는 모든 보고서를 소정기일내에 작성하여 현장소장의 명의로 본사 해당부서에접수시켜야 한다.

② 보고서는 필히 2부를 작성하여 종류별로 문서번호를 부여 하고 1부는 현장에 비치, 1부는 본사에 송부한다.

③ 보고서를 우송할 때에는 반드시 문서전달편, 등기 등 확실 한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④ 긴급을 요하는 사항일 경우 FAX, 전언통신문 등을 이용하 며 차후 필요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제9장 준공정산 및 평가

제37조(정산업무의 적용) 정산업무의 적용 및 관리업무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자금청구서

2. 각종 일보분석

3. 하도급관리

4. 직원 이사관리

5. 공정관리

6. 기타 본사 지시사항

제38조(정산업무주관) ① 현장소장은 정산 요인 발생시부터 종료시 까지의 손익대비, 원가관리, 현장 제반사항관리내역을 총괄분석, 본사로 보고한다.

② 본사 공무부서의 장은 전항에 관한 사항을 검토 평가하여 관련부서 경유후 정산보고회의를 개최하고 사장의 재가를 받 는다.

제39조(준공정산기간) 준공정산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한 최종 자 금 집행 종료일부터 30일 이내에 이를 작성 완료하여야 한다.

제40조(준공정산서의 작성) 준공정산서는 회사 규정양식에 의하여 작성하고 준공후 소요되는 예상비용을 설정하여 포함시켜야한다. 법정하자 보수기간이 지난 현장은 투입된 하자보수비금액을 기준공 정산금액에 합산 사장의 결재를 득한후 최종정산 완료한다.

제41조(공사의 평가) ① 준공된 공사에 대하여는 별도 세칙에 따라 공사완공보고회를 소집하여 공법 및 인력관리, 자금투입등 공 사 전반에 관한 분석평가를 함으로써 향후 공사관리의 합리화 를 도모하여야 한다.

② 당해 현장의 직원은 준공정산이 마감될 때까지 타부서간타현장에 부임할 수 없다. 단, 현장 사정상 사장이 인정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제42조(상벌제도) 공사평가회의 평가결과에 따라 현장별 또는 개인 별로 상벌을 실시하며 그 상벌제도에 관한 기준 및 절차는 관 계규정을 준용한다.

제43조(타 규정과의 관계) 이 규정에 명시되지 아니하거나 타 규정 에 반하는 사항은 본사 관리부서에 문의, 그 지시에 의하여업무처리하여야 한다.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  (0) 2012.03.30
잔골재규격  (0) 2012.03.28
스톡옵션에 관한 계약서  (0) 2012.03.20
골재의 점토함유량 시험방법  (0) 2012.03.18
맛어묵 (생산관리 절차서)  (0) 2012.03.15

생산일보V25
매일 작성하는 데이터의 월간 및 년간 합계를 쉽게 하실 수 있으며,
분석챠트도 자동으로 그려지기 때문에 집계하는 수고를 덜어 줍니다.
생산일보 시트 하나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일자의 작성내용을 추출하여 볼 수 있습니다.
품목별/규격별/근무일/품목불량 생산실적을 팀별, 일별, 월별로 합계하여 볼 수 있습니다.
년간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월별의 합계 및 년간합계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처음실행순서
1. 파일(2007버전)을 열면 "수식입력줄" 아래에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있습니다.
   이 단추를 눌러 [이 콘텐츠 사용]에 체크하시고 확인을 누르세요
   만약 이 옵션 단추가 보이지 않으면 홈페지의 (공지사항)에서
   "Excel 2007 보안설정(매크로포함) 변경하는 방법 2"을 참조하세요.
2. {단가표} 시트에서 사용자에 맞게 설정을 하세요.(전부변경..)
3. [샘플내용_삭제] 최초 사용시 데이터를 입력하기 전에 이 버튼을 눌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4. 일부 삭제되지 않는 것은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하면 제대로 된 값을 찾아옵니다.
*** 각 시트의 (A1셀)에 도움말이 메모로 작성되어 있으니 (A1셀)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 본 파일은 엑셀2007,2010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2003이하는 안됨

 

 

 

 

 

 

