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작성하는 견적서는 대부분의 내역이 비슷하고 단가 또한 비슷합니다.
적용하는 단가를 한 파일에서만 관리하고 모든견적서에 적용될 수 있어야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견적서의 양식은 세로형식, 가로형식 2가지 형식으로 되어 있어 어떠한 형태든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단가표에 저장된 품명, 규격, 단위, 단가를 자동으로 찾아와 내역서를 작성하는 시간을 절약할 뿐만아니라 단가의 입력오류를 차단합니다.
적용하는 단가는 4종류를 설정할 수 있어 실행가, 예산가, 견적가 등 다양한 견적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가로견적서(견적서)
(1)우측의 사용자회사 및 고객회사명, 견적조건을 입력하세요.
(2)[내역에서찾아보기] 버튼을 누르면 내역서에 작성된 내용의 소제목 내용만 찾아옵니다.
(3)19행이하의 값은 {내역서} 시트에 작성된 내용을 찾아 옵니다.
     합계, 이윤 등의 내용,값 등은 사용자에 맞게 사용하세요.
(4)[송부용파일저장] 버튼을 누르면 견적번호와 같은 파일명으로 저장됩니다.
     이 때의 파일은 {견적서} 시트와 {내역서} 시트만 새로운 파일로 저장됩니다.
     저장폴더는 본 파일위치와 동일한 폴더입니다.
(5)[견적서새로작성]을 누르면 {견적서}{내역서}{내역작성}의 내용을 지웁니다.
(6) (B11,H11)셀의 값도 사용자에 맞게 설정하세요. 셀-설정에서 변환가능

 

 

 

내역작성 (내역서 작성 및 변경하는 시트)
(1)입력은 6행 소제목부터 작성하세요. 글자 색깔이 청색인 셀만 합니다.
(2)소제목별로 내역을 작성하고, [내역서로작성하기] 버튼을 누르면 견적서 및 내역서 시트에 저장이 됩니다.
(3)단가는 4가지 종류(ABCD단가)로 입력 가능합니다. 실행가, 예산가, 견적가 등…
    사용전에 {단가표} 시트에서 단가를 입력 하세요.
(4)품명만 입력하면 수량 셀은 자동으로 1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수정사용
(5)단가, 금액 및 합계 셀은 자동으로 계산/저장이 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6)B5셀의 소제목을 선택하고 [내역서에서찾아보기] 버튼을 누르면 {내역서}시트에 작성된 내용을 찾아옵니다.
(7)찾아온 내용을 수정 또는 내용 추가하고 [내역서에작성하기] 버튼을 누르면 변경하여 저장합니다.
(8)적용하여야할 단가는 F3셀에서 선택하세요. 표시된 단가가 항상 적용됩니다.
(9)작성도중 다른 적용단가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용단가(F3)셀을 변경하고 [함수넣기단가변경] 버튼을 누르세요.
(10)작성행수(G3)는 7 이상 입력하여야 합니다. [새로작성][함수넣기단가변경]을 클릭시 작성행수(행) 만큼 수식이 입력됩니다.
(11)작성도중 작성행수를 추가할 경우에도 작성행수를 입력하고 [함수넣기단가변경]을 누르면 추가로 수식이 입력됩니다.
      단, 내역서에서 찾아온 내역은 함수로 변경되지 않습니다.

 

 

 

 

 

내역서
(1)내역작성 시트에서 작성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입니다.
(2){내역서} 시트에는 각 소제목별로 3행씩 빈 행으로 구분하여 저장됩니다.
(3)소제목행은 굵은글자로 입력되어 찾기가 쉽도록 되어 있습니다.
(4)인쇄시는 1행부터 5행까지(제목줄)는 매 페이지마다 인쇄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페이지번호가 인쇄됩니다. (페이지/총페이지)
(5)만약 L열의 단가 또는 다른 열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열숨기기를 하세요.
    삭제금지
(6)각 셀의 너비, 높이는 사용자에 맞게 조정하세요.

