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작성, 검토 및 승인

? 문서 식별

? 관 리 본

Q P -

? 비관리본

관리처 :

? 본 품질지침서는 강하넷의 품질경영 방침에 따라 다음 책임자에 의해 작성(개정), 검토 및 승인이 되어야 효력이 있다.

구 분

부 서 명

직 책

성 명

서 명

일 자

작성(개정)

관리부

업무과장

04. 04. 01.

검 토

품질부

부 서 장

04. 04. 01.

승 인

품질경영대리인

04. 04. 01.

? 합 의

부 서 명

관리부

품질개발실

영업부

성 명

서 명

일 자

04. 04. 01.

04. 04. 01.

04. 04. 01.

? 회 람

성 명

서 명

일 자

성 명

서 명

일 자

B. 목차 및 개정 현황

번호

개정일자

개정내용

Rev.1

Rev.2

Rev.3

Rev.4

Rev.5

Rev.6

Rev.7

Rev.8

Rev.9

Rev.10

골재공극율측정시험지침서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골재의 공극율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2. 공극율

골재의 빈틈은 다음식으로 구한다.

여기에서 A : 비중 [3.1및 3.2의 방법으로 측정된 골재의 비중]

0.999 : 표준온도 17℃에서의 물 1입방미터의 중량 0.999t/㎥

(주) 정확한 값을 구할려면 단위용적의 쭝량을 표면 건조포화 상태의 중량으로 해야 한다.

3. 시 험

골재의 비중과 중량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3.1. 잔골재의 비중

SWS-F-315(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에 따른다.

3.2. 굵은골재의 비중

SWS-F-317(굵은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방법)에 따른다.

3.3. 골재의 단위중량

SWS-F-311(골재의 단위중량 시험방법)에 따른다.

골재 표면수 측정일지

담 당

실 장

규 격

시 험 일 자

로 트 번 호

검 사 자

1. 측정내용 (적외선 수분계)

순 서

측정시간 (g)

시료의 중량(g)

표 면 건 조

포화시온도 (℃)

실중량 (g)

표면수 (%)

비 고

2. 측정내용

순서

측정시간

용기중량

용기 + 물

(WC)

용기 + 물

+ 시료 (W)

시료중량

(WS)

배제되는

물의무게

(VS)

시료중량/

포화상태

비중

실험실

표면수

측정치

비고

시 료 중 량

Vd = ━━━━━━━━━━━━━━ =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비중

'문서 및 자료 ★… > [업 무 양 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사일정표  (0) 2012.04.25
WS 품평회 CHECK LIST  (0) 2012.04.24
입찰결과보고서  (0) 2012.04.20
통신설비공사 체크리스트  (0) 2012.04.19
월 판매계획서  (0) 2012.04.18

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시험실팀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슬럼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주) 이 시험은 비소성이나 비점서인 콘크리트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콘크리트 중에 크기가 50㎜이상인 굵은골재가 상당량 함유되어 이는 경우에는,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2. 시험용 기구

2.1. 슬럼프 콘

공시체 성형용 슬럼프 콘은 시멘트 풀에 쉽사리 침식되지 않는 금속제로서 밑면의 안지름 이 20㎝, 윗면의 안지름이 10㎝, 높이가 30㎝인 절두 원추형으로 된 것이다. 밑면과 윗면은 뚫려 있고 서로 평행이어야 하며, 원추의 축에 직각이어야 하며, 안지름과 높이의 허용오차는 ±3㎜이내이다.

2.2. 다짐대

다짐대는 지름이 16㎜, 길이가 60㎝인 곧은 원형강봉으로, 그 한쪽 끝은 지름16㎜의 반구형 으로 둥글게 되어 있어야 한다.

3. 시 료

공시체를 만들 콘크리트 시료는 그 배치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시료는 SWS-F -325(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방법)에 따라서 채취하여야 한다.

4. 시험방법

4.1. 슬럼프 콘을 젖은 걸레로 닦은 후 평평하고 습한 비흡수성의 단단한 평판 위에 놓고, 콘크리트를 채춰 넣을 동안, 두개의 발판을 디디고서서 움직이지 않게 그 자리에 단단히 고정시켜야 한다. 3.에 합치되록 채취한 콘크리트 시료를 즉시 슬럼프 콘 요적의 약 1/3씩 되도록 3층으로 나누어 채운다.

(주) 슬럼프 콘 용적의 처음 1/3은 바닥에서 7㎝, 다음의 1/3은 16㎝까지 채우면 된다.