생산일보 :
0. 메뉴버튼 : [새로작성][저장하기][찾아보기][계산수식]
   [새로작성] : 신규로 작성할 양식 상태로 나타냅니다.
   [저장하기] : 작성한 내용을 저장시트에 저장합니다.
   [찾아보기] : 관리번호(C5셀)의 일보를 나타냅니다.
1. [새로작성] : {생산일보} 시트에 있는 현재의 데이터를 지우고 빈양식을 나타냅니다.
   작성일자는 오늘날짜를 나타내고 일련번호는 자동으로 마지막 저장번호+1을 냅니다.
   날자순으로 작성되어야 누계가 일치합니다.
2. [저장하기] : 매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시트에 저장이 합니다.
   관리번호, 작성일자는 입력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이미 등록된 관리번호의 기록이 있다면 덮어쓰기 합니다.
3. [검색하기] : 관리번호(C5셀)의 저장된 내용을 나타냅니다.
   작성된 기록은 우측의 [작성일자] 그림을 참조하세요.(인쇄시는 인쇄되지 않음)
   10개의 기록이 나타나며, 노란색셀은 현재 일보의 날자입니다.
   [화살표]버튼을 누르면 일자의 변경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4. 작업자의 기록이 필요 없다면 {설정}시트에서 작업자(감추기)를 선택하세요.
5. (작업자) 및 (팀별합계)는 10팀까지 입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팀이 그 이하인 경우 우측의 화살표버튼으로 조정한 다음 화살표 버튼은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화살표버튼의 삭제 : 화살표 위에 우측마우스를 클릭-잘라내기 또는 Delete키
6. 생산일보는 (B1:L80셀)까지의 모든 작성내용을 저장하고 찾아옵니다. (변경된 양식포함)
   어느부분에 작성을 하든 상관 없습니다.
   단 주의할 사항은 실적 등 숫자입력 부분은 숫자를 기록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실적집계시 오류 발생 합니다.
7. 팀명/품명의 설정은 {설정}시트에서 데이터의 입력전에 반드시 설정하여야 합니다.
   품명과 규격은 {설정}시트에 입력한 내용만 입력 가능합니다.
   품명을 먼저 선택하여야 규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8. (생산현황) ; 36행~65행까지 30행 입력가능
   (특기사항) ; 67행~79행까지 12행 입력가능. 입력행은 [화살표]로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월간실적 :
0. 메뉴버튼 : [월간실적][그래프_보이기][그래프_지우기]
   [월간실적] : 저장된 내용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그래프_보이기] :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그래프_지우기] : 그래프만 삭제합니다.
1. {저장}시트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별로 합계하고, 분석챠트를 나타냅니다.
2. 생산계획 및 실적 대비 월별합계를 추출합니다.
3. 그래프 눈금의 최대값을 적당히 설정하여야 합니다.
   최대값(B11셀)에 따라서 그래프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B11셀)=ROUNDUP(MAX(C21:AG22),-1) 이런식으로 수식을 입력하면
   계획, 실적 중 최대값을 나타냅니다.
4. 그래프가 그려진 셀의 높이를 조정하면 그래프 크기도 달라집니다.
5. 요일의 빠른 구분을 위해 요일중 일요일은 셀색깔이 다르게 표시됩니다.
6. (G7셀)의 월을 입력하세요.

 

 

 

년간실적 :
0. 메뉴버튼 : [년간실적][그래프_보이기][그래프_지우기]
   [월간실적] : 저장된 내용을 계산하고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그래프_보이기] :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그래프_지우기] : 그래프만 삭제합니다.
1. {저장}시트에 저장된 데이터를 월별로 합계하고, 분석챠트를 나타냅니다.
2. 생산계획 및 실적 대비 월별합계를 추출합니다.
3. 그래프 눈금의 최대값을 적당히 설정하여야 합니다.
   최대값에 따라서 그래프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4. 그래프가 그려진 셀의 높이를 조정하면 그래프 크기도 달라집니다.
5. (C8셀)의 년을 입력하세요.

 

 

 

 

 

 

 


{팀별}{품목별}{규격별}{근무일수}{품목불량} 시트 :
0. 메뉴버튼 : [현황그래프][그래프_지우기][팀별현황][품목별현황][규격별현황][근무일수][품목불량]
   [현황그래프] : 해당시트의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팀별}{품목별}{규격별}시트가 아닌 다른시트에서 실행하면 {팀별}시트의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팀별현황_나타내기] : 팀별 현황집계 및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품목별현황] : 품목별 현황집계 및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규격별현황] : 규격별 현황집계 및 그래프를 나타냅니다.
   [근무일수] : 작업자별 근무일 현황을 집계 합니다.
   [품목불량] : 품목별 불량현황을 나타냅니다.
   [그래프_지우기] : 해당시트의 그래프를 삭제합니다.
1. 설정된 (항목)별로 각 월로 실적에 대해 합계수량을 추출합니다.
2. 품목 및 규격은 {설정}시트에 설정된 값을 기준으로 합니다.
3. {규격별}시트는 품목을 입력하고 [규격별현황]을 누르면 해당 품목에 대한 규격을 나열하여,
    규격별로 합계실적을 추출합니다.