 

단가표
(1)품명, 규격, 단위, A단가(D단가)를 입력 하십시오.
(2)모든 내용을 입력하였으면 [설정하기]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
     [설정하기] 버튼을 눌러야 {내역작성} 시트에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3)B단가 및 C단가는 %만 입력하시면 기준단가(A단가)보다 (설정값)% 높은 금액으로 설정합니다.
     D단가는 직접 작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비워 두었습니다.
(4)[설정하기] 버튼을 누르면 입력된 값은 품명을 기준으로 정렬합니다.
(5)같은 품명에 규격이 다른 경우에는 반드시 규격명을 입력하여 주세요.
(6)사용할 견적서 양식을 F2셀에서 설정하세요.

 

등록 시트
(1)최초의 비밀번호는 kangha 로 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및 비밀번호를 등록하시고 사용하세요. 등록한 내용은 변경불가하니 잘 기억하셔야 합니다.
(2)등록하지 않으면 파일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파일을 사용전 등록하여야 합니다.
(3)파일은 시트숨기기, 시트보호, 통합문서보호 등 3중으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등록시트는 등록이 완료되면 볼수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업무 향상 ★… > 【 엑셀견적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적서  (0) 2010.03.17
견적서  (0) 2009.12.04
공사용견적서  (0) 2009.09.17
공사내역서 작성(무료다운로드)  (0) 2009.06.30
견적서(무료다운로드)  (0) 2009.06.13

 

 

 

매일 또는 자주 발생하는 거래건에 대해서 발생시마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월별로 정리하는 개념으로 되어 있습니다.
거래내역으로 작성한 내역은 바로 세금계산서로 출력할 수 있으며, 기간별로 내역을 추려볼 수도 있습니다.
거래내역 및 수금내역의 기간별, 거래처별, 품목별로 거래내역서를 분류할 수 있으며 내역의 집계는 월단위로 계산합니다.
수금액의 입력은 여러건을 한번에 받았더라도 일괄로 입력합니다. 여러건을 합하여 수금을 하게되면 정리자체가 어려웠으나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수금입력은 마지막건이 완불이 되지 않으면 납부금액만큼만 입력됩니다. 차후 수금시 이전 받은금액을 합하여 처리합니다.
세금계산서를 작성하고 발행한 세금계산서를 기간별, 거래처별, 품목별로 분류합니다.
세금계산서는 공급받는자 보관용만 작성하면 공급자보관용까지 작성되며, 인쇄는 A4 용지로 하면 됩니다.
내역서 및 세금계산서는 같은번호로 저장을 하면 수정 저장이 됩니다. 작성시 설정된 거래처의 데이터 및 품목/규격의 데이터를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관리대장 및 설정에서의 일부 값을 입력시 중복내용을 체크하여 중복작성을 방지 합니다.
부도처리된 내역은 관리대장 시트에서 별도로 빼내어 관리할 수 있습니다.

 

 

 

관리대장
1. 9핼이하에 거래내역을 작성하세요. 여기에 작성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거래내역서/세금계산서 등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거래처와 품목은 {설정}시트에서 작성되지 않은 거래처/품목을 입력하면 글자의 색깔이 희미하게 표시됩니다.
3. 물품대금을 수금하였을 경우 (자동 분할 입력함)
   (1)거래업체명(D5셀) 입력
   (2)수금액/일자(D6,E6셀) 입력
   (3)[수금입력] 버튼을 누른다.
   (4)입금일자가 2회이상으로 분할하여 수금한 경우에는 마지막 날자만 기록합니다. 필요시 옆 셀등에 기록관리하시기 바랍니다.   
4. 거래업체별로 찾아보기
   (1)거래업체명(D5셀) 입력
   (2)거래일자(D7,E7셀) 입력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면 1개월 단위로 입력됩니다)
   (3)[찾기] 버튼을 누른다.
   (4)[모두보기] 버튼을 누르면 처음 상태로 전부가 보여집니다.
5. 내역서로 작성하기
   (1)거래업체명(D5셀) 입력
   (2)거래일자(D7,E7셀) 입력 ([화살표] 버튼을 이용하면 1개월 단위로 입력됩니다)
   (3)[내역서작성] 버튼을 누른다.
   (4)내역서의 작성번호는 자동으로 부여됩니다. 회사명(2자리)-년월-일련번호
6. 내역을 삭제할 경우 (더 이상의 데이터를 관리할 필요가 없을 경우. 년간단위로 관리하면 좋습니다)
  (1)Q열에 "o"를 입력하고 [내역삭제'를 누른다. (전체 행을 선택하여 삭제하여도 됩니다)
  (2)회사가 부도가 발생한 경우에는 거래업체명을 입력하고 [부도처리] 버튼을 누르면 관련데이터는 {부도처리내역목록} 시트로 이동합니다.