4.2. 각 층을 다짐대로 25회씩 단면 전체에 골고루 다진다. 최하층에 대해서는 다짐대를 약간 기울여서 다짐 횟수의 약 절반을 둘레에 따라 다지고, 그 다음에 다짐대를 수직으로 하여 중심을 향해서 나선상으로 다져 나간다. 최하층은 전 깊이를 다지고 둘째층과 최상층은 각각 그 층의 깊이만 다지는데 그 아래층을 약간 관입할 정도로 다진다.

4.3. 최상층을 채워서 다질 때는 콘크리트를 슬럼프 콘 위에 높이 쌓고서 다지기 시작한다. 만일, 다져서 콘크리트가 슬럼프 콘의 상단보다 아래로 낮아지면 콘크리트가 슬럼프 콘 윗면의 위에 있도록 여분의 콘크리트를 추가하여 넣는다. 최상층을 다 다졌으면 콘크리트로 부터 조심성 있게 수직 방향으로 벗긴다.

(주) 슬럼프 콘을 벗기는 작업은 5초 정도로 끝내야 하며, 콘크리트에 가로 방향 운동이나, 비틀림 운동을 주지 않도록 조용히 위 방향으로 들어 올려야 한다. 몰드에 채우기 시작해서 벗길 때까지 전 작업 중단함이 없이 2분 30초 내로 끝마쳐야 한다.

4.4. 전항의 작업이 끝난후 공시체가 충분히 주저 앉은 다음, 슬럼프 콘의 높이와 공시체 밑면의 원중심 부터의 공시체 높이와의 차를 ㎝단위 (0.5㎝의 정밀도)로 구하여 슬럼프를 정한다. 만일, 거의 다 무너져 버리거나 또는 콘크리트의 한 면이나 부분이 전단되어 떨어지거나 하면 그 시험치는 버리고, 시료의 다른 부분을 재시험 한다.

(주) 슬럼프 시험을 끝낸 즉시 다짐대로서 콘크리트의 측면을 가볍게 두들겨서 그 모양을 보는 것은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판단하는데 좋은 참고가 된다. 한 콘크리트의 시료에 대하여 2회 연속 시험하여 다 무너져 버리거나 또는 공시체 덩어리로부터 콘크리트의 일 부분이 떨어지거나 하면, 그 콘크리트는 필요한 소성과 점성이 결핍되어 있는 것이다.

5. 기 록

다음 사항에서 필요한 사항을 기록하여야 한다.

5.1. 일시

5.2. 날씨

5.3. 기온

5.4. 배치번호

5.5.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5.6. 콘크리트의 온도

5.7. 슬럼프

5.8. 기타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멘트의 표준주도 시험방법  (0) 2012.04.07
여비규정절차서  (0) 2012.04.02
잔골재규격  (0) 2012.03.28
공사현장관리절차서  (0) 2012.03.27
스톡옵션에 관한 계약서  (0) 2012.03.20

운반차량 세차규정

1. 적용범위

이 규정은 당사에 보유하고 있는 콘크리트 운반설비(이하 운반차라 함)의 세차에 대하여 규정한다.

2. 세차시설

2.1. 운반차의 세차설비는 운반차에 부속된 물탱크 세차호스 및 노즐을 사용한다.

2.2. 공장내에 콘크리트 급수대와 세차장을 설치하여야 한다.

2.3. 급수대와 세차장 시설은 운반차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3. 업무분담

3.1. 운반차의 세차 업무는 운전원이 전담하여 시행한다.

3.2. 세차는 현장 타설후의 세차와 공장에서의 세차로 구분 시행한다.

4. 세차방법

4.1. 운전원은 믹서탱크 내부를 깨끗이 세척하고 회전하여 내부의 불순물 및 잔류수를 완전히 배출한후 콘크리트를 적재하여야 한다.

4.2. 콘크리트를 적재한 후 운반차의 홉바는 반드시 세척용 분사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급수용 호스로 세척해서는 안된다.

4.3. 현장에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 믹서탱크의 물을 사용 믹서탱크에 주입하여 1 ~ 2분동안 회전시키며 2 ~ 3회 반복하여 내부를 완전히 세척하여야 한다.

4.4. 작업 완료후 공장에 복귀하여 차량 전체를 깨끗이 세차하고 동절기 때는 동파

에 주의한다.

5. 세차시설 관리

5.1. 콘크리트 운반차의 세차 설비중 급수대와 세차장의 관리담당자는 매일 점검을 실시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주총회의사규정  (0) 2012.03.03
수장공사지침서  (0) 2012.03.02
철재창호공사 지침서  (0) 2012.02.24
인사사무 처리규정  (0) 2012.02.22
잡공사 지침서  (0) 2012.0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