 

 

 

설정 시트 :
0. 메뉴버튼 : [설정_설정하기][샘플_삭제하기][일보_삭제하기]
   [설정_설정하기] : 작성된 내용을 다른 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샘플내용_삭제] : 현재 작성된 샘플내용을 삭제합니다.
                        {저장}{설정}시트만 삭제합니다.
   *다른시트는 저장된 값을 입력하여 [실행버튼]을 누르면 값을 계산하기 때문에 문제 없습니다.
   [일보_삭제하기] : 현재 생산일보에 있는 관리번호의 내용을 {저장}공간에서 삭제합니다.
1. 생산 품목별 규격을 설정합니다.
2. 설정된 품목 및 규격만 {생산일보}시트에서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3. 작업자 : 보이기 또는 감추기
   (1) 보이기 : {생산일보} 시트의 (7행~17행)을 보이도록 설정
   (2) 감추기 : {생산일보} 시트의 (7행~17행)을 보이지 않도록 설정
4. 월간 생산계획은 이 시트에서 작성하세요.
   (1) {생산일보}의 [새로작성]시에는 이 시트의 값을 나타냅니다.
   (2) 그렇다 하여도 {생산일보} 작성시 값을 변경하여 입력하면 그 값으로 나타냅니다.
5. 불량유형은 6개까지만 입력 가능합니다.
6. (결재란)(작성일자)는 현재 위치에 있어야 합니다. (작성일자)의 일자는 자동으로 작성합니다.

 

견적서(공사)V28
회사에서 공사건별로 작성하는 견적서는 대부분의 내역이 비슷하고 단가는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가 등을 제대로 기록하지 않으면 매번 다른 단가를 적용하게 됩니다. 적용하는 단가를 한 파일에서만 관리하여 일율적인 단가가 작성되고 모든견적서에 적용될 수 있어야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가표에 저장된 품명, 규격, 단위, 단가를 자동으로 찾아와 내역서를 작성하는 시간을 절약할 뿐만아니라 단가의 입력오류를 차단합니다.  적용하는 단가는 5종류를 설정하여 실행가, 예산가, 견적가 등 다양한 견적을 즉시 만들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단가표에 미처 입력하지 못한 것이나 가격변동이 있는 품목은 직접 입력 작성하고 이 가격을 단가표에 반영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작업(공사)이 완료되면 견적(계약)대비 실행내역(기준단가)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견적서, 내역서, 실행내역서는 각 건별로 저장하여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으며, 견적서/내역서는 파일로 고객에게 제출할 수 있도록 제출용 파일을 만듭니다.
 