 

 

 


거래내역서
1. [거래기간설정]의 좌측[화살표]를 누르면 기간이 1개월 단위로 변경됩니다.
2. [입력하기] : 내역을 작성하고 저장할 경우나 수정하여 저장할 경우에 누른다.
3. [찾기] : 이미 저장된 데이터를 찾아볼 경우에 사용하며,
     찾는 기준은 내역서작성일련번호(거래처명,거래기간)을 기준으로 찾습니다.
4. 찾기할 경우, 우측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순서대로 번호를 입력합니다.
5. [세금계산서작성] : 이 시트의 내용을 세금계산서로 작성할 경우 누릅니다.
6.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에는 출력전에 항상 [입력하기] 버튼을 눌러 주세요.
    ({세금계산서}시트도 마찬가지임)

 

 

 

내역서목록
1. 이 목록은 {거래내역서} 시트에서 [입력하기]를 누르면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2. 거래내역의 시작일자와 종료일자를 참고하여 추가 내역서를 작성하세요.
3. 수량과 단가는 거래내역서의 맨 상단에 있는 값입니다.

 

 

부도처리내역목록
1. {관리대장} 시트에서 [부도처리]를 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시트입니다.

 

 

 

 

 

 

내역분류
1. 구분(기간별, 거래처별, 품목별)을 선택하십시오.
2. 기간을 입력하세요. 기간내의 모든데이터를 추출합니다.
3. 구분2(거래내역,수금내역,미수금내역)을 선택하세요.
4. 품목별 및 거래처별의 경우에는 거래처, 품목별로 합계를 계산합니다.
5. 임의의 기간을 입력하면, [구분하기]를 버튼을 누르세요.

 


내역통계
1. [화살표] 버튼을 눌러서 해당년도를 선택하세요
2. [실행하기]를 누르면 거래처별로 월별 집계를 볼수 있습니다.

 

 


세금계산서
1. 세금계산서를 작성, 수정, 찾기,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공급받는자보관용"만 작성 하십시오.
    시트보호 되어 있어서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셀은 클릭되지 않습니다.
3. 공급받는자는 상호만 입력하시면 나머지 데이터(번호,주소,대표자,업태,종목 등)는
    자동으로 찾아 옵니다.
4. 작성일자와 품목,수량,단가,금액만 입력하십시오.
   {설정} 시트에서 단가를 입력하였다면 단가는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5. "청구", "영수"를 선택하십시오!!!!!!!
6. 만약 세율이 "영세율"일 경우에는 비고란에 "영세율" 입력
7. 공급자 및 공급받는자의 설정은 {계산서설정} 시트에서 하여야 합니다.
8. 입력 내용을 모두 작성 후에는 [저장하기]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9. [새로작성] 버튼을 누르면 일련번호는 목록에 저장된 다음 번호로 자동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10.[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저장된 데이터를 찾아 옵니다.
11.[품목규격입력제한]을 누르면 품목과 규격의 입력은 {설정}시트에 입력된
     값만 사용할 경우이고, [품목규격제한해제]는 품목과 규격을 직접 입력할 경우이다.