처음실행순서
1. 파일(2007버전)을 열면 "수식입력줄" 아래에 [보안경고]-[옵션] 단추가 있습니다.
   이 단추를 눌러 [이 콘텐츠 사용]에 체크하시고 확인을 누르세요
   만약 이 옵션 단추가 보이지 않으면 홈페지의 (공지사항)-"Excel 2007 보안설정(매크로포함) 변경하는 방법 2"을 참조하세요.
2. {단가표} 시트에서 사용자에 맞게 설정을 하세요.(전부변경..)
3. [샘플내용_삭제] 최초 사용시 데이터를 입력하기 전에 이 버튼을 눌러 기존의 샘플을 삭제합니다.
4. 일부 삭제되지 않는 것은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하면 제대로 된 값을 찾아옵니다.
*** 각 시트의 (A1셀)에 도움말이 메모로 작성되어 있으니 (A1셀)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내역서 시트:
0. 메뉴버튼 : [새로작성][제목작성][내역추가][합계내기][저장+견적서작성][다른_단가표수정]
                  [선택행계산][내역서_수정][내역_인쇄하기][적용단가_보기]
   [새로작성] : 새로운 견적서 및 견적내역을 작성할 준비
   [제목작성] : 공종별(또는 그룹별)의 소제목을 입력합니다.  소제목/단위/수량까지 입력하세요
   [내역추가] : 내역을 추가할수 있도록 아랫부분의 셀에 계산식 등을 넣어 활성화함
   [합계내기] : 계산수식 등으로 활성화된 셀을 지우고 소제목별로 합계를 계산
   [저장+견적서작성] : 시트의 작성내용을 전체 저장하고 소제목의 내용을 {견적서}시트로 보냄
   [다른_단가표수정] : {내역서}시트에서 직접입력한 품명(규격)의 단가를 {단가표} 시트로 저장함
   [선택행계산] : 선택한 셀의 행만 계산식 등을 나타냄
   [내역서_수정] : 작성된 전체의 셀에 계산식 등을 나타냄
   [내역_인쇄하기] : {내역서} 시트의 내용을 인쇄
   [적용단가_보기] : (O열:T열)을 감추기 또는 보이기
1. [새로작성]을 클릭하면 {견적서} 시트의 내용도 함께 삭제됩니다.
   일련번호는 자동으로 나타냅니다.
2. [제목작성] ; 소제목행을 표시합니다.
   (1) 소제목별 구분선은 마지막 3행을 띄우고 자동으로 그려집니다.
   (2) 제목/단위/수량을 입력하세요.
   (3) 소제목의 앞에는 반드시 숫자번호가 있어야 소계를 계산합니다.
   (4) 소제목(공정)은 26개까지 입력가능 합니다.(견적서 시트에 반영 가능한 수량이지만 작성은 무제한?)
3. [내역추가] ; 단가표에 저장된 내용을 찾아오는 수식 등을 나타냅니다.
   이 메뉴는 실행 전에 적용할 단가를 우선 지정합니다.(O10, Q10, S10셀)
   입력행은 20개로 한정되어 있으니, 더 추가할 경우에는 다시 누르면 됩니다.
4. [합계내기] ; 수식 등으로 활성화된 셀의 수식 등을 지우고, 소제목별 합계를 계산합니다.
5. [저장+견적서작성] ; 반드시 이 메뉴를 실행하여야 작성한 내용이 저장됩니다.
6. [다른_단가표수정] ; {내역서} 시트에서 단가를 직접 입력하여 {단가표} 시트에 품명이 없거나
   단가가 틀린 경우에는 새로운 단가로 업데이트합니다.
   (1) 이 때 적용요율(O열~T열)도 함께 수정하여야 합니다.
   (2) 적용요율에 따라서 {단가표}의 기준단가도 변경됨
   (3) 기존의 단가는 {단가표} 시트의 (U,V,W열)에 기록하고 {단가표}는 새로운 단가로 업데이트 됩니다.
7. [내역서_수정] ; 단가의 입력을 {단가표}시트에 있는 값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행하면 안됩니다.
   작성 전체의 내용을 {단가표} 시트의 내용을 적용한 경우에만 사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행_계산]버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가격의 내용을 수정한 후에는 반드시 [합계내기]-[저장+견적서저장]를 실행하여야 합니다.
8. [내역_인쇄하기] ; 내역서를 인쇄합니다.
   9~10행은 매 페이지마다 인쇄합니다. (O:T열)은 인쇄되지 않습니다.
9. [적용단가_보기] ; 버튼 클릭시마다 (O:T)열을 보이기/감추기를 반복합니다.
   적용단가는 5개(A~E)로 내역서 작성하는 도중에 언제든지 적용단위를 변경 가능합니다.
 
 

 
 