 

 

 

 

 


세금계산서분류
1. 구분(기간별, 거래처별, 품목별)을 선택하십시오.
2. 기간을 입력하세요. 기간내의 모든데이터를 추출합니다.
3. 품목별 및 거래처별의 경우에는 거래처, 품목별로 합계를 계산합니다.

 


세금계산서목록
1. [번호별]을 누르면 작성된 건수를 나타냅니다.
2. [발행품목별]을 누르면 세금계산에 작성된 각 품목별로 전부를 추출합니다.

 


설정
1. 사용자(공급자), 거래처(공급받는자) 및 제품, 규격, 단가의 내용을 입력하는 곳입니다.
2. 이 시트에 입력하여야만 세금계산서 시트에서 내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3. 샘플삭제 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샘플을 모두 삭제합니다. 버튼도 함께 삭제합니다.
4. 여기에 작성된 단가는 품명, 규격을 파악하여 세금계산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규격을 입력할 경우에는 반드시 품명을 입력하여야 합니다.


다운로드는 www.kangha.net 을 참조하세요

레 디 믹 스 트 콘 크 리 트

1. 적용 범위

이 규격은 www.kangha.net 에서 제조되어 주문자에게 운반되는 굳지않는 콘크리트에 대하여 규정한다.

다만, 운반 후의 치기및 양생에 대하여는 규정하지 않는다.

비고 : 이 규격중 { }를 붙여 표시한 단위및 수치는 CGS단위계(㎏f/㎠)에 따른것으로서 참 고로 명기한 것이다.

2. 재 료

2.1. 시멘트

시멘트는 다음중의 규격에 적합한것 또는 동등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KS L 5201 (포틀랜트 시멘트)

KS L 5210 (고로 슬래그 시멘트)

KS L 5401 (포틀랜트 포졸란 시멘트)

KS L 5211 (플라이 애시 시멘트)

2.2. 골 재

골재는 깨끗하고 단단하며 내구적인 것으로 적당한 입도를 가지며 점토덩어리, 유기물, 가늘고 긴 돌조각등의 해로운 양을 포함해서는 안되며 KSF 2526(콘크리트용 골재), KSF 2527(콘크리트용 부순돌), KSF 2534(구조용 경량골재), KSF 2544(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굵은골재), KSF 2558(콘크리트용 부순 모래), KSF 2559(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잔골재)에 따라 시험하였을때, 0.04%이하이어야 한다. 0.04%를 초과한것에 대해서는 주문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다만, 그 한도는 0.1%를 초과할 수 없다.

또한, 다른종류의 골재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합하는 골재의 종류 및 그 비율을 표시한다.

2.3. 사용수

EP-D-204(사용수)에 따른다.

2.4. 혼화재료

콘크리트 및 강재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화학혼화제, 방청제, 팽창제 및 플라이애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규격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KS F 2560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KS F 2561 (철근 콘크리트용 방청제)

KS F 2562 (콘크리트용 팽창제)

KS L 5405 (플라이애시)

3. 종 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종류는 보통 콘크리트, 경량 콘크리트로하고,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슬럼프및 호칭강도를 조합한 표1에 표시한 ○표인 것으로 한다.

또한, 다음사항은 구입자의 요구에 따라 구입자와 생산자가 협의하여 지정한다.

(1) 시멘트의 종류

(2) 골재의 종류

(3)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4) 혼화재료의 종류

(5) 4.2.에 정한 염화물 함유량의 상한치와 다른경우는 그 상한치

(6) 호칭강도를 보증하는 재령

(7) 표3에 정한 공기량과 다른경우는 그 값

(8) 경량 콘크리트의 경우는 콘크리트의 단위용적 중량

(9) 콘크리트의 최고 또는 최저온도

(10) 물-시멘트비의 상한치

(11) 단위수량의 상한치

(12) 단위시멘트량의 하한치 또는 상한치

(13) 유동화 콘크리트의 경우는 유동화전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에서 슬럼프의 증대량

(14) 그외 필요한 사항

비고 : (1) ~ (6)의 항목에 대하여는 이 규격이 정하고 있는 범위로 지정한다.

표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종류

콘크리트의 종류

굵은골재의 종류

슬럼프

호 칭 강 도 (N/㎟) {㎏f/㎠}

16

18

21

24

27

30

35

40

휨4.0

휨4.5

{160}

{180}

{210}

{240}

{270}

{300}

{350}

{400}

{40}

{45}

보 통

콘 크

리 트

20, 25

8,10,12

-

-

15,18

-

-

-

21

-

-

-

-

-

-

40

2.5,6.5

-

-

-

-

-

-

-

-

5

-

-

-

-

8

-

-

-

-

12,15

-

-

-

-

경 량

콘 크

리 트

15, 20

8,12,15

18,21

-

-

-

-

-

비고 1. 호칭강도는 설계기준 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2. 콘크리트 펌프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때는 슬럼프 15㎝이상의 콘크리트 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기초 겅사구조물등 복수한 경우에는 예외로 할수 있다.

4. 품 질

4.1. 강도, 슬럼프 및 공기량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강도, 슬럼프및 공기량은 배출지점에서 다음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4.1.1. 강도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강도는 8.4에 규정하는 강도시험을 한경우 다음규정에 만족 시키는 것이어야 한다.

강도시험에서 공시체의 재령은 지정이아닌 경우 28일, 지정이있는 경우는 구입자가 지정한 일수로 한다.

1) 1회의 시험결과는 구입자가 지정한 호칭강도 의 85%이상이어야 한다.

2) 3회의 시험결과 평균치는 구입자가 지정한 호칭강도의 이상이어야 한다.

N/㎟{㎏f/㎠}로 표시한 값이다.

4.1.2. 슬럼프

슬럼프는 표 2에 따른다.

표 2 슬럼프의 허용차

슬 럼 프

슬 럼 프 의 허 용 차

2.5

± 1

5 및 6.5

± 1.5

8 이상 18 이하

± 2.5

21

± 3.0

4.1.3. 공기량

공기량은 표 3에 따른다.

표 3 공기량의 허용차

콘크리트의 종류

공 기 량

공기량의 허용차 %

보통 콘크리트

4.5

± 1.5

경량 콘크리트

5.0

4.2. 염화물 함유량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염화물함유량은 배출지점에서 염소이온(Cl ̄)량으로서 0.30㎏/㎥ 이하이어야 한다. 다만, 구입자의 승인을 얻은 경우에는 0.60㎏/㎥이하로 할 수 있다.

5. 용 적

레디믹스트 콘크르트의 용적은 배출지점에서 납입서에 기재한 용적보다 적어서는 안된다.

6. 배 합

6.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배합은 구입자와 협의하여 3.에서 지정한 사항 및 4.에 정한 품질을 만족하고, 또 9.에 규정한 검사에 합격하도록 생산자가 정한다.

6.2. 생산자는 표 5에 표시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배합보고서를 구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제출은 원칙적으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배달에 앞서서 한다.

6.3. 생산자는 구입자의 요구가 있으면 배합설계, 콘크리트에 함유된 염화물 함유량등의 계산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시하여야 한다.

7. 제 조

7.1. 제조설비

7.1.1. 재료 저장 설비

(1) 시멘트의 저장설비는 종류별로 구분하여 풍화를 방지할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2) 골재의 저장설비는 종류, 품종별로 칸을막아 크고 작은 골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바닥은 콘크리트등으로 하고 배수시설을 하여야 하며,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콘크리트 최대 출하량의 1일분 이상에 상당하는 골재를 저장할수 있는 것이 어야 한다.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골재에 살수하는 설비를 갖출 필요가 있다.