견적서:
0. 메뉴버튼 : [저장하기][찾아보기][계산수식][제출파일작성]
   [저장하기] : 작성한 데이터를 {저장}{목록}시트에 저장함
   [찾아보기] : 저장된 견적서 내용을 일련번호로 찾아옴
   [계산수식] : {단가표}시트에 설정(AA21:AM34셀)한 견적서 계산식을 가져옴
   [제출파일작성] : 고객에게 제출하는 {견적서}{(내역서}시트만으로 파일만듬
1. [화살표] 버튼
   (1) 상단 ; 견적번호 변경으로 매 {견적서}{내역서} 내용 찾아보기 함.
       작성된 내용이 더 이상 없으면 번호가 올라가지 않음
   (2) 중간 ; {내역서}의 소제목이 입력되는 곳이 많고 적음에 따라 조절하는 버튼
       최소(21행)~최대(43행) 까지 조절 가능함
   (2) 하단 ; (특기사항) 입력하는 공간을 조절하는 버튼
       최소(63행)~최대(79행) 까지 조절 가능함
2. 견적서의 모든내용(B1:N80셀)은 일괄 저장되고 찾아옵니다.
3. [제출파일작성] : {견적서}시트 및 {내역서}시트를 복사하여 다른 파일로 저장합니다.
   (1) {견적서} 시트는 그림으로 저장되어 내용 수정이 불가합니다.
   (2) 파일명 : 현재파일의 디렉토리에 "견적_(고객명).xlsx" 형태로 저장됩니다.
4. 견적서의 일련번호 설정은 {단가표} 시트에서 합니다.
5. 로고 및 인감은 그림파일로 만들어서 (삽입-그림) 붙여넣기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목록 시트:
0. 메뉴버튼 : 없슴
1. {견적서} 시트에서 [저장하기]를 실행하면, 해당값을 이 시트에 저장합니다.
2. 필요에 따라 셀의 너비를 조정하세요.
 
 
 
 

실행내역 시트:
0. 메뉴버튼 : [새로작성][계산수식][내역추가][합계내기][내역저장][인쇄하기][찾아보기]
   [새로작성] : 견적서 No.로 작성한 {내역서}의 내역을 불러옵니다.
                  견적서번호는 화살표 버튼으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계산수식] : 실행금액란에 계산식을 나타냅니다.
   [내역추가] : 실행시 추가로 투입된 내역을 추가 작성준비.
   [합계내기] : 소제목별 합계 및 실행율을 계산
   [내역저장] : 작성된 실행내역을 저장
   [인쇄하기] : 인쇄합니다. (9:10)행 반복인쇄
   [찾아보기] : 해당 일련번호의 저장된 실행내역을 찾아옵니다.
1. 작성순서
   (1) [화살표]버튼으로 해당 견적번호 입력
   (2) [새로작성]
   (3) 작성일자~년간이자율(C4:C6, F4:G6, i4셀) 값을 입력
   (4) [계산수식] : {단가표}시트의 자재비/인건비/경비의 기준값을 나타냄
   (5) 실행금액이 다르면 해당값을 직접 입력
   (6) 추가항목 있으면 [내역추가][합계내기]로 작성
   (7) [내역저장]
2. 지연일(G4:G6셀)은 금액별로 계산하여 일자로 입력합니다.
 
 
 
 
 

단가표 시트:
0. 메뉴버튼 : [검색하기][모두보기][설정하기][샘플내용_삭제하기]
   [검색하기] : 품명(B9셀), 규격(C9셀)의 내용을 검색합니다.
   [모두보기] : 검색에서 필터링된 내용을 필터링을 지웁니다.
   [설정하기] : 품명/규격은 정열하고, 기준단가(A)를 기준으로 (B,C,D,E단가)를 계산합니다.
   [샘플내용_삭제하기] : 최초 파일에 작성된 샘플내용을 삭제
1 품명, 규격, 단위, A단가(기준이 되는 단가), 적용요율(%)를 입력하세요
2. 모든 내용을 입력하였으면 [설정하기] 버튼을 실행합니다
3. (B9,C9셀)에 검색글자 입력하고 [검색하기] 버튼을 누르면 해당되는 품목/규격을 검색함.
   검색은 품명/규격의 일부 글자만 입력하여도 검색함
4. 동일 품명에 규격이 다른 경우에는 반드시 규격명을 입력하여 주세요.
5. 품목을 추가할 경우에는 반드시 [설정하기] 메뉴를 눌러 주세요.
6. 금액절사자릿수(견적서)(AB4셀) ; 합계금액의 자릿수 버림(반올림 아닌 절사)
7. 단가 반올림(단가표) ; 요율에 따른 수식 입력시 단가를 반올림
8. (AA21:AM34셀) ; {견적서}시트의 (A23:M37셀)에 입력되는 항목 및 수식입니다.
   수식 입력시는 참조셀은 상대참조로 입력하세요 ($들어간 셀은 불가)
9. 견적서 앞자리 기호 : 견적서의 일련번호에 부여할 앞머리글
   견적서번호는 (머리글)(년월)-(일련번호,4자리) 입니다.

'업무 향상 ★… > 【 엑셀견적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적서  (0) 2012.10.08
견적서 5  (0) 2012.05.07
견적서 (크레인)  (0) 2011.11.02
전기견적서  (0) 2011.09.29
견적서  (0) 2011.08.29

수장공사지침서

1. 적용범위 및 목적

수장공사 작업에 대한 절차를 서술함으로서 현장작업관리를 명확히 한다.