(3) 골재의 저장설비및 저장설비에서 배치플랜트까지의 운반설비는 균등한 골재를 공 급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4) 혼화재료의 저장설비는 종류, 품종별로 구분하고 혼화재료의 품질에 변화가 생기 지 않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7.1.2. 배치 플랜트

(1) 플랜트는 원칙적으로 각 재료를 위한 별도의 저장빈을 구비하여야 한다.

(2) 계량기는 7.2에 규정하는 오차로 각 재료를 계량할수 있는 정밀도를 가진것이어야 하

며 또 계량한 값을 위와같은 정밀도로 지시할수있는 지시계를 구비하고 있어야한다.

(3) 모든 지시계는 조작원이 볼수있는 곳에 있고 계량기는 조작원이 쉽게 조작할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4) 계량기는 서로 배합이 다른 콘크리트의 각재료를 연속적으로 계량할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5) 계량기에는 잔골재의 표면수량에 따른 계량치의 보정을 쉽게 할수 있는 장치가 구비 되어 있어야 한다.

7.1.3. 믹서

(1) 믹서는 고정믹서로 한다.

(2) 믹서는 소정 슬럼프의 콘크리트7.3.2에 따라 규정한 용량으로 혼합할때 각 재료를 충분 히 혼합시켜 균일한 상태로 배출할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믹서는 소정용량을 소정시간에 혼합하여 KS F 2455(믹서로 비빈 콘크리트중의 굵은골재량의 변화율(차)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 값이 아래에 표시한 값 이하이면 콘크리트를 균등하게 혼합시킬 성능을 갖고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콘크리트중의 모르타르와 단위용적 중량의 차 --------------- 0.8%

콘크리트중의 단위굵은 골재량의 차 ----------------------- 5%

7.1.4. 운반차

(1) 콘크리트 운반차는 트럭믹서 또는 트럭 애지데이터를 사용한다. 운반차는 혼합한 콘크 리트를 충분히 균일하게 유지하고 재료분리를 일으키지 않고 쉽고도 완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콘크리트의 의 부분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슬럼프시험을 하였을 경우, 양쪽의 슬럼프의 차가 3㎝이내가 되는 것이어야 한다.

이 경우에는 출하되는 콘크리트 흐름 개개부분의 전단면을 끊도록하여 시료를 채 취한다.

(2) 덤프트럭은 슬럼프 2.5㎝의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할수 있다. 덤프트 럭의 적재함 바닥은 평활하고 방수직인 것으로하고 필요에 따라 비바람등에 대한 보 호를 위해 방수덮개를 갖춘것으로 한다.

7.2. 재료의 계량

7.2.1. 시멘트, 골재, 물및 혼화재료는 각각 별도의 계량기로 계량한다.

7.2.2. 시멘트의 계량은 무게로하고 그 계량오차는 1회 계량무게의 1%이내이어야 한다.

7.2.3. 골재의 계량은 무게로하고, 그 계량오차는 1회 계량무게의 3%이내이어야 한다.

7.2.4. 물의 계량은 무게 또는 부피로하고 그 계량오차는 1회 계량무게의 1%이내이어야 한다.

7.2.5. 혼화재의 계량은 무게로하고 그 계량오차는 1회 계량무게의 2%이내이어야 한다. 만약주문자의 허락이 있으면 포대수로 계량해도 좋다. 다만, 1포대 미만인 경우에는 반드시 무게로 계량하여야 한다.

7.2.6 혼화재는 용액으로 사용하고 무게 또는 부피로 계량하며 그 계량오차는 1회 계량분량의 3%이내 이어야 한다.

7.3. 혼 합

7.3.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는 7.1.3에 규정하는 믹서로 공장내에서 균일하게 혼합한다.

7.3.2. 콘크리트의 혼합량및 혼합시간은 KS F 2455에서 규정한 시험을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7.4. 운 반

7.4.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운반은 7.1.4에 규정하는 운반차로 한다.

7.4.2. 트럭믹서나 트럭애지데이터를 사용할경우, 콘크리트는 혼합하기 시작하고나서 1.5시간 이내에 공사지점에 배출할수 있도록 운반하여야 한다. 다만, 주문자의 지시가 있을때는 운반시간의 한도를 단축 또는 연장할수 있다.

7.4.3. 덤프트럭으로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경우, 운반시간의 한도는 혼합하기 시작하고나서 1시간 이내로 한다. 공사지점에서 배출할때 콘크리트 표면에서 인 부분에서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슬럼프 시험을 하였을경우 그 양쪽의 슬럼프 차가 2㎝이상 되어서는 안된다.

보기를 들면 더운 여름철에는 운반시간의 한도를 짧게하는 것이 좋다.

7.5. 품질관리

7.5.1. 생산자는 4.에 규정하는 콘크리트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필요한 품질관리를 하여야 한다.

7.5.2 생산자는 주문자의 요구가 있으면 품질관리의 시험결과를 제시하여야 한다.

8. 시험 방법

8.1. 시료 채취방법

시료 채취방법은 KS F 2401(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방법)에 따른다. 다만 배출지점에서 베이스콘크리트의 품질검사 시료를 트럭애지레이터에서 채취하는 경우에는 트럭애지레이터를 30초 고속교반후 최초로 배출되는 콘크리트 약 50ℓ를 제외한후, 콘크리트 흐름의 전횡단면에서 채취한다.

8.2. 슬럼프 시험

슬럼프 시험은 KS F 2402(포틀랜트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에 따른다.

8.3. 공기량 시험

공기량 시험은 KS F 2421[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함유량 시험방법(공기실 압력방법)] 또는 KS F 2449(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용적에의한 공개량 시험방법)중 어느것에 따른다.

8.4. 강도시험

압축강도 시험은 KS F 2403(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및 KS F 2405(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따른다. 휨강도 시험은 KS F 2403 및 KS F 2408[콘크리트의 휨 강도 시험방법(단순보의 3등분점 하중법)]에 따른다.

8.5. 염화물 함유량

염화물 함유량은 KS F 4009 의 부속서에 따른다.

8.6. 단위용적 중량시험

단위용적 중량시험은 KS F 2409에 따른다.

8.7. 용 적

콘크리트의 용적은 그 배치의 전체무게를 단위용적 중량으로 나누어서 구한다. 배치의 전체 무게는 전체재료(물을 포함한다)를 합하여 계산하거나 콘크리트 배출전․후의 운반차의 무게의 차로부터 계산한다.

슬럼프 10㎝이상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운반차의 용기나 적재 홉퍼드응로 콘크리트의 용적을 정확히 구할수 있을때는 콘크리트의 용적측정에 사용할수 있다.

9. 검 사

9.1. 검사는 www.kangha.net 에 따른다.

10. 보 고

10.1. 생산자는 운반할때마다 매차 단위로 납품서를 주문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0.2. 납품서는 EP-B-602에 따른다.

'문서 및 자료 ★… > [문서및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내표준관리규정  (0) 2009.11.14
자재관리규정  (0) 2009.11.09
동부스바수입검사지침서  (0) 2009.10.30
공정관리규정  (0) 2009.10.27
프로젝트관리 업무절차서  (0) 2009.10.24

로또의 현재까지의 실적을 근거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5가지의 유형으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하였고 계속적으로 이어지는 회차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많이 추출된 번호를 나열하고 구간별로 1~3개씩 추출할 수 있고, 많이 추출된 번호만 추출할 수도 있으며, 개인별로 유망한 번호를 1~5개 번호를 직접입력 하고
나머지는 프로그램으로 찾아오는 것과 18개까지 번호를 입력하고 이중에서 찾아오는 방식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추출된 번호를 그래프화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으며, 평균 당첨횟수에서부터 범위를 설정하여 범위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도 나타냅니다.
 