2. 책임과 권한

2.1. 현장소장

2.1.1. 현장소장은 현장설계, 시공, 현장조달, 품질관리 및 하도급자 관리에 관한 최종적인 책임을 가지며, 시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조직을 구성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2.2. 현장 시공담당 책임자

2.2.1. 시공담당 책임자는 시공에 참여하는 모든 인력 장비 및 자재를 관리하고 시공 업무를 계획, 추진할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해 그의 산하에 시공담당 직원을 적절히 배치하여야 하며 다음의 업무를 수행한다.

1) 수장공사 시공계획 수립, 시공추진 및 진척사항 파악

2) 수장공사 품질기준 Check List 사용에 대한 교육

3) 시공절차서 작성

4) 시방 및 시공도면에 명시한 품질의 달성

5) 필요시 검사 및 시험 의뢰, 결과의 검토

2.3. 현장 품질관리 책임자

2.3.1. 현장 품질관리 책임자는 시공품질에 관련된 업무가 품질관리계획에 따라 수행되는지 감시 및 검사할 책임이 있으며 다음의 업무를 수행한다.

1) 품질관리계획서 승인 및 이행여부 확인

2) 필요시 검사 및 시험계획의 검토 또는 실시

3) 품질관리 요원 교육

4) 품질기록 관리

5) 부적합 사항 관리

6) Wintness Point와 Hold Point 결정

7) 하도급자 품질관리의 감시 및 확인

3. 작업지침 및 절차

3.1. 일반사항

3.1.1. 내장재료는 미리 견본품을 제출하여 재질, 형상, 치수, 색깔 및 마무리 등에 대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받는다. 한국공업규격에 있는 것은 이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준불연재료, 난연재료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설부장관이 인정한 것으로 한다.

3.1.2. 내장재료의 종류, 형상, 치수, 및 제조자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특기시방에 따른다.

3.1.3. 동일 마무리를 2개사 이상이 시공하는 경우는 시공구분을 확실히 해둔다.

3.1.4. 내장재료의 운반 및 현장반입후의 보관은 특히, 구석, 모서리 및 표면의 오염 방지에 유의하고 건조한 곳에 정돈하여 보관한다.

3.1.5. 내장재료의 조정 완료후에는 파손, 오염의 우려가 있는 것은 종이, 천, 목재 등 을 사용하여 보양한다.

3.2. 시험 및 기록관리

재료 시험 및 아래와 같은 사항들에 대한 기록이 유지되어야 한다.

1) 시방과 일치하는 자재의 공급

2) 취급 및 보관

3) 기타 관련 검사 및 시험

3.3. 규격기준

3.3.1. 강압석면 시멘트 평판(밤라이트)의 품질기준

판두께 (mm)

휨파괴하중

kg f (N)

내충격성

내특수성

흡수에 의한

길이 변화율(%)

3

20(196.1)이상

균열 및 파괴가

생기지 않을것

이면이 심히 젖어 있지 않을것

0.20 이하

4

35(343.2)이상

5

50(490.3)이상

6

70(686.5)이상

8

120(1,176.8)이상

3.3.2. 방수처리 석고판의 허용오차는 두께는 ±0.5mm, 나비는 ±3mm 이내, 길이는 ±3mm 이내로 한다.

3.3.3. 석고판의 허용오차

구 분

허용오차

석고판 이음부분

±1mm 이내

석고판과 창호의 틈

±1.5mm 이내

석고판의 턱짐 허용차

±2mm 이내

천정몰딩의 수평허용차

±2mm 이내

3.3.4. 건축물에 사용하는 단열재 두께 기준

단열재의 종류

지역

건축물 부위

암면(광석면),유리면

난열성발폴리스틸렌폼,

요소발포보온재

(단위:mm)

기타재료:열전도저항이 다음의 값에 해당하는 재질의 두께일 것 (단위:㎡h℃/㎉)

거실의 외벽,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외기에 접하는 바닥을 포함)

중부

50이상

1.6이상

남부

40이상

1.25이상

제주도

30이상

1.0이상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중부

80이상

2.5이상

남부

60이상

1.9이상

제주도

40이상

1.25이상

공동주택의 측벽

중부

70이상

2.2이상

남부

50이상

1.6이상

제주도

40이상

1.25이상

3.4. 재료기준

3.4.1. 석고판은 아래 규격에 합격한 것을 사용한다.