 
 
1.LoTTo 시트
 (1)"LoTTo A" 버튼 : 데이터를 하나씩 추출하여 6개를 찾아오는 방식
 (2)"LoTTo B" 버튼 : 데이터를 6개씩 추출하여 한꺼번에 찾아오는 방식
 (3)i열의 셀(i5, i13, i21, i29, i37, i45)에 있는 숫자는 상위 순위에 있는 숫자만을 뽑아서 조합한 것입니다. 숫자는 9 이상 입력하세요. 숫자가 작으면 찾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4)i열의 셀(i5, i21, i37) 색깔과 좌측 데이터의 색깔을 일치하도록 하여 편하게 볼수 있습니다. 숫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5)각 게임별 6개의 번호가 모두 중복되면 다시 되돌려서 다른번호로 예측 합니다.
 

 

 

 
 
2.LoTToL 시트
 (1)"LoTTo C" 버튼 : 현재까지 많이 추출된 번호순으로 순위를 정하고, 그 순위에 구간을 정해서 구간별로 몇개씩을 추출할 것인지를 정해놓고 찾아오는 형태입니다.
      먼저 순위조정 및 갯수조정을 하십시오. 순위는 45가 아니어도 상관 없고, 갯수의 합계는 6이 되어야 합니다.
 (2)"LoTTo D" 버튼 : 분석한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숫자를 18개까지 직접 입력하여 입력한 번호 내에서만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번호의 입력은 좌측부터 하고, 9개 이상 입력하여야 합니다.
 (3)"LoTTo E" 버튼 : 꿈에서 보았던 또는 선호하는 번호를 5개 이내로 입력하고 나머지는 프로그램에 의해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번호는 1개부터 5개까지 입력할 수 있습니다.
 
 
 
3.LoTToJ 시트
 (1)최근 데이터의 범위는 DATA시트(K4셀)에서 정합니다.
 (2)범위를 설정하면 반드시 DATA정리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4.분석 시트
 (1)"i5"셀에 %를 입력하고, '그래프그리기' 버튼을 누르세요.
 (2)%입력은 당첨추출 평균값에 대한 백분율로 범위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3)좌측 그래프는 당첨이 많이 된 번호순이며, 우측그래프는 번호순입니다.
 

 

 
 
5.Print 시트
 (1)인쇄전 미리보기 버튼을 한번 눌러서 출력을 세팅하십시오.
 (2)출력은 프린터의 성능, 기종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먼저 셋팅을 하셔야 합니다.
 
 
 
6.DATA 시트
 (1)358회(2009.10.10)까지의 당첨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그 이후 발생되는 데이터는 추가로 입력하세요.
 (2)데이터를 입력한 다음 반드시 DATA정리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3)보너스 숫자를 포함하는 경우와 포함하지 않는 경우는 경우의 수가 달라집니다.
 (4)분포 펼쳐보기를 확인해 보시면 당첨되는 번호의 형태를 유추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미리 그림을 그려 보세요.

 

 

파일 다운로드는 www.kangha.net 을 참조하세요....


7.기타사항
 (1)항상 매크로포함으로 파일을 열어야 정상적으로 작동 합니다.
 (2)매크로 포함으로 열지 않고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문구가 나타납니다.
    보안 수준이 [높음]으로 설정되어 있고 디지털 서명이 되어 있지 않거나 ~~~
    매크로를 실행하려면 ~~ 보안 수준을 [보통]으로 변경하십시오. ~~~
 (3)보안수준을 [보통]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메뉴에서 "도구-매크로-보안"을 선택하시고 [보통] 또는 [낮음]을 선택하세요.
 (4)그 다음 엑셀을 종료한 후, 다시 파일을 열기하여 실행하십시오 !!!

'즐거운 세상 ★… > [나 눔 로 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번주 로또 추천번호  (0) 2014.11.01
로또번호 생성기 V25  (0) 2010.02.05
금주 로또 추천번호  (0) 2009.07.29
로또 추천번호로 행운을 드립니다.  (0) 2009.07.25
금주 로또 추천번호  (0) 2009.07.23

+ Recent posts