규격번호

명칭

KSF 3504

석고판

KSF 3503

흡수용 구멍 석고판

KSF 3512

방수처리 석고판

3.4.2. 방수처리 석고판의 4면은 직각이 되어야 하고 색상은 연한 푸른색으로 한다.

3.4.3. 암면 합지판 (타공암면보온, 단열)

(1) 마감재는 석고판으로 ⓣ 9X1, 000X2, 420mm의 규격품을 사용한다. 단, 초고층의 16층 이상분은 ⓣ 9X1, 000X2, 620mm의 주문품을 사용한다.

(2) 단열재는 암면 (KSF 4701)으로 밀도 50kg/㎡에 규격은 500X1, 000mm를 사용한다. 또한 단열재는 75X75mm Hole-Punching된 암면(홈맷트)을 사용한다.

(3) 지지봉 (표면 모래코팅된 스치로폴)은 비중 0.02g/㎠, 두께 25, 45, 75mm의 스치로폴을 80X80mm로 재단하여 사용한다.

(4) 접착제는 석고판과 같은 재질의 무수석고분말을 사용한다.

3.4.4. 비닐무석판 타일은 KSM 3802에 의한 규격품을 사용한다.

3.5. 시공기준

3.5.1. 밤라이트 시공시 사용하는 못은 아연도금, 유니크롬도금 또는 이상의 재질로 녹슬지 않아야 한다.

3.5.2. 석고판 시공

(1) 석고판 시공시 사용하는 못은 아연도금, 유니크롬도금 또는 동등 이상의 재질로 녹슬지 않아야 하며 간격은 15cm 내외로 시공한다.

(2) 석고판 시공전 벽면에 본드를 붙일 때는 45cmX25cm 간격, 직경 9cm 정도 두께는 소요 두께의 2배 정도되게 점찍어 수평이 되게 붙인 다음 3시간 이내에는 충격이나 힘을 가하여서는 안된다.

(3) 석고본드의 혼합은 시공이 좋도록 반죽하되 본드의 경화속도가 빠르므로 1시간 정도 작업할 물량만큼만 물로 적당히 개어 놓는다.

(4) 석고판의 절단은 전동식 절단기 또는 나이프를 사용하여 정확히 절단하며 절단면이 부정형인 경우에는 줄질하여 평활하게 마무리한다.

(5) 석고판에 못박기를 할 때에는 판의 표면과 못머리가 가지런히 될 정도까지 충분히 박는다.

(6) 천정 석고판은 중앙부분에서 시작하여 사방으로 향하여 붙여 나간다.

(7) 벽 또는 간막이 석고판은 이음, 쪽대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하고 줄눈바르고 두드러짐이나 턱솔 등이 없도록 하고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붙여 나가되 끝단 이음수를 최소로 하도록 판의 길이를 가능한 한 크게 정해야 한다.

(8) 아음은 맞댄이음을 피하고 특히 천정판은 맞댄이음이 최소가 되도록 판의 크기를 정해야 하며 천정틀재의 수평허용오차는 3mm에서 6mm 이내가 되도록 하고, 턱짐은 2mm이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3.6. 시험 및 검사기준

3.6.1. 관련규격

① 강압석면 시멘트 평판 (밤라이트) - KSF 3210

② 발포폴리스틸렌폼 (제조회사별 1,000매마다 1회)

가. 밀도시험 - KSM 3808

나. 열전도율 시험 - KSM 2264

다. 내압시험, 흡수시험, 연소시험 - KSM 3808

③ 비닐무석면타일 (10,000매마다 1회)

가. 치수안정성, 굴곡, 가열 및 충격시험 - KSM 3802

④ 보통합판 - KSF 3101

⑤ 석고판 - KSF 3504

⑥ 흡음용 구멍 석고판 - KSF 3503

⑦ 방수처리 석고판 - KSF 3512

⑧ 암면 - KSF 4701

3.6.2. 비닐 무석면 타일은 LOT 번호별로 보관 및 시공함을 검사하여야 한다.

3.7. Check List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계획수립규정  (0) 2012.03.09
주주총회의사규정  (0) 2012.03.03
운반차량 세차규정  (0) 2012.02.26
철재창호공사 지침서  (0) 2012.02.24
인사사무 처리규정  (0) 2012.0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